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267-30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67
박주현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Missouri)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keywords
Reading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독서 리터러시, 정보활용능력,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독서교육, 정보 서비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ceptualization models of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through conceptual differences of these literacy by reviewing and defining the concepts of literacy as well as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Computer literacy has emerged a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ince then, computer literacy has since changed to IT, ICT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the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was developed. In this model, these literacy whose term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have been classified as medium-centered literacy. And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utilizing, and evaluating texts and information is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s a core competence to critically think and evaluate the texts that are on media,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duce the reading and the information gap among readers.

keywords
Reading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독서 리터러시, 정보활용능력,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독서교육, 정보 서비스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2.

교육인적자원부. 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구자옥등. 2015.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ICT 활용 교육 환경 개선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갑수. 2017. OECD 국가들과 한국 학생들 간 ICT 접근성과 활용성 연구 - 2015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3): 361-370.

5.

김수정. 2015.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207-239.

6.

김성희, 이형미. 2009. 지식 공유 촉진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0(1): 47-67.

7.

김영애, 서정희. 2011. 『2010년 초・중등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측정의 결과와 시사점』.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8.

김혜숙. 2012.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3(1): 1-22.

9.

김혜숙. 2014.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PISA 2012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0.

김혜숙, 진성희. 2006. 『미국 ETS의 ICT 리터러시 평가 현황 및 시사점』.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나은영. 1994.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동향:1985-199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3-33.

12.

박성열. 2005. 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LISREL 구조모형 분석: 실업계 고교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73-87.

13.

박주현. 2016. 『아동 독서태도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4.

박주현, 이명규. 2015.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271-297.

15.

박주현, 장우권. 2014. PISA 2009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도서관 변인의 영향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3): 331-351.

16.

박현정, 하여진, 박민호. 2011. ICT 활용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및 성취도에 대한 혼합모형 분석. 『교육평가연구』, 24(3): 733-754.

17.

박혜영. 2017. PISA 읽기 평가틀의 변화 특징 탐색. 『국어교육』, 157: 259-283.

18.

배경재, 박희진. 2013.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241-265.

19.

백순근 외. 2009a. 중·고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1):175-198.

20.

백순근 외. 2009b.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ICT 리터러시 평가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2):383-406.

21.

변우열. 2003.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讀書敎育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1):1-17.

22.

변우열, 송기호. 2014. 창의적 글쓰기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지도용 학습독서 전략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125-147.

23.

서순식 외. 2009.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5(3): 193-220.

24.

송경진. 2016. 리터러시, 난해하지만 범용적인 두 얼굴의 용어. 『World Library』, 300. 10월10일. <http://wl.nl.go.kr/home/homeIndex.do> [인용 2018. 1. 5].

25.

송경진, 차미경. 2014. 문헌정보학과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있어서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15-240.

26.

송미영외. 2014. 『PISA 2012 결과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역량 향상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7.

양정호. 2012.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결정요인 분석. 『교육공학연구』, 28(2): 347-369.

28.

유인환. 2000. 『ICT 문제해결과정의 통합에 기반한 정보 교육과정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컴퓨터교육 전공.

29.

이경화, 송기호. 2016.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통합 주제 중심의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85-104.

30.

이성영. 2009. 읽기 교육에서의 태도의 문제 :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1: 285-318.

31.

이수원, 이준호. 1997. 중심통로와 주변통로 태도변화에서 태도의 구조적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75-93.

32.

이병기. 2008.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139-159.

33.

이병기. 2011.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1-50.

34.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93-216.

35.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36.

이준 외. 2002. 『학생 ICT 활용 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7.

이태욱 외. 2001. 『ICT 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중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8.

장상수. 2012. 『2000-2009 국제학생평가(PISA) 결과 분석: 한국』.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39.

장윤금 외. 2016. ICT 리터러시 교육 활용 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273-294.

40.

정영미. 2018.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359-380.

41.

정현선. 2004.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國語敎育學硏究』, 21: 5-43.

42.

최재황. 2016. ACRL 정보리터러시 ‘프레임웍(2015)’의 중심 개념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171-191.

43.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4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List.do?cbIdx=81623> [인용 2018. 3. 30].

45.

한정선 외. 2006. 『21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46.

AASL. 2007.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Chicago: AASL.

47.

AASL. 2018.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s, School Librarians and School Libraries. Chicago: ALA.

48.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Power :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49.

ACRL.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hicago, IL: ACRL.

50.

ACRL. 2012. Task Force Recommendations. Chicago, IL: Association of College & Research Libraries.

51.

ACRL. 2016.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Chicago, IL: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http://www.ala.org/acrl/standards/ilframework> [cited 2018. 3. 25].

52.

ALA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http://www.ala.org/acrl/publications/whitepapers/presidential> [cited 2018. 5. 1].

53.

ALA and AECT. 1998. Information Power: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Chicago: ALA.

