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실제 및 연구에서 간편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년기 위기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중년기에 대한 이론 및 문헌을 검토하고 기존에 개발된 관련 척도의 문항을 수집하였으며,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개별면접을 실시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수집된 문항의 분석과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한 후, 중년 남녀 5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22문항의 중년기 위기감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각 하위요인을 자기 후회(6문항), 젊음의 상실(4문항), 정서적 불안정(8문항), 개별화 위기(4문항)로 명명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요인간 상관 및 문항-전체간 상관이 양호하였으며 내적 합치도는 .94 이었다. 연구 2에서는 중년 남녀 517명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 척도를 실시하여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중년기 생성감, 우울, 삶의 만족도, 삶의 의미, 결혼 만족도를 함께 실시하여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년기 위기감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중년기 위기에 대한 연구와 중년 상담의 실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id-life crisis scale. Pilot questions were devised by collecting scale questions from previous studies as well as interviewing middle-aged men and women.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questions and expert content valid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526 middle-aged men and women and a mid-life crisis scale consisting of 4 factors and 22 questions was developed. Factors included: ‘self-regret’, ‘loss of youth’, ‘emotional instability’ and ‘crisis of individualiz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517 middle aged men and women,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4-factor model. It is confirmed that the new mid-life crisis scale is satisfactory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mid-life crisis counseling program.
강덕진 (2011). 중년기 남성 위기와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성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기숙 (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고홍월, 권경인, 김계현, 김성희, 김재철, 김형수, 서영석, 이형국, 탁진국, 황재규 (2013). 상담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구본진 (2008).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7(4), 421-430.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18(1), 123-139.
김경은, 곽금주, 민하영, 최지영, 전숙영 (2011). 한국 직장 남성의 중년에 대한 인식. 인간발달연구, 18(3), 135-155.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관한 연구 -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수한 (2010).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성역할 및 무조건적 자기 수용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순숙 (2012). 중년기 기혼 남녀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애순, 윤진 (1991). 중년기 위기감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4(1), 73-87.
김애순 (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중년기위기의 시기확인 및 발달과정의 역동성을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장미영, 정은영 (2014). 직장남성의 주관적인 건강상태, 갱년기 증후군, 대응행위가 중년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2(2), 77-86.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춘경 (2011). 중년기 우울 여성의 심리적 경험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25-51.
박경혜 (2003).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정체감이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숙 (2010). 중년기 여성의 자아정체감, 자아분화와 중년기 위기감과의 관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외진, 김춘경 (200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55-276.
송숙자 (2002). 중년기 대처방식과 정서적 위기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태용 (2013).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4(5), 2751-2781.
양난미 (2015). 한국판 대학생활 음주 중요성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41-61
엄명용, 조성우 (2005). 사회복지 실천과 척도개발: 표준화된 척도를 중심으로. 서울:학지사.
오남경, 이영순 (2015). 유기불안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05-929
왕석순, 서병숙 (1995). 중년기 적응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한국노년학, 15(1), 54-73.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10(2), 211-225.
이남주 (2006). 중년기여성의 위기감과 대처에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227-237.
이부영 (1978).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이서영 (2014). 중년기 기혼여성의 노후준비와위기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29-46.
이성원 (2014). 기업 상담을 위한 적응적 창의성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순묵 (1995). 요인분석 Ⅰ. 서울: 학지사.
이승화, 민경화 (2015). 부부, 가족상담: 중년기삶의 의미 유형에 따른 분류 및 특성. 상담학연구, 16(5), 399-415.
이영희 (2012). 미술을 매개로 한 집단상담이중년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9(5), 1095-1112.
이옥희, 이지연 (2012). 중년기 생성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665-688.
이은아, 정혜정 (2007).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301-329.
이호준 (2006). 참가자 관점 부모교육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경수 (2005). 인생의 봄과 가을 -중년의 심리이해와 분석. 서울: 학지사.
임경자 (2002).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달오, 박상화 (2016). 연령 구조가 고의적 자해 사망률에 미치는 기여 효과, 1985-89, 2010-14.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4), 411-416.
정성훈 (2013).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준구 (2009). 장애자녀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여가 및 가족기능이 심리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상진, 전겸구,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2판). 서울: 학지사.
한경혜, 이정화 (2012). 지금, 중년을 말할 때. 경기도: (주)교문사.
홍미혜 (1999).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Costa Jr, P. T., & McCrae, R. R. (1978). Objective personality assessment. In the clinical psychology of aging (pp. 119-143). Springer US.
Crocker, L., & Algina, J.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Holt, Rinehart and Winston.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Farrell, M. P., & Rosenberg, S. D. (1981). Men at midlife. Boston: Simon and Schuster.
Gorsuch, R. L. (1983). Factor analysis, 2nd. Hillsdale, NJ: LEA.
Gould, R. L. (1978). Transformations: Growth and change in adult life. N.Y.: Simon & Schuster.
Jaques, E. (1965).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4), 502-514.
Jung, C. G., & Hull, R. F. C. (1954).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Vol. 17). Pantheon Books.
Kimmel, D. C. (1980). Adulthood and ag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Kline, P. (1986). A handbook of test construction:Introduction to psychometric design. New York:Methuen.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Y:Guilford.
Levinson, D. J.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순 역. (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Levinson, D. J. (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김애순 역. (2004). 여자가 겪는 인생의사계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McCrae, R. R., & Costa, P. T. (2003). Personality in adulthood: A five-factor theory perspective. Guilford Press.
Meir, E. I., & Gati, I. (1981).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12.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4), 1011-1016.
Neugarten, B. L. (1968). The awareness of middle age. Middle age and aging, 93-98.
Pett, M. A., Lackey, N. R., & Sullivan, J. J. (2003).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Snyder, D. K. (1979). Multimensional assessment of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of the Family, 42(4), 96-109.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esota.
Tabachnick, B. G., Fidell, L. S., & Osterlind, S. J.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Vaillant, G. E. (1977). Adaptation to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Whitbourne, S. K., & Weinstock, C. S. (1986). Adult development. New York: Prae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