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an Online Reflective Writing Program on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mo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의 변화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화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자기성찰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Pennebaker의 치료적 글쓰기, Adams의 저널치료, Rashid의 긍정심리치료를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박사학위를 소지한 상담심리전문가 3인의 감수를 받은 후 주 1회 8주간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후 8주 경과 후 사전-사후-추후 측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실험집단(N=12)과 통제집단(N=13)의 차이를 비모수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구조화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수련중인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들의 자기인식과 자기성찰, 그리고 자존감의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구조화된 글쓰기 프로그램이 상담수련생들의 자기성찰을 돕는 수련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과 시․공간의 제약 및 신체상의 불편으로 인해 대면상담서비스 접근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잠재적 내담자들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keywords
성찰적 글쓰기, 자기인식, 자기성찰, 자존감, 비모수검정, Reflective writing program,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Self-Esteem, Non-parametric Statistic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an online reflective writing program on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mong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In total, 25 students participated; 12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13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8 weekly sessions; both groups conducted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ime in all three a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ructured reflective writing program, utilizing online media, effectively improves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mong graduate students studying counseling psycholog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are discussed.

keywords
성찰적 글쓰기, 자기인식, 자기성찰, 자존감, 비모수검정, Reflective writing program,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Self-Esteem, Non-parametric Statistics

참고문헌

1.

고윤희, 박성현 (2014).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05-839.

2.

고은숙 (2010). 성인의 자기 인식을 위한 ERP 연극치료 기법활용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식 (201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의사소통 유형 분류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특성 연구: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비교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미, 이준웅, 장현미 (2011). 블로그 동기와 이용자 규모에 대한 인식이 블로그 운영과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5(6), 162-203.

5.

김은실 (2015). 교사 및 상담자의 자존감 회복을 위한 Self-up 프로그램. 한국카운슬러협회, 50, 321-330.

6.

김은정 (2009). 고백적 글쓰기 치료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화중 (2012). 긍정적 글쓰기 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문지혜 (2009). 암묵적 자존감에 대한 정서적 글쓰기의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광배, 엄진섭 (2001). 변량분석사용의 잘못된 관행. 한국심리학회지: 20(1), 179-194.

10.

박세원 (2012). 존재론적 탐구로서의 저널쓰기: 예비교사의 자기 정체성 형성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15(1), 1-58.

11.

박홍석, 이정미 (2015).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133-158.

12.

배연욱, 조성호 (2009). 상담자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및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 27, 19-42.

13.

백정미, 이민규 (2010). 스트레스 예방 훈련적 글쓰기를 통한 자기노출이 외상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25-145.

14.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827.

15.

서주연, 이정민 (2013). 페이스북 기반의 성찰저널 적용사례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17(2), 313-318.

16.

서진환 (2010). 가족치료 연구-실천의 통합을 위한 성과연구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8(2), 1-25.

17.

성태제 (2004).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개정판). 서울: 학지사.

18.

신현기, 우지숙 (2011). 트위터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담론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 사회, 19(3), 45-76.

19.

안미순, 정민선 (2017). 상담자의 영성과 상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2), 119-146.

20.

오태호 (2012).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 경희대 ‘글쓰기 1’ 교재 『나를 위한 글쓰기』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65-99.

21.

유성경, 심혜원 (2005).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789-812.

22.

이병준 (2011). 저널치료를 통한 갈등부부들의 자기자각 경험에 대한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봉희 (2007). 저널치료: 새로운 일기쓰기. 새국어교육, 77, 235-264.

24.

이숙정, 신정혜 (2014). 성찰적 글쓰기 활동이 여대생의 Self-authorship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8(6), 337-374.

25.

이예슬 (2014). 글쓰기 치료의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우진, 김정애 (2016). 미술치료 전공자의 저널쓰기 체험의 의미. 미술치료연구, 23(5), 1447-1468.

27.

이은정, 조성호 (2000). 심리적 상처 경험에 대한 글쓰기 고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205-220.

28.

이정미, 박홍석 (2017). 자기인식척도(SA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8(5), 1-20.

29.

이정희, 김춘경 (2011). 온라인 글쓰기치료 프로그램이 근육병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221-242.

30.

이진욱 (2010).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관한 문화기술연구: 함께 작업장 학교교수-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장재혁 (2013).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상실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장현미 (2013). SNS 글쓰기는 다정한 사람을 만드는가?: 페이스북에서 글쓰기가 공감경험과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장현아 (2011). 심리적 외상에 대한 인터넷 매개 글쓰기 치료의 효과: 사례 연구. 인간이해, 32(2), 71-88.

34.

장희선 (2006). 고등학생의 자아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변화.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전경옥, 하 정 (2015).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역전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6(2), 41-53.

