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고등학교 교사경험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Response Process Following a Traumatic Suicide Event: A High School Teacher Experience

초록

본 연구는 한 해에 두 번의 자살사건이 발생한 경기지역 A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자살사건에 대한 학교의 외상대응과정을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게이트키퍼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8명의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 확인된 외상대응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5단계로 구성되었다. 먼저, 자살사건으로 학교 전체가 충격에 빠졌지만(공황기), 현실에 닥친 과제들로 이러한 충격이 해소되지 않은 채 슬픔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엄폐기). 하지만 자살한 학생의 추모영상이 인터넷에 배포되면서 애도의 글들이 올라왔고(돌발적 재현기), 교사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학교상담사, 외부전문기관과 협력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협력모색기). 나아가 교사들은 학교상담사와 함께 고위기학생을 예방하고, 발굴하며 연계하면서 외상대응을 구축해나갔다(대안구축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자살사건으로 인한 외상대응과정에서 공황기에는 이상심리검사를 지양하고, 관찰과 기존 위기정보를 통한 위기선별, 위기선별에 따른 개별적인 심리지원, 엄폐기에는 위기선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으로 집단 디브리핑, 심리적 응급처치 등의 심리개입, 돌발적 재현기에서는 공동체 내 집단 외상에 대한 애도과정의 필요성 인식 및 구성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애도과정과 지속적 개입, 협력모색기와 대안구축기에서는 학교와 외부전문기관의 협업체계구성 및 역할에 대한 구체적 명시, 법적지위보장, 위기대처교육 형식과 내용의 변화가 제시되었다.

keywords
Trauma, Responding Process, Suicide Event, Case Study, 외상, 대응과정, 자살사건, 사례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specific measures needed to cope with a school crisis by looking at a teacher’s response process of a traumatic suicide event. Five stages comprised the chronological trauma response process: panic, suppress, sudden reappearance, seeking cooperation, and building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age-specific suggestions are discussed, such as: avoid abnormal psychological testing during the “panic” stage and instea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observation. During the “suppress” stage, utiliz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such as group debriefing and psychological first aid treatment. During the “sudden reappearance” stage, recognize of the necessity of the mourning process. During the “seeking cooperation” and “building an alternative” stages, ensure the existence of a cooperative system structure within both the school and affiliated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keywords
Trauma, Responding Process, Suicide Event, Case Study, 외상, 대응과정, 자살사건, 사례연구

참고문헌

1.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 (2011).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교육심리연구, 25(2), 277-293.

2.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6). 경기도 청소년 자살현황과 대응방안. https://www.gfwri.kr/2005home/program/research/notice_dtl.php?r_idx=281&gotopage=1&keyword=&keyfield=&inja=semina 에서 검색.

3.

공수연, 양성은 (2011). 성인 자녀의 부모 사별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885-896.

4.

교육부 (2016). 자살외상개입 매뉴얼. http://www.schoolhealth.kr/shnhome/bbs/bbs01002v.php?LstNum1=1828&PageNum=16&purl=bbs01001l&GbnCode=01에서 검색.

5.

교육부 (2016). 학교안전교육실시 등에 관한 고시 (교육부 고시 제2016-90호). http://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33&boardSeq=6258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20&s=moe&m=0501&opType=N에서 검색.

6.

권일남 (2014). 세월호 사건 이후 청소년 지도·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133-133. 8월 28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ECC.

7.

권진숙 (2016).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관계 문화적 목회 돌봄. 목회와 상담, 26, 42-82.

8.

권호인, 김 란, 노법래, 서은희, 홍현주, 권용실 (2014). 학교기반 자살예방 프로그램: 장점과 제한에 대한 교사의 인식. School counselor, 92(1), 15-6.

9.

권해수, 류진아 (2007). 학교 상담: 학교 기반의 외상청소년 통합지원모형 개발. 상담학연구, 8(3), 1205-1221.

10.

김병찬 (2003).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1(1), 1-27.

11.

김수지 (2001). 호스피스 총론. 서울: 한국호스피스 협회.

12.

김인희, 이혜진 (2014). 학교변화의 과정에 작용하는 동력에 관한 연구: Rogers의 혁신이론에 근거한 학교변화 사례 분석. 교육정책연구, 12(1), 77-118.

13.

김왕배 (2014).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과 전망. 보건과 사회과학, 37, 5-24.

14.

김인규 (2012). Wee 프로젝트 인력 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사회과학논총, 27(2), 87-104.

15.

박미라 (2015). 외상집단상담 사례연구-서울의 A 고등학교의 자살사후 개입. 신학과 실천, 44, 203-227.

16.

박재연, 정익중 (2010).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개인수준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2(32), 69-97.

17.

박정아 (2015).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본 한국인의 트라우마와 치료적 신화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연세상담코칭연구, 3, 61-85.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18.

배주미 (2012). 청소년자살 관련 외상대응시스템 및 개입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78-78. 8월 23일.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 회관.

19.

배주미 (2012). 청소년자살 관련 외상대응시스템 및 개입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78-78. 8월 23일.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 회관.

20.

백종우, 조선진, 이수정, 옹진영, 박종익 (2014). 한국형 표준자살예방교육프로그램 [보고 듣고 말하기]가 게이트키퍼의 개입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53(6), 358-363.

21.

송인한, 권세원, 박단비 (2012).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52-376.

22.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1.

23.

오혜영 (2015). 국내외 대학교의 자살 외상 대응.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112-112. 서울: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24.

유 숙, 강진숙 (2016). 사회적 트라우마의 개성화와 치유를 위한 미디어 테라피 가능성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60(6), 167-192.

25.

윤운영, 유금란 (2013).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경험에 대한 이해와 학교상담의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241-262.

