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1993년 - 2016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Meta Analy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1993-2016)

초록

본 연구는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93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이 루어진 연구 총 23편(학술지 논문 15편, 학위논문 8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3,782). Hedge-Olkin의 메타분석방법(HO)의 무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고 그 결과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간의 평균효과크기(r)는 .645(k=3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즉, 작업동맹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성과가 높아지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메타분석에 포함된 자료들의 이질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어떤 변수에 따른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5개의 조절변수(작업동맹 평정자, 작업동맹 척도 종류, 작업 동맹 측정시기, 상담대상자, 출판형태)에 따른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작업동맹 평정자, 작업동맹 척도, 상담대상자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출판형태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술지보다 학위논문인 경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
working alliance, counseling outcome, meta-analysis, 작업동맹, 상담성과, 메타분석

Abstract

A total of 23 studies conducted in Korea from 1993 to 2016 (N=3,782)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s through meta-analysis. Using the random effect model, the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mean effect size of r=.645 (k=32).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working alliance level is, the greater the counseling outcome will be. Because the data appeared to be heterogeneous, a search for moderator variables using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the group of raters, working alliance scales, and the type of clients. However, a difference was found in publication status. Specifically, in unpublished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was greater.

keywords
working alliance, counseling outcome, meta-analysis, 작업동맹, 상담성과, 메타분석

참고문헌

1.

강민희 (2012).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반더빌트 치료적 동맹 척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석영 (2008).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협력관계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3.

강혜영 (1995). 상담자 경력에 따른 상담협력관계의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민 (2016). 상담자와 내담자의 성인애착과작업동맹이 상담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경 (1992). 상담자-내담자 초기 협력관계의지각과 언어 상호작용 유형과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연 (2010).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기대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작업동맹을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7.

김수연, 장재홍 (2011).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기대가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9(2), 155-170.

8.

김원중 (1993). 상담자 자기 개방이 관찰자의 상담평가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은하, 박승민 (2011). 작업동맹(working alliance)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25.

10.

김지환, 장재홍 (2013). 청소년상담에서 작업동맹의 변화 형태와 수준에 따른 상담성과. 상담학연구, 14(6), 3575-3594.

11.

나현미, 정남운 (2016). 상담자의 성인애착, 상담자 발달수준 및 공감과 상담 초기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339-369.

12.

노민정, 유진은 (2015). 교육 분야 메타분석을위한 50개 필수 보고 항목. 교육평가연구, 28(3), 853-878.

13.

문현미, 민병배 (2001). 상담회기영양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247-262.

14.

명말희 (2004). 청소년 내담자의 내적통제성 및 자아존중감이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방기연 (1992).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자 반응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방은령, 최명선 (2004). 아동과 치료자간의 치료적 관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101-121.

17.

박병채 (2010). 청소년-상담자 작업동맹과 부모-상담자 작업동맹이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영석, 조화진, 조민아, 김민선, 최바올, 고은영, 안햐얀, 백근영, 최영희, 석분옥, 이 정선, 민경화 (2012). 상담자 즉시성이 상담회기평가 및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753-780.

19.

성예경, 최한나 (2011). 내담자의 타당화 경험이 작업동맹과 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작업동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1), 315-332.

20.

신희천 (2002). 내담자의 핵심적 갈등관계에대한 해석과 작업동맹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 (2), 285-299.

21.

오순문 (2010).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조직 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327-347.

22.

유성경, 손난희 (2010). 내담자의 상담 기대와실제 상담 성과와의 관계에서 치료동맹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31-947.

23.

윤경자 (1993). 상담자의 경험과 상담초기 작업동맹 및 상담회기의 효율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정숙, 유성경, 홍세희 (2012).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4). 1903-1919.

25.

이병관, 손영곤. (2016). 메타분석 결과에서 통계적 오류의 영향: 헤지스 올킨 방법과헌터 슈미트 방법의 비교분석.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15, 47-97.

