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Relational Los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상실이라는 특정한 역경을 극복하고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정교하게 탐색하고 이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0년 이내에 심각한 관계상실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한 성장 수준을 높게 보고한 성인 12명을 선발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근거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4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중심현상으로 상실을 통해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함이 도출되었고, 인과적 조건으로는 충격적 상실사건 발생, 맥락적 조건으로 심리적 고통 및 심각한 부적응이 나타났다. 아울러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상실에 대한 의미재구성 과정과 다양한 활동이, 중재적 조건으로 개인내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고, 결과로는 긍정적 변화 및 성장과 남아 있는 고통이 나타났다. 상실의 고통으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문제제기와 원망 단계, 초점변경과 수용 단계, 새로운 의미발견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실을 극복하고 성장을 일구어내는 과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keywords
관계상실, 역경후 성장, 의미재구성, 근거이론, posttraumatic growth, relational loss, meaning reconstruction, ground theory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PTG) after experiencing relational loss. Interviews were implemented for 12 participants showing high scores on PTG,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 theory approach.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rocess would be summarized as 64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The author identified ‘occurrence of devastating loss’ as a causal condition, ‘severe pain and maladjustment’ as a contextual condition, ‘self-reflection and meaning making through loss’ as a main phenomenon, ‘meaning reconstruction of loss’ and ‘various activities’ a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trapersonal traits’ and ‘social support’ as intervening conditions, and finally ‘positive changes and growth’ and ‘remained pain’ as results. Participants were assumed to experience three stages(i.e., questioning/resenting, refocusing/ accepting, and new meaning making).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관계상실, 역경후 성장, 의미재구성, 근거이론, posttraumatic growth, relational loss, meaning reconstruction, ground theory

참고문헌

1.

권경인 (2007).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발달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경미, 김정희 (2011). 감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39-759.

3.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4.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6.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7.

송 현, 이영순 (2012).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91-910.

8.

안현의 (2007). 복합외상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9.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10.

이유리 (2011). 외상후 성장의 애착-인지 모형 검증: 입양 미혼모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임선영 (2013).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임선영, 권석만 (2012). 대학생의 관계상실을 통한 성장에 관한 연구: 인지적 유연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261-281.

13.

임선영, 권석만 (2013).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방략과 신념체계의 특성: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567-588.

14.

Davis, C. G., Nolen-Hoeksema, S., & Larson, J. (1998).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561-574.

15.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1), 56-69.

16.

Fazio, R. J., & Fazio, L. M. (2005). Growth through loss: Promoting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0, 221-252.

17.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18.

Gillies, J.,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9, 31-65.

19.

Grills-Taquechel, A. E., Littleton, H. L., & Axsom, D. (2011). Social support, world assumptions, and exposure as predictors of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a mass trauma. Journal of Anxiety Disorder, 25, 498-506.

20.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21.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2.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23.

Mcmillen, J. C., Smith, E. M., & Fisher, R. H. (1997). Perceived benefit and mental health after three types of disast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 733-739.

24.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25.

Park, C. L. (2008). Testing the meaning making model of coping with los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7(9), 970-994.

26.

Rosenblatt, P. (2000). Parent grief: Narrative of loss and relationship. Philadelphia: Brunner/Masel.

27.

Schaf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es and personal growth. In B. N. Carpenter (Eds.), Personal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pp.149-170). Westport, CT: Praeger.

2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29.

Taku, K. (2011). Commonly-defined and individually-defined posttraumatic growth in the US and Japa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1, 188-193.

30.

Tashiro, T., & Frazier, P. (2003). “I'll never be in a relationship like that again.”: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relationship breakups. Personal Relationship, 10, 113-128.

31.

Taylor, S. E., & Amor, D. A. (1996). Positive illusion and coping with adversity. Journal of Personality, 64, 873-898.

32.

Taylor, S., Asmundson, G. J. G., & Carleton, R. N. (2006). Simple versus complex PTSD: A cluster 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 20, 459-472.

33.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34.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35.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36.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626-65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