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중학생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me Prone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 3학년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학교적응에 대한 인과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치심 경향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졌고 분노표출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분노억압 수준이 높아졌다. 또한 분노표출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낮아지고 분노억압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은 높아졌다. 수치심 경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는 분노억압, 분노표출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 경향성은 분노억압과 분노표출을 이중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노억압과 분노표출 간에 인과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수치심 경향성이 높을수록 분노억압이 높아지고 분노억압이 높아짐에 따라 분노표출 행동이 증가하여 학교적응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분노표출 및 분노억압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shame proneness, anger-out, anger-i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chool adjustment, 수치심 경향성, 분노표현양식, 분노표출, 분노억압, 학교적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hame pronenes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elevate the understanding regarding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improve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After reviewing relevant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wo possible mediators, the dysfunctional anger express(i.e., anger-in and anger-out) on the association between shame pronenes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ere hypothesized and mediational model was evalu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304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who lived at South Korea.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was best fitted by the data.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hame proneness influenced indirectly school adjustment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and that shame proneness impacted directly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shame proneness, anger-out, anger-i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chool adjustment, 수치심 경향성, 분노표현양식, 분노표출, 분노억압, 학교적응

참고문헌

1.

권재영, 한성열 (1992). 억압과 정서와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

김가희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 및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4.

김계현 (1993). 분노조절 프로그램. 청소년 범죄연구, 11(11), 49-64.

5.

김광수 (2003).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교육심리연구, 17(4), 393-410.

6.

김교헌, 전겸구 (1997). 분노, 적개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7.

김대현, 김현주 (2003).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명화, 홍혜영 (2011). 자기침묵, 대인관계, 우울의 관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1), 69-97.

9.

김미란 (2001). 고등학생의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의 차이.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민경 (2008).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성애 (2007). 수치심 이해와 치료에 관한 연구 - 기독교 상담적 관점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수미 (2009). 수치심 경향성과 내외통제성이 분노경험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향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및 분노표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현도 (2008). 스트레스 노출 상황에서의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심박변이도의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주 (2011).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3), 965-981.

16.

나승은 (2009). 모애착과 또래애착, 내현적 자기애가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맹지영 (2009). 체육수업에서 초등학생의 분노경험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지현 (2003).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지현 (2007).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백승혜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17.

22.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0.

24.

서지영 (1996). 특성분노의 반응양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제 변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손민정 (2005). 부모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이 자기주장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2(1), 89-103.

26.

송수민 (2007).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비교: 심리적 특성과 상황적 변인에 따른 차이.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심종은, 이영호 (2000).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485-499.

28.

옥수정 (2001). 억압적 성격 성향자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조절방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원은정 (2005). 문화성향에 따른 우울취약성, 대인관계성향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유수린 (2012). 부모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윤영선 (2005).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수치심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규미 (1998).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대한 체험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윤아 (2004). 억압적 성격 성향자의 적응적/비적응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87-200.

34.

이은경, 서은국 (2009).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 문화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31-146.

35.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36.

이정림 (2005). 초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지연 (2010). 자기노출이 분노 억제 경향이 있는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9(2), 193-210.

38.

이철호 (2010). 분노반추, 자기통제 및 용서가 분노경험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향순 (2011). 청각장애인의 직업적응을 위한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혜경 (2011).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가족과 문화, 23(1), 77-104.

41.

임경빈 (2012).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에 학교 스트레스와 분노표현 양식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정순 (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장진아 (2006). 여성의 대상관계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8).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 건강, 3(1), 18-32.

45.

정영실 (2005). 또래상담과 훈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인석 (1988). 新현대심리학. 서울: 태광사.

47.

정지영 (2002).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억압적 성격 성향자의 정서인식능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8.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 411.

49.

최상진, 정태연 (2001). 인고에 대한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보상기대와 부정적 과실상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21-38.

50.

최숙경 (2003). 담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중학생들의 학교생활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52.

최창석 (2011). 청소년의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동기,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8(4), 29-48.

53.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54.

최해연 (2008). 한국인에게는 억압이 적응적인가?: 억압 측정의 타당성 논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197-216.

55.

최형석 (2005). 따돌림의 정도, 분노 표현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홍은수 (2002). 수치심의 이해 및 치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황윤미 (2010).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경험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Adams, G., & Markus, H. R. (2004). Toward a conception of culture suitable for a social psychology of culture. In M. Schaller & C. S. Crandall (Eds.),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of culture (pp.335-360). Mahwah, NJ: Erlbaum.

5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1182.

60.

Bilodeau, L. (1992). The Anger Workbook. Hazelden.

61.