26.

이상희, 김계현 (1993). 상담회기 평가 질문지(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의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5(1), 30-47.

27.

이수림 (2008). 상담자의 지혜와 상담과정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수림, 조성호 (2010). 상담자의 지혜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71-94.

29.

임전옥, 장성숙 (2015). 상담자의 정서지능과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7(3), 491-518.

30.

장재홍 (1999). 계획 공식화 방법에 의한 심리치료 과정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민선, 김지현 (2013). 남성상담자의 감정억제와 공감, 내담자의 작업동맹과 상담만족. 상담학연구, 14(1), 711-729.

32.

정은미 (2004). 청소년 내담자의 작업동맹특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가족복지학, 9(1), 179-199.

33.

정남운 (1998). 상담과정에서의 대인관계적 상보성과 상담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차진이 (2016). 상담관계와 상담성과: 메타분석적 개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윤미 (1987). 상담자의 반응의도와 상담회기의효율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최인화 (2007). 청소년내담자의 애착이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최정호, 한영주 (2015). 청소년 상담에서 내담자의 상담기대, 작업동맹, 상담자 발달수준이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4), 113-132.

38.

최한나, 권윤주, 강귀옥 (2015).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1990-2014). 상담학연구, 16(3), 85-99.

39.

최현정 (2016). 상담자와 청소년 내담자의 작업동맹이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40.

하철오, 신희천 (2014). 상담자,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작업동맹이 상담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79-901.

41.

한영주, 박순주, 채선기, 김수진, 최정호 (2016). 연구논문: 청소년상담에서 상담성과에 기여하는 치료적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3(4), 273-297.

42.

한은주, 최한나 (2013). 역전이 활용능력과 상담만족도의 관계: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이해, 34(1), 75-91.

43.

황인호 (2004).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행동 및 상담협력관계가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황인호 (2005).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 상담협력관계가 상담만족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47-563.

45.

Allumbaugh, D. L., & Hoyt, W. T. (1999). Effectiveness of grief therapy: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70-380.

46.

Bordin, E. S. (1975). The working alliance: Basis for a general theory of psychotherapy. Washington, DC: Society for Psychotherapy Research.

47.

Bordin, E. (1979). The generalizability of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the working allianc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16(3), 252-260.

48.

Bordin, E. S. (1989). Building therapeutic alliances:The base for integration. CA: Society for Psychotherapy Research.

49.

Bordin, E. S. (1994). Theory and research on the therapeutic working alliance: New directions. In A. O. Horvath & L. S. Greenberg (Eds.), The working allianc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3-37). New York: Wiley.

50.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Criticisms of Meta-Analysis, 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doi:10.1002/9780470743386.

5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14).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Computer software}. Englewood, NJ: Biostat.

52.

Burlingame, G., Wells, M., Lambert, M., & Cox, J. C. (2004). Youth outcome questionnaire (Y-OQ).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s Assessment, 2, 235-273.

53.

Cheung, S. F., & Chan, D. K. S. (2004). Dependent effect sizes in meta-analysis:incorporating the degree of interdepende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5), 780-791.

5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Routledge.

55.

Cooper, H., Hedges, L. V., & Valentine, J. C. (2009).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2nd ed.).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6.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el plot 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57.

Elliott, R., & Wexler, M. M. (1994). Measuring the impact of sessions in process Experiential therapy of depression: The Session Impacts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2), 166-174.

58.

Eysenck, H. J. (1952). The effects of psychotherapy: an evaluation.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6(5), 319-324.

59.

Frank, J. D. (1971).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therapy.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25(3), 350-361.

60.

Frank, J. D., & Frank, J. B. (1991). Persuasion and healing: A comparative study of psychotherapy (3rd ed.).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1.

Freud, S. (1912/1958). The dynamics of transference [Zur Dynamik der Übertragung]. In J. Strachey(Ed. and Tran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x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12, pp.99-108). London:Hpgarth Press(Original work published in 1912).

