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총 380명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다수의 문항을 빠뜨리고 응답하거나 인구통계학적 응답을 생략한 설문 및 무작위로 응답한 것으로 보이는 설문을 제외한 3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다중역할계획태도, 진로결정수준, ego-identity, career identity,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career decision leve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80 female undergraduate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career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knowledge/certainty of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cations i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counseling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re addressed.

keywords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다중역할계획태도, 진로결정수준, ego-identity, career identity,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career decision level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2008). 남녀고용평등 의식조사. http://www.moel.go.kr

2.

고용노동부 (2013). 최근 노동시장 동향분석. 2013년 5월호. http://www.moel.go.kr

3.

곽윤숙 (2002). 여대생의 성역할 태도와 전공선택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40(1), 287- 310.

4.

곽윤숙 (2006). 대졸 여성의 직업세계 이행: 저해요인과 지원체제 방안. 진로교육연구, 19(2), 1-16.

5.

권용미 (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길정 (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8.

김은진 (2001).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문미란 (2003). 여대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다중역할갈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미경, 김영숙, 이현림 (2008).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27(2), 1-26.

11.

박선영 (2007).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전공진로 비선호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수길, 이영희 (2002).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41-160.

13.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40-162.

14.

박완성 (2002). 고교생의 진로자아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심리적 독립성, 성역할 정체감,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성부경 (2003).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진로 정체감, 진로 의사결정 및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송경수 (2003). 대학생들의 불안, 자아정체감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송인순 (2009). 자아개념과 불안이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순란 (1999).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신종임 (2010). 대학생의 부모지지와 자아정체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양은주, 한종철 (1999).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연구 -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1), 79-94.

21.

양진희 (2008).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여성가족부 (2010). 제2차 여성인력개발종합계획 ‘11~’15. http://www.mogef.go.kr

23.

우영지 (2008). 여대생의 개인 특성에 기초한 다중역할계획태도 군집유형에 따른 진로장벽지각 수준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복희 (2007).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4(2), 19-35.

25.

이억범, 김연희 (2004). 대학생의 다중지능, 학교환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수준간의 인과관계. 진로교육연구, 17(1), 39-53.

26.

장지선 (200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정경은 (2010). 이성 관계 애착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윤경 (1995). 여대생의 취업률 저조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조영일 (2012). <고급심리통계> 수업자료.

30.

조진숙 (2004).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정윤 (2005).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미결정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탁진국, 이기학 (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경영연구, 1(1), 167-180.

33.

통계청 (2013). 경제활동인구조사. 2013년 5월. http://kosis.kr

34.

Apter, T. (1985). Why women don’t have wives: Professional success and motherhood. New York: Schoken Books.

35.

Archer, S. L. (1985). Career and/or family: The identity process for adolescent girls. Youth and Society, 16, 289-314.

3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7.

Chiappone, J. M. (1989). Clinical issues in career counseling of adult: A new challenge. Career Planning and Adult Development Journal, 5(3), 5-14.

38.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2nd ed.). Monterey, CA: McGraw-Hill.

39.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40.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414.

41.

Peake, A., & Harris, K. L. (2002). Young adult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The influence of gender. career traditionality, and marriage pla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 405-421.

42.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43.

Super, D. E. (1984).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3), 282-296.

44.

Tiedeman, D. V., & O'Hara, R. P.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Colla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45.

Weitzman, L. M. (1994). Multiple-role realism: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ocess of planning to combine career and family role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3, 15-2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