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n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을 알아보고, 외국인접촉, 한국 고유의 문화정서와 사회정체감이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제주도를 제외한 언어적 보고가 가능한 10대 이상의 전국 1,710명으로 지역별X연령별X성별 다단계층화표본 추출하였고, 조사기간은 2010년 3월 29일부터 6월 18일까지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에 대한 수용이 높고,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낮았다. 반면에 한국의 다문화가족 안에서 내가 아닌 누군가의 한국인의 아내로 살아가는 동아시아 여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을지라도, 아직까지 내 배우자와 내 자녀의 배우자로는 수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이 선호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은 일본과 조선족이었고, 기피하는 국적은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이었다. 선호이유로는 한민족, 경제력, 문화교류 등으로 꼽았고, 혐오이유로는 위장결혼, 돈에 팔려온 신부, 후진국 및 사회부적응 등을 꼽았다. 이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지역별, 연령별, 성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외국인과의 접촉은 어떤 식으로도 한국인의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행동, 인지,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은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해 우리성, 우리편 및 정 / 심정을 강하게 느낄수록 그들을 심정적으로 한국인으로 받아들이고는 있었지만, 한국인으로 내재화시키지는 못했다.

keywords
한국 다문화사회, 사회적 거리감, 우리성, 정, 사회정체감, 다문화수용성,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ocial distance, Weness, Cheong / Shimcheong, Social Identity, Korean societ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s' awareness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test the influence of foreigner contacts, Korean inherent cultural emotion, and social identity on attitudes toward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The subject was a multistratified sample of nationwide 1,710 Koreans excluding Jeju Island extracted as per region X age X gender, and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29th through June 18th, 2010. As a result, Koreans showed high levels of acceptance for the culture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Simultaneously subjects preferred Japan and Korean Chinese while they didn't prefer China, Cambodia and Vietnam. Any types of contacting foreigners produced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toward Koreans'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Finally, Koreans could not internalize the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as a Korean, although Korean thought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the more emotionally ‘Shimcheong’, the more strongly they felt ‘Weness’, ‘In-the-same-group’ and ‘Cheong’.

keywords
한국 다문화사회, 사회적 거리감, 우리성, 정, 사회정체감, 다문화수용성,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ocial distance, Weness, Cheong / Shimcheong, Social Identity, Korean society' of Multicultural Acceptance

참고문헌

1.

김경화 (2011). 다문화가족 방문교사지도사의동남아시아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호감도및 사회적 거리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83-97.

2.

김기범 (2009). 정 마음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47-163.

3.

김동수, 김도환, 정태연 (2011). 외국인에 대한한국 대학생의 인식: 6개 외국인 집단을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5(1), 1-23.

4.

김상학 (2004). 소수자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5(1). 169-206.

5.

김석 (1998).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사회에 대한사회적 거리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옥 (2007). 새로운 시민들의 등장과 다문화주의 논의. 아시아여성연구, 46(2), 129-159.

7.

김혜숙 (2001). 집단범주에 대한 신념과 호감도가 편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성편견, 인종편견과 한국의 성편견, 지역편견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16.

8.

김혜숙 (2002). 고정관념 및 편견과 인간관계.사회과학연구논총, 9, 83-101.

9.

김혜숙 (2007).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1(4), 91-104.

10.

김혜숙, 고재홍, 안미영, 안상수, 이선이, 최인철 (2003). 다수집단과 소수집단에 대한고정관념의 내용: 유능성과 따뜻함의 차원에서의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17(3), 121-143.

11.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5(2), 51-89.

12.

김희자 (2008).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 9(1), 255-282.

13.

나간채 (1988). 직업계층간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남인숙, 장흔성 (2009). 결혼이민여성 가족의출신국 문화이해. 사회이론, 봄/여름, 255-286.

15.

박수미, 정기선 (2006).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70,5-26.

16.

박수현 (1990). 우리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윤경 (2002). 외국인 노동자들의 사회적 자본과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8.

박정렬 (2003). 우리집단의 심리적 세분화와 인상형성에 있어서 집단정보(우리-남)와 중심특질(따뜻한-차가운)의 점화효과 비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서울: 여성가족부.

20.

양계민,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97-115.

21.

양애경, 이선주, 최훈석, 김선화 (2007).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다민족다문화사회를 향한 한국사회의 도전과전망 포럼자료집, 56-8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

오마이뉴스 (2010.07.20). “우리도 사람이다, 때리지 말라” 베트남 이주여성 고(故) 탓티황옥 추모 기자회견.

23.

유승무, 이태정 (2006).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척도와 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담론201, 9(2), 275-311.

24.

윤인진, 송영호 (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대한 인식과 다문화수용성. 통일문제연구,23(1). 143-192.