62.

Gelso, C. J., & Carter, J. A. (1985). The relationship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Components, consequences, and theoretical antecedent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3(2), 155-243.

63.

Greenson, R. R. (1965). The working alliance and the transference neurosis. Psychoanalysis Quarterly, 34, 155-181.

64.

Grencavage, L. M., Norcross, J. C. (1990) Where are the commonalities among the therapeutic common factor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1(5), 372-378.

65.

Hartley, D. E., & Strupp, H. H. (1983). The therapeutic alliance: Its relationship to outcome in brief psychotherapy. Empirical Studies of Psychoanalytic Theories, 1, 1-37.

66.

Higgins, J. P., Thompson, S. G., Deeks, J. J., & Altman, D. G.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ritish Medical Journal, 327. 557-560.

67.

Horvath, A. O., & Bedi, R. P. (2002). The alliance. In J. C. Norcross (Ed.), Psychotherapy relationships that work: Therapist contributions and responsiveness to patients (pp. 37-69). North Carolina: Oxford University Press.

68.

Horvath, A. O., Del Re, A. C., Flückiger, C., & Symonds, D. (2011). Alliance in individual psychotherapy. Psychotherapy, 48(1), 9-16.

69.

Horvath, A. O., & Greenberg, L. S.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2), 223-233.

70.

Horvath, A. O., & Luborsky, L. (1993). The role of the therapeutic alliance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4), 561-573.

71.

Horvath, A. O., & Symonds, B. D. (1991). 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2), 139.

72.

Kronmueller, K., Hattmann, M., Reck, C., Victor, D., Horn, H., & Winkelmann, K. (2003). Die therapeutische Beziehung in der Kinder und Jugendlichen-Psychotherapie: Evaluation einer deutschen Version der Therapeutic Alliance Scales for Children. (Therapeutic alliance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otherapy:Evaluation of a German vers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Scales for Children). Zeitschrift für Klimische Psychologie und Psychotherapie: Forschung und Praxis, 32(1), 14-23.

73.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1), 159-174.

74.

Larsen, D. L., Attkisson, C. C., Hargreaves, W. A., & Nguyen, T. D. (1979). Assessment of client/patient satisfaction: Development of a general scale.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197-207.

75.

Luborsky, L. (1976). Helping alliances in psychotherapy. In J. L., Cleghhorn (Ed.), Successful psychotherapy (ch. 2 and 3), New York: Brunner/Mazel.

76.

Martin, D. J., Garske, J. P., & Davis, M. K. (2000). Relat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with outcome and other variable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3), 438-450.

77.

Rogers, C. R.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2, 95-103.

78.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79.

Rosenzweig, S. (1936). Some implicit common factors in diverse methods of psychotherap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3), 412-415.

80.

Shadish, W. R., & Haddock, C. K. (1994). Combining estimates of effect size. In: Cooper, H., & Hedges, L. V. (ed.),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pp. 261-281).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81.

Shirk, S. R., & Saiz, C. C. (1992). Clinical, empir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hild psychotherap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4), 713-728.

82.

Stiles, W. B. (1989). Use of th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Oxford, Ohio: Miami University.

83.

Tracey, T. J., & Kokotovic, A. M. (1989). Factor structure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3), 207-210.

84.

Wampold, B. E. (2007). Psychotherapy: The humanistic (and effective)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st, 62(8), 857-873.

85.

Wampold, B. E., & Imel, Z. E. (2015).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The evidence for what makes psychotherapy work. Abingdon, UK: Routledge.

86.

Yoo, S. K., Hong, S. H., Son, N. H., & O’Brien, K. M. (2014). Working alliance as a mediator and moderator between expectations for counseling success and counseling outcome among Korean cli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5, 271-281.

87.

Zetzel, E. R. (1956). Current concepts of trans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7, 369-37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