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의 하위 요인에 따라 심리적 통제, 행동통제를 매개로 청소년의 자존감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된 경로에 초․중․고 집단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 통제․행동통제를 매개변인으로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 중 사회․객관적 능력, 긍정적 성품, 가족이 심리적통제와 행동통제를 매개로 하여 청소년 자녀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는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유의하지 않았고 행동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청소년의 자존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사회․객관적 능력은 심리적 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행동통제를 통해 자존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나 심리적통제와 행동통제가 사회․객관적 능력과 자존감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의미한다. 또한 긍정적 성품과 가족이 심리적통제와 행동통제를 통해 자존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 성품과 자존감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가족만이 자존감에 직접효과가 유의미하여 가족과 자존감 간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mportance of maternal self-worth domains that affect adolescent self-esteem through psychological/behavior control. In the evaluation of self-esteem domains, the following sub-items effected adolescent self-esteem through psychological behavior control: ‘Social/Objective ability’, ‘Positive character’, and ‘Fami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tatic effect on behavior control but did not affect psychological control or self-esteem. ‘Family’ exclusively directly affected self-esteem, so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psychological/behavior control is partially mediated by family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potential follow up studies are discussed.
김경혜, 공경혜 (2004).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중심으로. 방과후아동지도연구, 1(1), 113-126
김민정 (2016). 자존감 2요인 모델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3), 411-434.
김세영, 정태연 (2013). 한국 어머니에게 자녀가 갖는 삶의 의미.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3(1), 149-149.
김수연, 정문자 (1997). 어머니-청소년 자녀간의 갈등에 관련된 변인. 대한가정학회, 35(3), 181-192.
김순화, 박성수 (1983). 부모의 자녀행동 통제양식의 지각과 자아정체수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4(1), 65-74.
김혜진, 도현심, 박보경 (2017).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자기분화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학령후기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연구, 38(1), 233-249.
김희화 (1998).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 환경변인 및 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희화 (2003).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인터넷 비행에 대한 모 감독과 심리적 통제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133-153.
남정민 (2016).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 그리고 심리적 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남정민, 성현란, 권선영 (2014).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녀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47-167.
남현미 (1999).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성연, 이은경, 송주현 (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7(1), 25-27.
배병렬 (2011). (Amos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설경옥, 경예나, 박지은 (2015).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109-131.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신희수, 안명희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21-641.
안명희 (2014).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 우울: 모-자녀 관계만족도, 분노,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37-758.
안명희, 신희수 (2012).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기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2), 227-253.
안신호, 박미영 (2005). 자존감 결정요인: 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109-140.
양경화 (2006).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적응강화를 위한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성경, 이소래 (1998).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에 대한 개입체계 개발 연구.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유영숙, 하창순 (2016).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녀 행동 통제와 자기통제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2), 197-216.
윤미숙 (1999).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화, 고진영 (2003). 유아기에서 성인초기에 이르는 자아개념의 발달적 경향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34(1), 619-694.
이동귀, 양난미, 박현주 (2013). 한국형 자존감 평가영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일반, 32(1), 271-298.
이미정 (1986). 아버지의 자기존중감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 도현심, 지연경 (2011). 부와 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아동학회지, 32(5), 67-84..
이민식, 오경자 (2000).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19(4), 727-745.
이성대, 염동문, 김서정 (2013).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1), 55-75.
이수란, 이동귀 (2008).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0(2), 313-335.
이주옥 (1993).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갈등에 대한 질적연구-갈등의 유형, 해석 및 그 해결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회란 (2012).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녀의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재원, 신희천 (2011). 자존감의 안정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23(3), 635-654.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1), 109-129.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 45(6), 101-111.
전하람, 김경근 (2006). 고등학생의 교육포부 결정요인분석: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연구, 16(4), 185-206.
정문자, 정현숙 (1994). 청소년의 긴장에 대한 대처전략과 관련변인. 아동학회지, 15(2), 3-19.
정현희, 오미경 (1993). 청소년기 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개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1(1), 85-95.
조성덕, 한세영 (2013). 어머니의 자존감과 심리통제 및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3), 99-117.
조윤희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감독 및 심리적 통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경호,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105-139.
