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s on fost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doing the research, web survey has been conducted and the data of 211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is ranked 3.72 out of 5 point. High school student users' self efficacy is examined toward six core competencies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oint of communication skills turns out to be 4.07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a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s 3.66, which is relatively lo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s and core competency skills and self efficacy shows quantitatively meaningful correlations in all six competency areas. Based 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the foundation will be established on the orientation of school library service and the acceleration of practi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김은정, 송기호. 2015. 창의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 26(2): 5-23.
서행민, 이병기. 2015. 정보활동을 통한 미래자서전 쓰기가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599-620.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online]. <http://www.sje.go.kr>. [cited 2018. 2. 18].
송기호. 2016. 초등학교「사회」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4·5·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1-20.
양소라. 2009. 『메타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93-216.
이승길. 2005.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하혜란, 송기호. 2015. 독서기반 진로 탐색 보고서 쓰기가 여고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621-640.
Cravey, Nancy. 2013. Finding Inspiration in the Common Core: An Uncommon Opportunity to Refine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y and Technology Planning Committee. Knowledge Quest, 42(1): 18-22.
Naylor-Gutierrez, Elizabeth. 2013. Making the Common Core Work for School Libraries: A NYC Example. Young Adult Library Services, 11(2): 13-16.
U.S.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NCLIS). School Libraries Work! [online]. <http://www.scholastic.com/content/collateral_resources/pdf/s/slw3_2008.pdf>. [cited 2018. 2. 18].
Todd, Ross J. Report of Phase Two of Delaware School Library Survey: Student Learning Through Delaware School Libraries. [online]. <http://www2.lib.udel.edu/taskforce/study.html>. [cited 2018.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