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자살행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요구도 설문조사, 현장전문가의 FGI 및 자살행동 청소년의 심층 면담을 토대로 자살행동 개입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에 입각한 자살행동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행동을 줄이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10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살행동 개입 프로그램을 처치집단에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생명존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처치집단,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과의 우울, 자살생각,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른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험보고서 및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분석 결과를 보완하였다. 양적분석 방법은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혼합설계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자살행동 개입 프로그램은 우울 및 자살생각을 줄이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suicidal behaviors of adolesc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develop a suicidal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the process of planning, construct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with constituting six areas (i.e., psychological support, viewing time, self-esteem, self-control, level of hope, expressing emotions) and three steps (i.e., viewing, recognizing, and practicing). The levels of variables of interest were compared among an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ree times (i.e., pre-, post-, and follow-up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icidal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thoughts to commit suicide and enhance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강둘순 (2008). 현실요법을 적용한 정신건강증진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은실, 송양숙, 조향숙, 강성년 (2004). 청소년의 자살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3(2), 190-199.
김경희 (2008). 자살위험중학생을 위한 생명존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자아존중감, 자살위험성, 생활스트레스대처방식,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교헌 (2004).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55-68.
김동숙 (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민애 (2009).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인지행동적 음악치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설환 (2009).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숙 (2009).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이고등학생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3), 343-350.
김유희 (2011).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 행동문제와 문제해결능력에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대 (2002). 청소년 집단상담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김향숙 (2007).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주 (2008).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7, 69-93.
남민선 (2011).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이생명존중의식, 자살태도,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혜은 (2012). 마음챙김을 활용한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자살위기 전문계 여고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경숙 (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애착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7(5), 143-157.
박병금 (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병금 (2007). 청소년 자살생각 관련요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05-522.
박경애, 이재규, 권해수 (1998). 청소년 동반자살.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박재연 (2010).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지현 (2006).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복희 (2010).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조절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6). 내 생명 소중하게 가꾸기. 서울: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서혜석 (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송미경 (2012). 생명존중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죽음불안, 자살위험성 및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주연, 이윤아, 이기학 (2005). 삶의 의미와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35-1057.
심미영, 김교헌 (2005).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심민정 (2007).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학교 적응곤란 중학생의 생명존중 의식과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연합뉴스 (2012. 11. 20). 경기 청소년 3천여명“자살시도․생각해봤다” http://imnews.imbc.com/news/2012/society/article/3185437_10156.html
엄태완 (2008). 청소년의 무망감 관련요인과자살생각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211-237.
오은주 (2010). 청소년을 위한 우울 예방 프로그램이 우울, 자살생각, 역기능적 태도 및 부정적 자동화 사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재순, 손정우, 남민선 (2010). 자살 위험성이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우울중재 및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1), 71-81.
유지희 (2009). 우울성향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개입 효과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선경 (2010). 중학생의 우울 및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가천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성민 (2011).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효과: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의 비교.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경진, 조성호 (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6(4), 667-685.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이은숙 (2002).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정윤, 허재홍 (2003). 아동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위험요인. 청소년상담연구, 11(2), 85-95.
이지연, 김효창, 현명호 (2005). 스트레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 자살 생각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375-394.
이지현 (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애착과 인지왜곡의 중재 및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혜원 (2006).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영주, 이숙현 (2000). 청소년의 자살구상과관련 변인분석. 청소년학연구, 7(1), 221-246.
조준수, 이경숙 (200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및 심리적 안녕이 중학생들의 자살생각에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3(2), 153-165.
통계청 (2012). 2012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http://www.kostat.go.kr
천지일보 (2013.08.21). 지난해 청소년 자살 원인 1위 ‘가정불화’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915
한겨레신문 (2012. 04. 16). “친구들한테 괴롭힘당했다” 중학생, 유서남기고 투신. 한겨레신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청소년 프로그램개발및 평가론. 서울: 교육과학사.
홍영수 (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영수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의 완충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 7-17.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Row.
Beck, A. T., Brown, G. K., Steer, R. A., Dahlsgaard, K. K., & Grisham, J. R. (1999). Suicide ideation at its worst point: a predictor of eventual suicide in psychiatric outpati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9(1), 1-9.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 Psychology, 47(2), 343-352.
Budman, S., Soldz, S., Demby, A., Feldstein, M., Springer, T., & Davis, M. (1989). Cohesion, alliance and outcome in group psychotherapy. Psychiatry, 52(3), 339-350.
Ciffone, J. (1993). Suicide prevention: A classroom presentation to adolescence. Social Work, 38(2), 197-203.
De Wilde, E. J., Kienhorst, C. W., Diekstra, R. F. W., & Wolters, W. H. G.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d life ev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9(1), 45-51.
Heilig, S. M., Farberow, N. L., Litman, R. E., & Shneidman, E. S. (1968). The role of nonprofessional volunteers in a suicide prevention center.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 287-295.
Hendin, H. (1987). Youth suicide a psychosocial perspective.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17(2), 151-165.
Kahneman, D., & Tversky, A. (2000). Experienced utility and objective happiness: A momentbased approach. In D. Kahneman & A. Tversky (Eds.), Choices, Values and Frames (pp. 673-69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the Russell Sage Foundation.
Lawshe, C. H. (1985). Inferences from personnel tests and their valid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0(1), 237-238.
Maris, A. F., Kern, A. L., Picada, J. N., Brendel, M., & Henr-iques, J. A. (2000). Glutathione, but not transcription factor Yapl, is required for carbon source-dependent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Curr Gent, 37, 175-182.
Marziali, E., Munroe-Blum, H., & McCleary, L. (1997). The contribution of group cohesion and group alliance to the outcome of group psycho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47(4), 475-497.
Masten, A. S., & Reed, M. G. J. (2002). Resilience in development. In: C. R. Snyder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74-8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Morano, C., Cisler, R. A., & Lemerond, J. (1993).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behavior:Loss, insufficient family support, and hopelessness. Adolescence, 28(112), 831-85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i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