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이들의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신체감각 신뢰가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외상을 경험한 일반 성인남녀 총 2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경험회피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신체감각 신뢰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이 경험회피를 통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신체감각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신체감각 신뢰 수준이 낮거나 평균 수준일 때에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PTSS), as well as between re-experiencing tonic immobility and CPTSS, were mediated by experiential avoidance (EA). It also examined whether trusting body sensations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A total of 239 adults who had experienced trauma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assessed tonic immobility, EA, CPTSS, and trusting body sensations.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tonic immobility during re-experiencing, and EA with CPTSS. Additionally,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rusting body sensations and CPTSS. Furthermore, EA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and CPTSS, as well as between re-experiencing tonic immobility and CPTSS. Finally, trusting body sensation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onic immobility on CPTSS through E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