Bonanno, G. A., Keltner, D., Holen, A., & Horowitz, M. J. (1995). When avoiding unpleasant emotions might not be such a bad thing: Verbal-autonomic response dissociation and midlife conjugal berea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5), 975-989.

62.

Bradshaw, J. (1988).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Health Communications. 김홍찬, 고영주 역. ⌜수치심의 치유⌟. 서울: 사단법인 한국 기독교 상담연구원, 2003.

63.

Cohen, J., Cohen, P., Aiken, L. S., & West, S. G. (2002).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64.

Contrada, R. J., Czarnecki, E. M., & Li-Chern Pan, R. (1997). Healthdamaging personality traits and verbal-autonomic dissociation: The role of self-control and environmental control. Health Psychology, 16(5), 451-457.

65.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66.

Cutler, S. E., Larsen, R. J., & Bunce, S. C. (1996). Repressive coping style and the experience and recall of emontion: A naturalistic study of daily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64(2), 397-405.

67.

Egloff, B., & Krohne, H. W. (1996). Repressive emotional discreteness after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18- 1326.

68.

Ellenson, A. (1982). Human Relations.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69.

Garfensky, N., & Okma, S. (1996). Addiction-risk and aggressive/criminal behaviour in adolescence: Influence of family, school and peers. J of Adoles, 19(6), 503-512.

70.

Gesell, A., Ilg, F. L., & Ames, L. B. (1956). Youth: The years from ten to sixteen. N. Y.: Harper & Row publishers, Inc.

71.

Goswick, R., & Jones, W. H. (1981). Loneliness, self-concept and adjustment. The Journal of Psychology, 107(2), 237-240.

72.

Gottlieb, M. M. (1999). The angry sel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nger management. Phoenix, Arizona: Zeig, Tucker & Co. Press.

73.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cKay.

74.

Harder, D. H., Cutler, L., & Rockart, L. (1992).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and their relationships to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9(3), 584-604.

75.

Harder, D. W., & Lewis, S. J. (1987).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In C. D. Spielberger & J. N. Butch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6, pp.89-114). Hillsdale, NJ: Erlbaum.

76.

Harder, D. W., & Zalma, A. (1990). Two promising shame and guilt scales: A construct validity comparis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4), 729-745.

77.

Hofstede, G.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Hill.

78.

James M. Harper Margaret H. Hoopes, (1990). Uncovering Shame: An Approach integrating individuals and their family systems. New York: W W Norton & Co.

79.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80.

Knowles, E. D., Morris, M. W., Chiu, C.-Y., & Hong, Y.-Y. (2001). Culture and the process of person perception: Evidence for automaticity among East Asians in correcting for situational influences on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10), 1344-1356.

81.

Laible, D., Carlo, G., & Raffaelli, M. (2000). The differential impact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on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1), 45-59.

82.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83.

Lutwak, N., & Ferrari, J. R. (1997). Understanding shame in adults: Retrospective perceptions of parental-bonding during childhood.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10), 595-598.

84.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85.

Myers, L. B., & Brewin, C. R. (1995). Repressive coping and the recall of emotional material. Cognition and Emotion, 9(6), 637-642.

86.

Oyserman, D., Coon, H. M., & Kemmelmeier, M. (2002).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Psychological Bulletin, 128(1), 3-72.

87.

Reimer, M. (1996). “Sinking into the Ground”: The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of sham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Review, 16(4), 321-363.

88.

Rindskopf, D. (1984). Using phantom and imaginary latent variables to parameterize constraints in linear structural models. Psychometrika, 49(1), 37-47.

8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90.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91.

Spielberger, C. D. (1988).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92.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l, S., Crane, R. S.,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M. A.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 (pp.5-30). New York: Hemisphere.

93.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pp.89-108). New York: Springer-Veriag.

94.

Tangney, J. P., Wagner, P., Fletcher, & Gramzow, R. (1992). Shamed into anger?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4), 669-675.

95.

Tangney, J. P., Wagner, P., & Gramzow, R. (1992). Proneness to shame, proneness to guilt,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3), 469-478.

96.

Tangney, D. P. (1996).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34(9), 741-754.

97.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Inc.

98.

Thich, N. H. (2002). 화: 화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 [Anger: Wisdom for cooling the flames]. (최민수 역). 서울: 명진출판사. (원전은 2001년에 출판)

99.

Thornburg, H. D. (1982). Development in adolescence (2nd ed.). Monterey, CA: Brooks/Cole.

100.

Tsai, J. L., & Levenson, R. W. (1997). Cultural influences on emotional responding: Chinese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dating couples during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8(5), 600-626.

101.

West, S. G., Finch, J. F., & Curre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Newbury Park, CA: Sag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