최정아, 이혜은 (2008). 청소년의 우울과 지각된 부모의지지, 행동적 통제 및 심리적 통제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아통제력 및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9(1), 295-326.
통계청 (2017). 2017 청소년 통계. http://kostat.go.kr
한승욱 (2010). 부모양육과 자기통제력이 청소년 폭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홍세희 (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2007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미간행.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r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1), 78-102.
Barber, B. K., Olsen, J. E., &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5, 1120-1136.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Barber, B. K., & Harmon, E.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 Americal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Barber, B. K., Stolz, H. E., & Olsen, J. A. (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raphs of the SRCD, 70(Serial NO. 282).
Brown, J. D. (1994, October). Self-esteem: It’s not what you think. Paper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Lake Tahoe, NV.
Brown, J. D., & Marshall, A. M. (2001). Self-esteem and emotion: Some thoughts about feeling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on, 27(5), 575-584.
Calzada, E. J., & Eyberg, S. M. (2002). Self-reported parenting practices in dominican and puerto 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1(3), 354-363.
Cooley, C. H. (1902).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김문조 외 8인 공역(2004). 사회학이론의 형성. 서울: 일신사.
Coopersmith, S. (1981).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mpany.
Crocker, J., Luhtanen, R. K., Cooper, M. L., & Bouvrette, S. (2003). Contingencies of self-worth in college students: Theory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5), 894-908.
Crocker, J., & Park, L. E. (2003). Seeking self-esteem: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protection of self-worth. In M. R. Leary,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pp. 291-313). New York: The Guilford Press.
Crocker, J., & Wolfe, C. T. (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3), 593-623
Field, A. (2009).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Introducing Statisitical Method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Garber, J., Robinson, N. S., & Valentiner, D. (1997).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sion: Self-worth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1), 12-33.
Gomez, R., Gomez. A., Demello, L., & Tallent, R. (2001). Perceived maternal control and support: Effects on hostile biase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2(4), 513-522.
Grych, J. H., & Fincham, F. D. (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2), 267-290.
James, W. (1983).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890)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Leary, M. R., & Baumeister, R. F. (2000). The nature and function of self-esteem: Sociometer theory.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pp.1-6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Leary, M, R., & Downs, D. L. (1995). Interpersonal functions of the self-esteem motive: The self-esteem system as a sociometer. In M. H. Kernis (Ed), Efficacy, agency, and self-esteem. (pp. 123-144). New York: Plenum Press.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Mruk, C. J. (2006). Self-esteem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self-esteem(3th ed). New York: springer.
Nelson, D. A., & Crick, N. R. (2002).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mplications for childhood physical and relational agreession.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scents(pp. 161-1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pini, D. R., & Roggman, L. A. (1992). Adolescent perceived attachment to parents in relation to competence, depression, and anxiety: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2(4), 420-440.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Michael, M.,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8.
Pomerantz, E. M., & Eaton, M. M. (2000).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hildren’s conceptions of parental control: “They love me. But they make me feel incompetence.” Merrill-Palmer Quarterly, 46(1), 140-167.
Pyszczynski, T., & Cox, C. (2004). Can we really do without self-esteem?: Comment on Crocker and Park. Psychological Bulletion, 130(3), 425-429.
Robins, R. W., & Trzesniewski, K. H. (2005). Self-esteem development across the lifespa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3), 158-16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Smetana, J. G., & Daddis, C. (2002). Domain-specific anteceden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The role of parenting beliefs and practices. Child Development, 73(2), 563-580.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10). A theoretical upgrade of the concep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roposing new insights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Developmental Review, 30(1), 74-99.
Steinberg, L. (1990).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R. Elliott(Ed),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p.255-276). Cambridge, MA, US: Harvard University Press.
Tafarodi, R. W., & Ho, C., (2006). Moral value, agency, and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In M. H. Kernis (Ed.),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 (pp. 110-118). New York: Psychology Press.
Verschueren, K., Doumen, S., & Buyse, E. (2012).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s: Unique and joi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ttachment Human Development, 14(3), 233-248. doi:10.1080/14616734.2012.672263
Zhu, Y., Zhang, L., Fan, J., & Han, S. (2007). Neural basis of cultural influence on self-representation. Neuro Image, 34(3), 1310-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