25.

이광자, 엄신자, 전신현 (2003). 현대사회심리학.아세아문화사.

26.

인태정, 김희재 (2009). 국내 이주 외국인에 대한 부산․울산․경남지역 대학생 의식조사. 아세아연구, 52(2), 184-213.

27.

임도경 (2010). 외국인 이주민이 본 한국과 한국인의 이미지연구. 주관성연구, 20, 101-120.

28.

임성택 (2003).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외국인에 대한 한국 학생들의 고정관념분석.교육학연구, 4(3), 275-301.

29.

임이숙 (2005). 문화다양성 시대의 음악교육과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장태환 (2001). 한국 대학생의 인종․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당대비평, 14, 99-113.

31.

전영자, 전예화 (2010).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1-13.

32.

정진환 (2011).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사회적 거림감 관련변인.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차재호, 최인철 (1992). 외국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심리과학, 1.

34.

최상진 (1997a). 당사자 심리학과 제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한국심리학회추계심포지움. 131-143.

35.

최상진 (1997b). 한국인의 심리특성. 한국심리학회(편). 현대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36.

최상진 (2000).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37.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심정심리: 심정의 성격, 발생과정, 교류양식 및 형태.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8(1), 1-16.

38.

최인재 (1999). 정(情)·우리성·체면(體面)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문화심리학적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최인재, 최상진 (2002). 한국인의 문화심리적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4(1), 55-71.

40.

최준영, 김순홍 (2000). 지역간 거리감을 통해본 지역주의의 실상과 문제점. 사회연구,1, 53-83.

41.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청소년의 타민족, 다문화에 대한 이해 및 세계시민의 증진방안 연구.

42.

홍봉선, 이경아 (2008). 청소년의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3), 165-187.

43.

황정미 (2007).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인의태도와 인종적 배제주의. 다민족다문화사회를 향한 한국사회의 도전과 전망 포럼자료집, 3-3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4.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 현, 이동주 (2007).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정책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합동연구총서 07-19-02.

45.

Allport, G. W.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Mass.: Addison-Wesley.

46.

Bogardus, E. S. (1925). Measuring social distances. Journal of Applied Sociology, 9, 299-308.

47.

Bogardus, E. S. (1933). A social distance scale. Sociological and Social Research, 17, 265-171.

48.

EUMC (2005). Majorities' Attitudes Towards Minorities Key Findings from the Eurobarometer and European Social Survey. European Monitoring Centre on Racism and Xenophobia: Wien, Manz Crossmedia GmbH & Co KG.

49.

Fiske, S. T., Cuddy, A. J., Glide, P., & Xu, J. (2002). A model of stereotype content: Competence and warmth respectively follow from perceived status and compet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6), 878-902.

50.

Gerald, H. B, & Hoyt, M. F. (1974). Distinctive of social categorization and attitude toward ingroup memb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6), Jun, 836-842.

51.

Knox, V. J., Gekoski, W. L., & Kelly, L. E. (1995). The age group evaluation and description inventory: A new instrument for assessing stereotypes of and attitudes toward age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0(1), 31-35.

52.

Mullen, B. (1987). Self-attention theory: The effects of group composition on the individual. In B. Mullen & G. R. Goethals(Eds.). Theories of Group Behavior. New York: Springer-Verlag.

53.

Pettigrew, T. F. (1979). The ultimate attribution error: Extending Allport's cognitive analysis of prejudi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5(4), 461-476.

54.

Schaller, M. & Maass, A. (1989). Illusory correlation and social categorization: Toward an intergroup of motivational and cognitive factors in stereotype 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May, 709-721.

55.

Sevig, T. D., Highlen, P. S., & Adams, E. M. (199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Identity Inventory(SII): A Multivultural Identity Development Instrument.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6(2), 168-182.

56.

Tajfel, H., Billig, M. G., Bundy, R. P., & Flament, C. (1971). Social categorization and intergroup behaviour. European Journal Social Psychology, Jun71, 1(2), 149-178.

57.

Tajfel, H. & Turner, J. C.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Worchel & W. G. Austin(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hip, 7-24. Chicago: Nelson Hall.

58.

Tajfel, H. (1969). Cognitive aspects of prejudice. Journal of Biosocial Science, 1(Jan.), 173-191.

59.

Tajfel, H. (1970). Experiment in ingroup discrimination. Scientific American, 223, 96-102.

60.

Tajfel, H. (1978). Interindividual behavior and intergroup behavior. In H. Tajfel.(Eds.).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groups, 27-60. New York: Academic press.

61.

Tajfel, H. (1982).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Wilder, D. A. (1986). Social categorization: Implications for creation and reduction of intergroup bia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 291-35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