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군대 내 성폭력 피해 병사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oldier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초록

본 연구는 군대 내에서 성폭력을 겪은 병사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대 내에서 성폭력을 겪은 전역자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성폭력과 관련된 어려움, 군대 내에서 경험한 정서와 대인관계, 전역 이후 경험한 정서와 대인관계, 피해회복을 위한 노력과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성폭력을 경험한 군부대 내의 환경, 성폭력의 양상, 성폭력 이후의 경험, 피해회복을 위한 노력과 적응과정까지 총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하로 총 10개의 범주와 3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피해자의 심리적 회복을 돕는 요소로 적극적인 인지적 대처, 주변인과의 대화를 통한 지지의 수용, 신체활동,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대 내에서 발생된 성폭력 경험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문제의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military, sexual violence, experiences, adaptation proces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군인, 성폭력, 경험, 적응과정, 합의적 질적 연구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soldi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en discharged soldiers who had experienced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and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focusing on sexual violence-related difficulties, emotions and relationships experienced in the military, emotions and relationships experienced after discharge, efforts to recover from trauma, and the adaptation process. Four domains were derived, including ‘atmosphere where it is difficult to report sexual violence,’ ‘aspects of sexual violence,’ ‘feeling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fter sexual violence,’ and ‘efforts and adaptation process for recovery from trauma,’ which were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and 38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including prevention and mitigation measures, are discussed.

keywords
military, sexual violence, experiences, adaptation proces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군인, 성폭력, 경험, 적응과정,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1.

강동욱 (2012). 군 성폭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수연 (2001). 고등학생의 성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부산시내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홍월, 권경인, 김계현, 김성회, 김재철, 김형수, 서영석, 이형국, 탁진국, 황재규 (2013). 상담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36- 139.

4.

곽용철 (2007). 군 내 성희롱 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인숙 (2004). 군대 내 남성 간 성폭력과 남성성: 공론화되지 않은 원인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1(1), 3-35.

6.

권인숙 (2007). 한국 대학의 권위주의적 위계와 성차별적 젠더 문화: 군사화된 실태파악과 그에 대한 교육적 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12-24.

7.

권희경, 장재홍 (2003). 성폭력 장기후유증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551-566.

8.

김경희, 권혜진, 정혜경 (2004). 남자 청소년의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4(6), 954-963.

9.

김기인, 김선옥, 노수진, 도진회, 배지혜, 윤지현, 이민희, 정미현, 최선아, 하소영 (2010). 일부 육군사병의 성 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44, 31-46.

10.

김동옥 (2017). 청소년 성폭력의 취약성과 탄력성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미경 (2000). 음란물이 청소년의 성태도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전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산정논총, 1, 35-54.

12.

김선아 (2002). 성폭력 범죄 실태와 대처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신현 (2010). 군 입대 전․후의 성 의식 및 태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지현 (2013, 11, 6). 들여다볼수록 심각한 군 성범죄. 주간한국. http://weekly.hankooki. com/lpage/sisa/201311/wk20131106110715121 390.htm 에서 검색.

15.

김지혜 (2011). 아동기 성폭력 경험의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혜래, 이혜원 (2006). 일부 육군사병의 성지식 수준과 성교육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18, 77-104.

17.

민진 (2011).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18.

박가람 (2008). 성폭력 상담에서 내담자들이 지각한 도움경험(Helpful Experience):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61-182.

19.

박경은, 유영권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심리내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711-742.

20.

박현선 (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배성미 (2002).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변혜정, 조중신, 현혜순, 김지혜, 권수현, 권해수, 정유석, 김혜정, 정희진, 정유희, 김애라 (2005). 성폭력 피해자 치유프로그램. 여성가족부.

23.

손기화 (2012). 군 성폭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손승희 (2019).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겨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8(1), 115-137.

25.

신영수 (2016). 후기청소년의 군 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현숙 (2004). 가정환경 역경에 적응 유연한 청소년의 보호요소에 관한 연구. 상담학 연구, 5(1), 141-161.

27.

오봉욱 (2014, a). 교정시설 수용자간의 성범죄 예방 및 교정복지적 방안: 동성에 의한 성범죄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34, 109-131.

28.

오봉욱 (2014, b). 정신장애인 성폭력 범죄에 대한 고찰. 교정복지연구, 33, 167-189.

29.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30.

유수진 (2003). 아동기 성학대가 여대생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윤민재 (2007).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의문사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학회, 2007.12, 1113-1128.

32.

윤종영 (2009). 깨진 유리창 이론에 기초한 군(軍) 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 연구, 17, 23-38.

33.

이미정, 정수연, 권인숙 (2016).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4.

이원숙 (2001). 성폭력과 사회복지. 경기: 강남대학교 출판부.

35.

