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내담자와 남한 상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에서의 도움 경험과 도움 되지 않은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은 참조 자료나 확립된 이론 체계가 부족한 연구 분야의 탐색 단계에 적합한 연구법으로,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이 어떻게 상담에서 도움 요소와 도움 되지 않은 요소를 인식하는지, 그 인식 저변의 구조를 탐색하는데 사용하였다. 한국에 정착한 지 3년 이상 된 북한이탈주민 성인 8명과 3년 이상의 상담 경력을 가진 남한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초점질문을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고, 참여자들의 답변에서 적합한 핵심문장을 추출하여 다차원 척도 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과 위계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담자의 개념도는 도움 및 도움 되지 않은 경험이 각각 2차원의 군집 4개로 나타났고, 상담자의 경우 2차원의 군집 6개와 4개로 나타났다. 제시된 결과로 북한이탈주민 내담자와 남한 상담자의 상담 경험을 해석하였으며 두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고,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내담자와 남한 상담자의 상담 경험을 함께 탐색한 최초의 연구로서 관련 프로그램 개발, 상담 진행 및 이론 구축에 기초가 되는 자료라는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which aspects of counseling experiences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counselors perceived as helpful and unhelpful using concept mapping. Eight clients and counselors participated, respectivel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cus questions for both groups. The study identified 53 helpful events and 24 unhelpful events from the experiences of clients; and 91 helpful events and 32 unhelpful events from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yielded four clusters of helpful and unhelpful events, each on two dimensions for clients; and six clusters of helpful events and four clusters of unhelpful events, each on two dimensions for counselors. A review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counselors is presented, followed by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권경인, 한영주, 김창대, 유성경 (2011). 상담성과가 낮은 내담자들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12(6), 1977-2005.
권선미 (1998). 대학상담에서 상담목표, 중요이벤트, 회기평가 간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수영, 최정헌 (2011). 북한이탈주민들의 전문상담사 상담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2(5), 1683-1702.
금명자 (2002). 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 및 문화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29-546.
금명자, 이장호 (1990).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 23-43.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김성회, 김현아 (2005). 상담일반: 새터민의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도움요청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6(3), 693-712.
김수영 (2001). 상담에서 내담자가 기억한 중요한 사건에 관한 귀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9(1), 49-64.
김영경, 김현아 (2009).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81-1009.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226.
김지연, 한나리, 이동귀 (2009). 초심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0(2), 769-792
김태호 (2009). 현대 한국사회의 새로운 상담방향 모색: 다문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3(2), 79-108.
김현아, 이자영 (2013). 다문화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다문화 내담자의 주요 문제와 특성. 재활심리연구, 20(2), 337-368.
김현아, 전우택, 유시은, 도지완 (2017). 북한이탈주민 지원 인력의 소진 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통일정책연구, 26(2), 267-292.
노인숙, 배미랑, 김창곤 (2014). 북한이탈주민의 상담 기대 및 상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4, 43-50.
노인숙, 조선희 (2012).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 탐색. 정신간호학회지, 21(4), 303-310.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일반: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 (Concept Mapping) 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박재황 (1990). Relationship of culture and attributional style to anticipation about counseling. 대학상담연구, 1(1), 89-104.
오은경, 최 미, 최한나 (2016).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분석 (1993~2016.7). 상담학연구, 17(5), 223- 242.
오충광 (2009). 상담일반: 초기 작업동맹과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이 후기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3), 1471- 1486.
위주원, 최한나 (2015). 한국사회 다문화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40, 87-130.
윤여상, 김현아, 한유미 (2007). 상담일반: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8(3), 877-898.
이현아, 이기학 (2010).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중학생 내담자와 전문상담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2), 123-149.
이홍숙, 주수현, & 김효정 (2011). 인턴 상담원의 상담자 발달에서의 결정적 사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833-859.
임은미, 강혜정, 구자경 (2018).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의 구조적 관계 및 잠재집단 탐색. 상담학연구, 19(5), 209-232.
장성숙 (2000). 현실역동 상담-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17-32.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조영아 (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조영아, 방기연 (2010). 상담자의 탈북주민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인간이해, 31(1), 1-28.
조영아, 유시은 (2006). 새터민 정신건강 전문가의 역할과 개입전략. 통일정책연구, 15(2), 53-77.
조영아, 전우택 (2004).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67- 186.
주은선 (2011). 다문화 상담 관련종사자 경험 연구와 연구방법의 재고. 가족과 상담, 1, 41-55.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최가희 (2018).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49-271
통일부 https://www.unikorea.go.kr/unikorea/ business /NKDefectorsPolicy/status/lately/ 에서 검색.
하지현 (2012).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소통 방법의 이해. 통일인문학, 53, 303-329.
한 나, 이승연 (2015).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485-512.
한영주 (2010). 내담자가 경험하는 상담의 치료적 전환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Akinsulure-Smith, A., & O'Hara, M. (2012). Working with forced migrants: Therapeutic issues and considerations for mental health counselor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34(1), 38-55.
Arnkoff, D. B., Victor, B. J., & Glass, C. R. (1993). Empirical research on factors in psychotherapeutic change. In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pp. 27-42). Springer, Boston, MA.
Bedi, R. P. (2006).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26-35.
Bedi, R. P., Davis, M. D., & Williams, M. (2005). Critical incidents in the format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from the client's perspectiv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2(3), 311-323.
Bell, L. A. (2007). Theoretical foundations for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eaching for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pp. 25-38). Routledge.
Elliott, R. (1983). “That in Your Hands” A Comprehensive Process Analysis of a Significant Event in Psychotherapy. Psychiatry, 46(2), 113-129.
Elliott, R., & James, E. (1989). Varieties of client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9(4), 443-467.
Elliott, R., Slatick, E., & Urman, M. (2001). Qualitative change process research on psychotherapy: Alternative strategies. Psychological Test and Assessment Modeling, 43(3), 69-111.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p.12-18). Philadelphia: Duquesne University Press.
Goodyear, R. K., Tracey, T. J.,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an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 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 67-75.
Kane, M., & Trochim, W. M.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pp.1-20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Kruskal, J. B., & Wish, M.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Vol. 11). Sage.
Kunkel, M. A., & Newsom, S. S. (1996). Presenting problems for mental health services: A concept map.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18, 53-64.
Larson, D. G., & Chastain, R. L. (1990). Self- concealment: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health implica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4), 439-455.
Llewelyn, S. P. (1988). Psychological therapy as viewed by clients and therapist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223-237.
Mohr, J. J., & Woodhouse, S. S. (2001). Looking inside the therapeutic alliance: Assessing clients’ visions of helpful and harmful psychotherapy. Psychotherapy Bulletin, 36(3), 15-16.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s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17-324.
Paulson, B.,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Development, 80, 86-93.
Rennie, D. L. (1994). Clients' deference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4), 427.
Sue, D. W., Bernier, J. E., Durran, A., Feinberg, L., Pedersen, P., Smith, E. J., & Vasquez-Nuttall, E. (1982). Position paper: Cross-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2), 45-52.
Trochim, W. M.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