26.

이승연 (2007a). 청소년 자살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지식과 오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2), 97-117.

27.

이승연 (2007b). 학교장면에서의 자살 사후중재. 상담학연구, 8(1), 161-180.

28.

이주연, 김성완, 장지은, 강희주, 김미정, 박지현, 김은숙, 김재민, 신일선, 윤진상 (2014). 초중고 학생들의 자살행동에 대한 상담교사의 인지 및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20(1). 45-53.

29.

정익중, 박재연, 김은영 (2010).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1), 222-251.

30.

조현진 (2008). 학교에서의 청소년외상개입 고찰. 청소년복지연구, 10(1), 215-236.

31.

최명민, 김가득, 김도윤 (2016). 자살로 사별한 노년기 배우자의 상실경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4(1). 76-105.

32.

통계청 (2016). 2016 청소년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3501에서 검색.

33.

하재림 (2013, 9, 10). 청소년 자살 10년간 57.2%↑…증가율 OECD 2위.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3/09/09/0701000000AKR20130909175800017.HTML 에서 검색.

34.

학교안전정보센터 (2014). 대구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자살외상개입매뉴얼. www.wee.go.kr/glib/download.php?gbn_cd=bbs&sno=43154&seq=1 에서 검색.

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3 연차보고서.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research/view.do?division=001&ano=1726&menuId=44&tid=71&bid=12 에서 검색.

36.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 자살 사후개입 매뉴얼개발 .https://www.kyci.or.kr/usersite/lib/public_list.asp 에서 검색.

37.

홍성희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사이버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범죄학, 10(3), 147-177.

38.

황순길, 김동민, 강태훈, 손재환, 김지혜 (2016). 전국 청소년 위기실태 및 위기결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8(4), 47-70.

39.

Brock, S. E. (1994). Crisis preparedness: Steps in the development of a crisis intervention policy. NASP Communiqué, 22(1), 24-25.

40.

Brock, S. E. (2009). School crisi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he PREPaRE model. Bethesda, MA: NASP Publications.

41.

Brock, S. E., Sandoval, J., & Lewis, S. (2001). Preparing for crises in the schools: A manual for buildin g school crisis response team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42.

Callahan, J. (1996). Negative effects of a school suicide postvention program-a case example. Crisis, 17(3), 108-115.

43.

Carmean, S. (2007). Suicide postvention: How can we improve existing models. Masters dissertation. Smith College School for Social Work, Northampton, MA, USA.

44.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45.

Cres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nd ed.). Thousand Oaks, CA: Sage.

46.

Davis, C., & Hinger, B. (2005). Assessing the needs of survivors of suicide. Alberta: Calgary Health Region.

47.

Denzin, N, K. (1978).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48.

Gerler, E. R. (2013). Handbook of school violence. Philadelphia, PA: The Haworth Reference Press.

49.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Jossey-Bass.

50.

Hagman, G. (2014). Helping Newtown: Reopening a school in the aftermath of tragedy.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45(177), 1-8.

51.

Hazell, P. (1991). Postvention after teenage suicide: An Australian experience. Journal of Adolescence, 14(4), 335-342.

52.

Huberman, A. M., & Miles, M. B. (1994).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litative Research(pp. 428-444). Thousand Oaks, CA: Sage.

53.

Knox, K. S., & Roberts, A. R (2005). Crisis intervention and crisis team models in schools. Children & Schools, 27(2), 93-100.

54.

Leenaars, A. A., De Wilde, E. J., Wenckstern, S., & Kral, M. (2001). Suicide notes of adolescents: A life-span comparison.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33(1), 47-57.

55.

Maples, M. F., Packman, J., Abney, P., & Daugherty, R. F. (2005). Suicide by teenagers in middle school: A postvention team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3(4), 397-405.

56.

McWhirter, J. J. (2004). At-risk youth: A comprehensive response: For counselors, teachers, psychologists, and human service professionals. Belmont, CA: Wadsworth Pub Co.

57.

Nadeem, E., Kataoka, S. H., Chang, V. Y., Vona, P., Wong, M., & Stein, B. D. (2011). The role of teachers in school-based suicide prevention: A qualitative study of school staff perspectives. School Mental Health, 3(4), 209-221.

58.

Newgass, S., & Schonfeld, D. J. (2000). School crisis intervention, crisis prevention, and crisis response. In K. Yeager & A. Roberts (Eds.), Crisis intervention handbook: Assessment, treatment, and research (pp. 209-228).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59.

Poland, S., & McCormick, J. S. (1999). Coping with crisis: Lessons learned. Long Mont. Bel Air, CA: Sopris West.

60.

Poland, S., Pitcher, G. D., & Lazarus, P. J. (1995). Best practices in crisis intervention, In A. Thomas & J. Grimes (Eds.), Best practices in school psychology (pp. 445-458). Washington, DC: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

61.

Reeves, M. A., Kanan, L. M., & Plog, A. E. (2010). Comprehensive Planning for Safe Learning Environments: A School Professional's Guide to Integra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Prevention through Recovery. Abingdon, UK: Taylor & Francis.

62.

Saltzman, W. R., Pynoos, R. S., Layne, C. M., Steinberg, A. M., & Aisenberg, E. (2001). Trauma-and grief-focused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exposed to community violence: Results of a school-based screening and group treatment protocol.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4), 291-303.

63.

Verena, Kast (1988). A time to mourn: Growing through the grief process. Einsiedeln, Switzerland: Daimon Verlag

64.

Verena, Kast (2015). 애도: 상실과 마주하고 상실과 더불어 살아가기 (채기화 역). 서울: 궁리. (원전은 2007에 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