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주민자치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Strategies for Impro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Korea by Cooperating with Residents Autonom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301-326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301
박성우 (광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키기 위한 매개자인 공무원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동체는 가치지향적인 개념으로 현대사회에서는 지역공동체, 실행공동체, 공동체성을 가진 조직 등으로 존재한다. 공공도서관 공동체는 지역공동체의 성격과 실행공동체의 성격을 동시에 띠며,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동 단위의 주민자치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동체의 매개자에게 필요한 공동체 의식, 업무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의식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업무협력에 대한 필요를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이 높거나 주민자치 업무에 많이 노출된 집단은 직무기대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동체에 관련된 업무를 원활하게 협력하기 위해서 공동체 업무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ole of public library, Residents autonomy, Communities of practice,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 공공도서관 역할, 주민자치, 실행공동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

Abstract

The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civil servants as a mediators for changing a society in a region into community of practice. “Community” is the value-oriented concept and exists in a local community, a community of practice and a organization that have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ty.”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of practice. And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gives public services for neighborhood region problem-solving to people. But in Korea, Residents autonomy system in Dong gives the service to people. They all conducts the business for changing a society in a region to community of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sense of community and necessity of cooperation in the business.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group of higher awareness on community feels less needs to corporate the work in community than the group of lower awareness on community; The group of higher awareness on community or the group having more experience on community have low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motivation on working for community is needed for the mediator.

keywords
Role of public library, Residents autonomy, Communities of practice,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 공공도서관 역할, 주민자치, 실행공동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

참고문헌

1.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a.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센터활성화 분야 상무2동 (광주광역시 서구).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C%83%81%EB%AC%B42%EB%8F%99.pdf> [인용 2018. 3. 2].

2.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b.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 주민자치 분야 금호1동(광주광역시 서구).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A%B8%88%ED%98%B81%EB%8F%99.pdf> [인용 2018. 3. 2].

3.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c.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 주민자치 분야 일동(경기도 안산시).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C%9D%BC%EB%8F%99.pdf> [인용 2018. 3. 2].

4.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d.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지역활성화 분야 남촌동(경기도 오산시).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B%82%A8%EC%B4%8C%EB%8F%99.pdf> [인용 2018. 3. 2].

5.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e.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지역활성화 분야 서대신 4동(부산광역시 서구).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C%84%9C%EB%8C%80%EC%8B%A04%EB%8F%99.pdf> [인용 2018. 3. 2].

6.

(사)열린사회시민연합. 2017f. 제16회 전국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관– 평생학습 분야 심곡본동(경기도 부천시). <http://juminexpo.or.kr/wp-content/uploads/2017/10/%EC%8B%AC%EA%B3%A1%EB%B3%B8%EB%8F%99.pdf> [인용 2018. 3. 2].

7.

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100곳 내외 선정 추진. 2017.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4월 24일.

8.

곽현근. 2017. 지방자치 원리로서의 ‘주민자치’ 재해석을 통한 생활자치 개념화와 제도모형 구성. 『현대사회와 행정』, 27(2): 1-29.

9.

국립중앙도서관 편. 2017. 『2017 도서관 선진화 현장사례 및 논문』.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0.

국토교통부. 2018.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http://www.city.go.kr/portal/business/newDeal/businessPlan/generalAcceptNotice/view.do> [인용 2018. 5. 2].

11.

김미영. 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7: 181-218.

12.

김경준,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3(2): 211-232.

13.

김병준. 2015. 『지방자치론 (제2수정판)』. 파주: 법문사.

14.

김학린. 2017. 지역사회 조정활동참여 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분쟁해결연구』, 15(1): 107-136.

15.

김형호. 2014. 지역의 독서공동체에 관한 연구– 금천구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3 추계공동학술대회』, 2013년 10월 13일. 청도: 청도해양대학, 117-137.

16.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2014.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현황. <http://www.city.go.kr/portal/business/businessInfo/1/link.do> [인용 2018. 2. 24.]