36.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37.

정정숙, 배지현 (2013). 글쓰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중년기여성들의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3(1), 53-72.

38.

조명숙 (2010). 긍정적 과거쓰기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조유경 (2012). 초심상담자의 사적자의식,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역전이 활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하 정, 홍지영 (2011). 집단 수퍼비전 경험을 통한 상담자의 발달적 변화 과정. 아시아교육연구, 12(3), 279-303.

41.

한래희 (2014).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연구. 작문연구, 20, 335-378.

42.

허재경, 김지현 (2009).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상담학연구, 10(2), 719-740.

43.

황유선 (2011). 트위터 이용이 사회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6), 56-81.

44.

황주연 (2011).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 자기성찰, 안녕감 간의 경로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황주연, 정남운 (2010). 상담자 자기성찰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241-263.

46.

황채운, 박지아, 유성경, 강지연 (2009). 상담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3), 1359-1382.

47.

Adams, K. (1990). Journal to the self: Twenty-two paths to personal growth - open the door to self-understanding by reading, writing, and creating a journal. New York: Warner Books.

48.

Adams, K. (1998). The way of the journal. Baltimore: Sidran Institute Press.

49.

Bolton, G., Howlett, S., Lago, C., & Wright, J. K.(Eds.) (2004). Writing cures. NY: Brunner Routledge.

50.

Brodley, B. T. (1999). Reasons for responses expressing the therapist’s frame of reference in client-centered therapy. The Person-Centered Journal, 6(1), 4-27.

51.

Brookfield, S. D. (1995). Becoming a critically reflective teacher. San Francisco: Jossey-Bass.

52.

Corey, G. (2012a).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9th ed.). CA: Cengage Learning.

53.

Corey, G. (2012b). The art of integrative counseling(3rd Ed.). MA: Cengage Learning.

54.

Corey, G. (2015). Becoming a helper(7th Ed.). MA: Cengage Learning.

55.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r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3), 593-623.

56.

Daniels. J., & Feltham. C. (2004). Reflective and therapeutic writing in counsellor training. In G. Bolton, S. Howlett, C. Lago, & J. K. Wright (Eds.) Writing cures: An introductory handbook of writing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pp. 181-188). NY: Brunner Routledge.

57.

Davidson, K., Schwatz, A. R., Sheffield, D., Moord, R. S., Lepore, S. J., & Gerin, W. (2003). Expressive writing and blood pressure. In S. J. Lepore & J. Smyth (Eds.) The writing cure (pp. 17-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

Dewey, J. (1933). How we think. Boston D. C.: Health and company.

59.

Duval, S., & Wicklund, R. A. (1973). Effects of objective self-awareness on attribution of causa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9(1), 17-31.

60.

Govern, J. M., & Marsch, L. A.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0(3), 366-378.

61.

Greenier, D. D., Kernis, M. H., McNamara, C. W., Waschull, S. B., Berry, A. J., Herlocker, C. E., & Abend, T. A. (1999).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ctivity to daily events: Examining the roles of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67(1), 187-208.

62.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Y: Guilford Press.

63.

Kathrin, H., Rainer, B., & Roland, I. (2015). Affiliation or power: What motivates behavior on social networking sites? Swiss Journal of Psychology, 74(1), 37-47.

64.

Mackaskill, A. (1999). Personal therapy as a training requirement: The lack of supporting evidence. In C. Feltham (Ed.), Controversies in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London: Sage.

65.

Pennebaker, J. W. (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Psychological Science, 8(3), 162-166.

66.

Pennebaker, J. W. (2004). Writing to heal: A guided journal for recovering from trauma & emotional upheaval.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s.

67.

Rashid, T. (2008). Positive psychotherapy. In S. J. Lopez (Ed.)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Vol. IV; pp. 188-217), CT: Praeger.

6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n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Smyth, J. M. (1998). Written emotional expression: Effect size, outcome types, and moderating variab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1), 174-184.

70.

Stickel, S. A., & Trimmer, K. J. (1994). Knowing in action: A first-year counselor's process of reflection. Elementary School Guidance & Counseling, 29(2), 102-109.

71.

Stiles, W. B., Shapiro, D. A., & Elliott, R. (1986). Are all the psychotherapies equivalent? America Psychologist, 41(2), 165-180.

72.

Takano, K., & Tano, Y. (2009). Self-rumination, self-reflection, and depression: Self-rumination counteracts the adaptive effect of selfreflec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7(3), 260-264.

73.

Tao, K. W. (2014). Too close and too far: Counselling emerging adults in a technological age. Psychotherapy, 51(1), 123-127.

74.

Yalom, I. D., & Leszcz, M. C.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NY: Basic Book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