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3, pp.271-292
https://doi.org/10.16981/kliss.42.3.201109.27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s a important role of today's school libraries. S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and textbook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role of school libraries more firm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new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published in 2011.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dia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fter all, this study presented the textbook's development progress,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 of application.

keywords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Curriculum, Textbook, Information Literacy,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Curriculum, Textbook, Information Literacy,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교육과정, 교과서, 정보활용교육

Reference

1.

AASL & AECT,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Chicago and London : ALA, 1998). 김병주는 이 기준을 ‘정보의 힘(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4)’으로 번역하였다.

2.

2) M. B. Eisenberg and R. E. Berkowitz, Information Problem-Solving: the Big Six Skill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Norwood, N.J. : Ablex, 1990), pp.5-9.

3.

3) 김정호 등,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p.33.

4.

4)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교육과정, <http://curri.mest.go.kr> [인용 2010. 7. 15].

5.

5) 이병기,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100-101.

6.

6) 김용철 등, 정보와 매체(서울 : 대한교과서, 1996).

7.

7) 김용철 등, 정보와 도서관(서울 : 대한교과서, 2002).

8.

9)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http://www.ala.org> [cited 2011. 6. 15].

9.

10) 이병기,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9), pp.204-223.

10.

11)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Chicago : AASL, 2009), pp.70-71. 재인용 :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고양 : 조은글터, 2010), pp.410-411.

11.

12) Arden Bruce, Complete Library Skills Activities Program(New York : Th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 1990).

12.

13) Linda Turrell, Complete Library Skills - grade 3(Columbus, Ohio : Frank Schffer Publishing, 2004).

13.

15) 이병기,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6), pp.98-100.

14.

16) 全国学校図書館協議会, 学校図書館 学びかた指導のワークシート(東京 : 全国学校図書館協議会, 2007), pp.108-109.

15.

18) 全国学校図書館協議会, 「図書館․学びかたノート」編集委員会, 図書館․学びかたノート(東京 : 全国学校図書館協議会, 2008).

16.

19) 법제처, 교과용도서에관한규정, <http://www.moleg.go.kr> [인용 2011. 6. 30].

17.

김재복,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제26권, 제2호(2006. 8), pp.23-24.

18.

20)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인정도서업무처리지침, <http://www.sen.go.kr> [인용 2011. 6. 1].

19.

21) 네이버 백과사전, <www.naver.com> [인용 2010. 6. 5].

20.

22)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7), pp.13-22.

21.

23)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1․2․3학년)도서관과 정보생활(서울 : 미래엔컬처그룹, 2011)

22.

24)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초등학교 4․5․6학년)도서관과 정보생활(서울 : 미래엔컬처그룹, 2011).

23.

25)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과서편찬위원회, (중학교)도서관과 정보생활(서울 : 미래엔컬처그룹, 2011).

24.

26)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과서편찬위원회, (고등학교)도서관과 정보생활(서울 : 미래엔컬처그룹, 2011).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