17.

박성우. 2016.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339-358.

18.

박성우. 2018.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113-131.

19.

박영숙. 2003. 작은 도서관에서 마을 공동체 문화를 일구는 사람들–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느티나무도서관. 『국토』, 260: 132-137.

20.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참여와 공동체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459.

21.

순천시 주민자치, 9년 연속 전국 우수사례 선정. 2013. 『순천 광장신문』. 11월 6일.

22.

양영균. 2012.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과 작은도서관: 용인시의 사례. 『정신문화연구』, 35(2):35-67.

23.

이종수. 2015. 『공동체: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서울: 박영사.

24.

조윤희. 2012. 공동체문화 형성을 위한 작은도서관 운영 모형. 『디지틀도서관』, 66: 3-22.

25.

한국생활자치연구원. 2013. 『생활자치 합시다』. 서울: 대영문화사.

26.

한상일. 2003. 미국 근린참여제도의 유형별 분석과 한국의 주민참여에 대한 함의. 『한국행정학보』 37(3): 159-180.

27.

A Community Science Project. 2007. Sense of Community Index(SCI). <https://www.senseofcommunity.com/soc-index/> [cited 2018. 6. 13].

28.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5. Case Studies: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 <http://www.ala.org/transforminglibraries/transforming-communities/case-studies> [cited 2016. 9. 10].

29.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6b. LTC Models for Change: Dialogue & Deliberation Resources. <http://www.ala.org/tools/librariestransform/libraries-transforming-communities/dialogue-deliberation-resources> [cited 2018. 2. 24].

30.

Belzowski, Nora. F., Parker J Ladwig. and Thurston Miller. 2013. “Crafting Identity, Collaboration, and Relevance for Academic Librarians Using Communities of Practice.” Collaborative Librarianship, 5(1): 3-15.

31.

Gusfield, Joseph. R. 1975. The community: A critical response. New York: Harper Colopho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6a. About Libraries Transforming Communities (LTC). <http://www.ala.org/tools/librariestransform/librariestransforming-communities/about-ltc> [cited 2018. 2. 24].

32.

Henrick, Kristin J. and Ramirose Attebury. 2010. “Communities of Practice at an Academic Library: A New Approach to Mentoring at the University of Idaho.”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2): 158-165.

33.

Koliba, Christopher. and Rebecca Gajda. 2009. ““Communities of Practice” as an Analytical Construc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2: 97-135.

34.

Lave, Jean. and Etienne Wenger. 2010. 『상황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 손민호 옮김. 서울:강현출판사.

35.

McMillan, David. W. and Chavis, Davi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36.

Pemberton, Jon., Sharon Mavin and Brenda Stalker. 2007. “Scratching beneath the surface of communities of (mal)practice.” The Learning Organization, 14(1):62-73.

37.

Scott, Rachel. 2011.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Community Building.” Public Library Quarterly, 30: 191-227.

38.

The Harwood Institute for Public Innovation. 2015. Communities have Challenge. Libraries can Help: A Step-by-step Guide to “Turning Outward” To your Community. <http://www.ala.org/tools/sites/ala.org.tools/files/content/LTCGettingStarted_DigitalWorkbook_final010915.pdf> [cited 2016. 9. 23.]

39.

Thompson, Edmund. R. and Phua. Florence. T. T. 2012. “A Brief Index of Affective Job Satisfac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7(3): 275-307.

40.

Wenger, Etienne C. and William M. Snyder.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139-145.

41.

Wenger-Trayner, Etienne. and Beverly Wenger-Trayner. 2015. Introduce to communities of practice. <http://wenger-trayner.com/introduction-to-communities-of-practice/> [cited 2016. 11. 11].

42.

Wyk, Johann Van. 2005. “Communities of Practice in an academic library: a run on the wild side?” 5th ICAHIS Conference at Onderstepoort, University of Pretoria, South Africa, 97-1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