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인터넷 게임 과다사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게임 중독정도, 게임사용 시간,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터넷 게임중독 위험군으로 판명된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36명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상담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에 피험자를 할당하였고, 실험집단에는 매주 2회씩 총 11회기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사전과 사후검사에서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질문지를 수행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게임 과다사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 시점에서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와 게임 사용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위험군에서 정상군으로 변화하는 호전율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 시점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사후검사 시점에서 문제중심적 대처 방식이 강화되었고 정서중심적 대처 방식이 약화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overusing internet games on levels of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erceived stress, internet use time and a stress coping strategy. The study included 36 adolescents at the risky level to an internet game addiction in middle schools. They were assigned into one of the two groups. The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y one of authors on the experimental group: two sessions a week, a total of 11 sessions. Consequently,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overusing internet games is effective in decreasing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s, time of using internet game, and perceived stress level. Additionally, the counseling program could change adolescents’ stress coping strategy from an emotion-focused coping to a problem-focused coping.
강민선 (2003). 현실 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권재환, 이은희 (2005). 판별분석을 이용한 게임중독 청소년들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특성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95 -113.
김경환 (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성용 (2002). 스트레스 정도, 대처 유형 및 가족지지정도가 알코올 중독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 중독환자를 중심으로.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성희 (2005). 온라인게임 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온라인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은정 (2005). 폭력적 컴퓨터 게임과 공격적 비행, 인터넷 비행 및 인터넷 게임중독과의 관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359-378.
김재엽 (1997). 사회적 스트레스와 가정 폭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5, 99 -116.
김지현 (2003).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와 프로그램 발간.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노영희 (2008). 게임중독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미술치료.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방희정, 조아미 (2003).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1), 1-22.
백점순 (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고등학생의 중독 수준과 자기 효능감, 내부-외부 자기 통제성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승연 (2001). 일상적 스트레스, 몰두 성향, 사회적 지지와 병리적인 인터넷 사용.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승연, 이영호 (2007).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91-405.
서진숙 (2006).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완화와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성윤숙 (2003).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몰입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96-115.
송은주 (2005).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업 스트레스, 우울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현명 (2001). 고교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치료를 위한 현실요법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효미 (2007).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학교생활적응이 인터넷 게임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익수, 우경근 (2005).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에 관련한 심리, 사회적 요인의 탐색. 상담학연구, 6(2), 563-571.
윤미선, 조정선 (2005).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요인으로서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방식. 교육방법연구, 17(1), 57-80.
윤영민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정보와사회, (2), 133-153.
이경님 (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이상철, 김남희, 서영호 (2003).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몰입과 중독이 사용자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2(5), 1479-2002.
이유경, 채규만 (2006). 컴퓨터 게임 중독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711-726.
이은경, 장미경, 김은영, 신효정 ,이자영, 이희우, 장재홍 (2005). 청소년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연구, 상담학연구, 6(3), 789-808.
이정미 (2007).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현실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화 (2005).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게임중독 고등학생들의 게임중독 수준, 자기통제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진영 (2002).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적 사용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대처 방식, 충동성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장재홍 (2004).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사용욕구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5(1), 113 -128.
장재홍 (2005).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변인들이 정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2(2), 39-55.
장재홍, 이은경, 장미경, 김광현, 김지민 (2007). 게임 과다사용 집단상담의 효과 증진을 위한 매뉴얼 개발. 한국게임산업진흥원.
장재홍, 이은경, 장미경, 김수연, 김지환, 박성민 (2008). 청소년 게임 과다사용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매뉴얼 보완 및 대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한국게임산업진흥원.
정경아 (2001). 게임 중독 청소년의 특성분석: 개입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정선 (2004).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정도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 (2007). 가정의 사회적,물리적, 심리적 환경 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한국복지학회지, 12(5), 5-28.
하정희, 이희경 (2005). 낙관성, 자기효능감, 인터넷 몰입, 강인성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6(3), 919 -932.
한건환, 장휘숙, 안권숙 (2004).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1(3), 385-402.
한국게임산업진흥원 (2007). 2007년 대한민국 게임 백서. 한국게임산업진흥원.
Armstrong, L, Phillips, J. G., & Saling,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53, 537-550.
Chou, C., Condron, L., & Belland, J. C. (2005). A Review of the research on Internet Addic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363-388.
Chou, T. J. & Ting, C. C. (2003). The Role of Flow Experience in Cyber-Game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6(6), 663-675.
Lavin, M., Marvin, K., McLarney, A., Nola, V., & Scott, L. (1999). Sensation seeking and collegiate vulnerability to Internet dependence.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2(5), 425-430.
Laz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New York: McGraw-Hill.
Lazarus, R. 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 Rev. Psychol., 44, 1-21.
Lee, M. S., Ko, Y. H., Song, H. S., Kwon, K. H., Lee, H. S., Nam, M. & Jung, I. K. (2007).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 in Relation to Game Genre in Korean Adolesc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0(2), 278-285.
Morahan-Martin, J. & Schumacher, P. (2000). Incidence and correlates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6(1), 13-29.
Niemz, K., Griffiths, M., & Banyard, P. (2005). Prevalenc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and disinhibi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8(6), 562-570
Parrott, A. C. (2006). Stress modulation over the day in cigarette smokers., Addiction, 90(2), 233-244.
Wang, C. S. & Chiou, W. B. (2006). Psychological Motives and Online Games Addiction: A Test of Flow Theory and Humanistic Needs Theory for Taiwanese Adolesc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9(3), 317-324.
Wang, C. S. & Chiou, W. B. (2007). The motivations of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online games: A cognitive perspective. Adolescence, 42(165), 179-197.
Windle, M. & Windle, R. C. (1996). Coping strategies, drinking motives, and stressful life events among middle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with academic function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4), 551-560.
Yalom, I. D. (2001). 최신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최해림, 장성숙 역, 하나의학사.
Young, K. S., & Rodgers, R.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perPsychology and Behavior, 1(1),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