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심리적 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이미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내담자 15명을 심층면접함으로써 그들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우선, 내담자들은 문제의 복합성이나 반복성으로 인해 주관적 심각성과 고통감을 자각할 때 상담요청을 결정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상담요청 결정은 상담 외 비전문적인 도움이나 전문적인 도움의 한계와 불만족을 경험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의 상담권유나 상담과제를 부여받을 때 활성화되고 있었다.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은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의 추구’를 한 것이었으며, 상담 떠올리기, 상담에 대한 접근-회피 갈등하기, 상담요청 여부 결정하기의 3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요청 결정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조건들은 다양하였으며, 상답요청 결정에 있어서 상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긍정적 인식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상담요청 결정의 결과는 상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핵심범주는 ‘더 나은 삶의 추구를 위한 효율적인 전문적 도움 모색’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와 후속 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xplore psychological experiences during decision making about seeking counseling among clients in Korea. The current study aimed to generate a substantive theory which explains the proces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deciding whether to or not to seek counseling. For this purpose,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adul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s(Strauss and Corbin, 1996). The decision to seek counseling was made by following the 3 steps: (1) recalling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option to “pursue a better life”, (2) experiencing approach-avoidance conflict concerning receiving counseling service, and (3) finally determining to seek counseling with the help of self-encouragement and self-talk affirm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counseling. The core category of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bout seeking counseling turned out to be the process of ‘exploring efficient professional help in order to pursue a better life’.
금명자, 이장호 (1990).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3(1). 23-43.
김경희 (2009). 광고 표현요소의 회상과 재인에관한 연구: 버스외부광고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범 (2009). 텔레비전 광고 이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재인(recognition)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미, 유성경 (2002)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화적 요인.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991-1002.
김혜진 (2009). 초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고민 영역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선정 (2000). Karl Jaspers의 哲學에 있어서 限界狀況의 體驗을 통한 實存開明에 관한 硏 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준호 (2008). 남자 대학생들의 성역할갈등과 상담 의도와의 관계: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상담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혜진 (2010). 상담에서 희망발생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신연희, 안현의 (2005). 전문적 도움 추구행동에서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77-195.
심영숙 (2000). 대학생의 문제의 심각도 지각과도움추구에 대한 태도가 상담요청 가능성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미진 (2005).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연문희, 박남숙 (2001). 교육과 상담에서의 질적연구. 연세교육연구, 14(1), 243-263.
오현수 (2012). 일반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은자 (2009). 기업상담 효과에 대한 세 관련 주체(내담자,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비교.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제호, 신혜린 (2004). 심리검사 해석상담 중내담자의 상담결정 과정에 대한 연구. 인간이해 25. 1-31.
장영임 (1999). 문제의 심각도, 사회적지지 및 상담자에 대한 신뢰가 상담요청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진이 (2001). 자기 은폐(self-concealment)와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도움추구 태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지수 (2012). 초보상담자가 인식하는 상담의 기본개념: 존중, 경청, 공감, 수용을 중심으로.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성인 (2003). 잠재적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이용의사 연구-마케팅 이론을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최성인, 김창대 (2010). 상담에 대한 태도 척도한국판(K-BEACS) 타당화 연구- (상담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평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1), 169-195.
최희철 (2009).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상담추구의도 예측모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영주 (2010). 내담자가 경험하는 상담의 치료적전환점: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선의 (2012). 전문상담교사 상담활동과 업무환경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동아 새국어사전(제5판) (2011). 서울: 두산동아 (주).
Atkinson, R. L., Atkinson, R. C., & Hilgard, E. R. (1983). Introduction to psychology(8th ed.). San Diego: Harcourt, Brace, Jobanovich Publishers.
Berdie, R. F., & Stein, J. (1966). A comparison of new university students who do and who do not seek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3(3), 310-317.
Bosmajian, C. P., & Mattson, R. E. (1980). A countrolled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counseling center u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5), 510-519.
Capeda-Benito, A., & Short, P. (1998). Selfconcealment, avoidance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58-64.
Cramer, K. M. (1999).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help-seeking behavior: A reanalysis using path modeling struct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81-387.
Cross, D. G., Sheehan, P. W., & Khan, J. A. (1980) Alternative advice and counseling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 48, 615-635.
Fischer, E. H., & Turner, J. L. (1970). Orientation to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 79-90.
Frank, A. C., & Kirl, B. A. (1975). Differences in outcomes for users and nonusers of university counseling and psychiatric service: A 5-year accountability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2(3), 252-258.
Furr, S. R., & Carroll, J. J. (2003). Critical incidents in student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1(4), 483-489.
Goodman, S. H., Sewell, D. R., & Jampol, R. C. (1984). On going to the counselor: Contributions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s to the decision to seek psychologic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3), 306-313.
Gourash, N. (1978). Help-seek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6(5), 413-423.
Greenley, J. R., & Mechanic, D. (1976). Social selection in seeking help for psychological problem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7(3), 249-262.
Hintzman, D. L. (1986). 학습심리학. (이훈구역). 서울: 탐구당.
Kelly, A. E., & Achter, J. A. (1995). Self-concealmen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1), 40-46.
Kushner, M. G., & Sher. K. J. (1989). Fear of psychological treatment and relation to mental health service avoidanc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4), 251-257.
McLennan, J. (1991). Formal and informal counseling help: Students' experienc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19(2), 149-159.
Rutter. M. (1999). Resilience concepts and findings: Implication for family therapy. Journal of Family Therapy, 21(2). 119-144.
Schultz, D. (2001). 성장심리학-건강한 성격의 모형 {Growth psychology: Model of the healthpsychology}. (이혜성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전은 1977년에 출판).
Stefl, M. E., & Prosperi, D. C. (1985).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1(3), 167-178.
Strauss, A. L., & Corbin, J. M. (1996). 근거이론의 이해 {Basic of Qualtitative Research}. (김수지, 신경림 공역). 서울: 도서출판사 한울.(원전은 1990년에 출판).
Sullivan, M. F., Skovholt, T. M., & Jennings, L. (2005). Master therapists' construction of the therapy relationship.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7(1), 48-70.
Timlin-Scalera, R. M., Ponterotto, J. G., Blumberg, F. C., & Jackson, M. A. (2003). A grounded theory study of help-seeking behaviors among white 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3), 339-350.
Vogel, D. L., & Wester, S. R. (2003). To seek help or not to seek help: The risks of self-disclosur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3), 351-361.
Vogel, D. L., & Wei, M. (2005).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 The mediating rol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347-357.
Vogel, D. L., Wester, S. R., Wei, M., & Boysen, G. A. (2005). The role of outcome expectations and attitudes on decisions to seek.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4), 459-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