이희윤 (2017).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한 동거자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은희 (2006). 군인들의 성태도와 성행동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장필화 (1999). 여성/몸/성. 서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38.

조경철 (2018, 10, 24). 군 성범죄는 꾸준히 증가하는데 반해, 군사법원은 솜방망이 처벌로 일관. 내외뉴스통신. http://www. 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0636 에서 검색.

39.

주승희 (2015). 군대 내 성희롱의 성립과 처벌에 관한 소고. 강원법학, 45, 581-616.

40.

채규만, 정민철 (2004). 한국대학생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 및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869-886.

41.

천대윤 (1999). 성희롱 정책(이론과 실제). 경기: 도서출판 선학사.

42.

최혜란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통계청 (2014). 모집병 입영 현황. http:// www.kostat.go.kr 에서 검색.

44.

통계청 (2018). 안희정 혐의 ‘업무상 위력’ 성범죄 5년새 165%↑. 연합뉴스. https://news. naver.com/main/read.nhn?oid=001&aid=0009955111 에서 검색.

45.

한노을 (2008). 외상 후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아동기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한인영, 김진숙, 김선민 (2008).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시선으로부터 살아남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385- 417.

47.

한인영, 김진숙, 박명숙 (2008). 친아버지에 의한 성폭력 피해 아동의 경험. 피해자학 연구, 16(1), 153-175.

48.

Banyard, V. L. & Williams, L. M. (2007). Women's voices on recovery: A multi-method study of complexity of recovery from child sexual abuse. Child Abuse & Neglect, 31(3), 275-290.

49.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American Psychologist, 59(1), 20-28.

50.

Briere, J. & Runtz, M. (1987). Post sexual abuse trauma: Data and impl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 367-379.

51.

Burt, M., & Katz, B. L. (1988). Coping strategies and recovery from rape.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528, 345-358.

52.

Cernak & Stella. (2015). Sexual assault and rape in the military: The invisible victims of international gender crimes at the front lines. Michigan Journal of Gender and Law, 22(1), 207-241.

53.

Coffey, P., Leitenberg, H., Henning, K., Turner, T., & Bennett, R. (1996). Mediators of the long-term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Perceived stigma, betrayal, powerlessness, and self-blame. Child Abuse & Neglect, 20(5), 447-455.

54.

Cowen, E. L., & Work, W. C. (1998). Resilient children, psychological wellness, and primary preven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4), 591-607.

55.

DiPalma, L. M. (1994). Patterns of coping and characteristics of high-functioning incest survivor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8(2), 82-90.

56.

Estabrooks. C. A., Field, P. A., & Morse, J. B. (1994). Aggregating qualitative findings: An approach to theory development. Qualitative Health Research, 4(4), 503-511.

57.

Finkelhor, D. & Browne, A. (1985). The traumatic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5(4), 530-541.

58.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59.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3rd ed), New York: David McKay Co.

60.

Herman, J. (2007). 외상 (최현정 역). 서울: 플래닛. (원전은 1997년에 출판).

61.

Hill, C. E. (2016).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탐구의 실질적 접근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2년에 출판).

62.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63.

Johnson, D. M., Pike, J. L., & Chard, K. M. (2001). Factors predicting PTSD, depression, and dissociative severity in female treatment- seeking childhood sexual abuse survivors. Child Abuse & Neglect, 25(1), 179-198.

64.

Lazarus, R. R., & Folkman, S. (200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김정희 역). 서울: 대광문화사. (원전은 1984년에 출판).

6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66.

MacDonald, K., Lambie, I,. & Simmons, L. (1995). Counseling for sexual abus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67.

Oaksford, K. & Frude, N. (2003). The process of coping following child sexual abuse: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2(2), 41-72.

68.

Suzanne, M., Sgori, M. D. (1982). Handbook of clinical intervention in child sexual abuse. In S. M. Sgroi., L. C. Blick., & F. S. Porter. (Ed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hild sexual abuse (PP. 9-37). New York, NY: The Free Press.

69.

Spaccarelli, S., & Kim. (1995). Resilience criteria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sexually abused girls. Child Abuse & Neglect, 19(9), 1171-1182.

70.

Stauffer, S. A., Suchman, E. A., Devinney, L. C., Star, S. A., & Williams, R. M. (1949). The american soldiers: Adjustment during army life. Oxford, England: Princeton Univ. Press.

71.

Ullman, S. E. (1996).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adult sexual assault disclosur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4), 554-571.

72.

Ullman, S. E., Townsend, S. M., Filipas, H. H., & Starzynski, L. L. (2007). Structural models of the relations of assault severity, social support, avoidance coping, self-blame, and PTSD among sexual assault survivor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1(1), 23-37.

73.

Wright, M. O., Crawford, E., & Sebastian, K. (2007). Positive resolution of childhood sexual abuse experiences: The role of coping, benefit-finding and meaning-making.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7), 597-60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