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9, v.40 no.3, pp.119-136
https://doi.org/10.16981/kliss.40.3.200909.119
정재영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학이 학문적 주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도 주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몇몇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주제전문사서제가 도입되고 적용 사례가 소개되고 있지만, 제공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장․단점 분석과 도입에 따른 방향성이 점검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은 역할, 인사, 평가 등에서 도입초기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도서관내부의 합의과정과 교내 구성원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주제전문사서 충원 및 평가, 보상체계의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 및 서비스 제공대학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주제화, 대학도서관,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Subject-Divisional Plan, Academic Library,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Subject-Divisional Plan, Academic Library

Abstract

The Academic library services are based on specialized subject resources in academic fields in order to maximize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s services. Accordingly, there are some academic libraries introduced and applied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However, they can not objectively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future directions to subject specialized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ree library cases which the structure of organized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It tried to give a set of effective guidelines for academic libraries to introduc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nalysis showed that the initial problem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its early stages are appeared: carrying out the role, appraisal-results in human resource decision making such as rewards and promotion. In order to successful introductio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in academic library, there are solutions that solving the problems which happen in early stage, active guidance and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faculty, approaching to activate integration within its library and cooperating among academic libraries should be back up for improving effectiveness in the long term.

keywords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주제화, 대학도서관,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Subject-Divisional Plan, Academic Library,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Subject-Divisional Plan, Academic Library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 초급과정 및 주제전문사서 심화교육과정.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대학 학술서비스 전문가과정(사회과학, 자연과학).

3.

국립중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육성방안 열린정책세미나,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 2005.10.14.

4.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제24차 실무자워크샵, 제주, 2009.7.1~7.3.

5.

노동조 등, 주제전문사서 인력수급 전망 및 제도화방안 연구(서울 : 한국학술정보원, 2008), pp.75-76.

6.

J. V. Martin,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 a second surve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Vol.28, No.3(1996), pp.159-169.

7.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p.2.

8.

이규옥 등, 주제전문사서 채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사대도협 연구보고서 제9호)(제천 :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2009), p.17.

9.

정재영,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07), pp.394- 395.

10.

S. Pinfield, “The Changing Role of Subject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Vol.33, No.1(2001). pp.32-38.

11.

최상기, 안인자, “대학도서관 리에종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0권, 제2호(2009), p.171. p.173.

12.

유완식, “주제전문사서 양성 및 이용자 서비스 개선 방안,” 제24차 실무자 워크샵 자료집(인천 :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2009), p.176.

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대학도서관 학술서비스 전문가 과정 자료집(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대학도서관 학술서비스 전문가 과정 자료집(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15.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제24차 실무자 워크샵 자료집(인천 :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 2009).

16.

Gary W. White, Academic Subject Specialist Positions in the United States : a Content Analysis of Announcements from 1990 Through 1998,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5, No.5(1999), p.379.

17.

안영주, “대학도서관의 참고봉사,” 국회도서관보, Vol.3, No.3(1966), pp.12-18.

18.

Fred J Hay, “The Subject Specialist in the Academic Library :a Review Article,"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16, No.1(1990), pp.11-17.

19.

K. E. Avafia, “Subject Specialization in African University Library Libraries,” Journal of Librarianship. Vol.15. No.3(1983), pp.183-205.

20.

QuestionPoint Homepage, <http://www.questionpoint.org> [cited 2009. 7. 19].

21.

Ask a Librarian Homepage, <http://www.askalibrarian.org> [cited 2009. 7. 19].

22.

정재영, “정보환경변화에 따른 효과적인 사서커뮤니티 구성 및 활성화 방안,” 전국도서관대회 제5차 대학도서관 신규서비스 제안공모 자료집(연구자료 RM 2004-13)(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pp.295-315.

23.

이미나, 이나니, “혐력참고봉사서비스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3), p.15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