54.

ALA. 2013. Digital Literacy, Libraries, and Public Policy: Report of the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s Digital Literacy Task Force. <https://districtdispatch.org/wp-content/uploads/2013/01/2012_OITP_digilitreport_1_22_13.pdf> [cited 2018. 3. 5].

55.

Bennett, S. and K. Maton. 2010. “Beyond the 'digital natives' debate: Towards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students' technology experienc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6(5): 321-331.

56.

Bruce, B. C. and J. K. Peyton. 1999. “Literacy Development in Network-Based Classrooms: Innovation and Real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 <http://ascilite.org/archived-journals/ijet/v1n2/bruce/index.html> [cited 2018. 5. 1].

57.

Carey, James O. 1998. “Library Skills, Information Skills, and Information Literacy: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1:1-20.

58.

Collins, J. and R. Blot. 2003. Literacy and Literacies. Cambridge: Cambridge publications.

59.

Davies, J. E., M. Szabo and C. Montgomerie. 2002. Asses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of Education Undergraduates: Instrumental Develop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76992

60.

Erwin, Phil. 2001. Attitudes and persuasion. NY: Psychology Press.

61.

Eshet-Alkali, Y. and Y. Amichai-Hamburger. 2004. “Experiments in digital literacy.”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7(4): 421-429.

62.

ETS. 2002. Digital Transformation: A Framework for ICT Literacy, a Report of the International ICT Literacy Panel. <https://www.ets.org/Media/Tests/Information_and_Communication_Technology_Literacy/ictreport.pdf> [cited 2018. 5. 14].

63.

Gardiner, W. Lambert. 1997. “Can Computers Turn Teaching Inside-Out, Transform Education, and Redefine Literacy?” In: Robert Kubey. ed. Media Literacy in the Information Age: Current Perspectives, pp. 359-376. New Brunswick:Transaction Publishers.

64.

Gee, J. P. 1989. “Literacy, discourse, and linguistics: introduction.” Journal of Education, 171(1): 5-17.

65.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Computer Publications.

66.

Heath, S. B. 1983. Ways with Words: Language, Life, and Work in Communities and Classroom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Hjørland, Birger. 2008.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Prisma.com, 7:4-15.

68.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2018. What’s Hot in Literacy-2018 Report. <https://www.literacyworldwide.org/docs/default-source/resource-documents/whats-hot-2018-report.pdf> [cited 2018. 4. 1].

69.

Kang, M. and H. P. Byun. 2001.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Web-based Knowledge Construction Support System.” Educational Technology, 41(4): 48-53.

70.

Koltay, T. 2011.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Media, Culture and Society, 33(2): 211-221.

71.

Leu, D. J. et al. 2015. “The New Literacies of Online Research and Comprehension:Rethinking the Reading Achievement Gap.” Reading Research Quarterly, 50(1):37-59.

72.

Martin, A. and J. Grudziecki. 2006. “DigEuLit: Concepts and Tools for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ITALICS: Innovations in Teaching & Learning in Information & Computer Sciences, 5(4): 246-264.

73.

Mathewson, G. C. 1994. “Model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R. B. Ruddell, M. R. Ruddell, and H. Singer. ed. 4th ed.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 of Reading. Delawar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74.

NRC. 1999. Being Fluent with Information Technolog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75.

OECD. 2000.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The PISA 2000 Assessment of Reading, Mathematical and Scientific Literacy. Paris: OECD.

76.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https://www.oecd.org/pisa/35070367.pdf> [cited 2018. 5. 18].

77.

OECD. 2010a.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Paris: OECD.

78.

OECD. 2010b.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Volume Ⅰ). Paris: OECD.

79.

OECD. 2011. PISA 2009 Results: Students on Line: Digital Technologies and Performance. Volume Ⅳ. <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48270093.pdf> [cited 2018. 4. 8].

80.

OECD. 2012. PISA 2009 Technical Report. <www.oecd.org/pisa/pisaproducts/50036771.pdf> [cited 2018. 4. 3].

81.

OECD. 2016.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May 2016. <https://www.oecd.org/pisa/data/PISA-2018-draft-frameworks.pdf> [cited 2018. 4. 3].

82.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tionaries.com> [cited 2018. 4. 1].

8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00.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A Report and Mile Guide for 21st Century Skills. <http://www.p21.org/storage/documents/P21_Report.pdf> [cited 2018. 5. 3].

84.

Petty, R. E. and J. T. Cacioppo. 1986. Communication and Persuation :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ttitude Change. New York: Springer-Verlag.

85.

Prensky.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On the Horizon, 9(5): 1-6.

86.

SCONUL Working Group on Information Literacy. 2011. The SCONUL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 Core Model for Higher Education. <https://www.sconul.ac.uk/sites/default/files/documents/coremodel.pdf> [cited 2018. 4. 25].

87.

Tyner, Kathleen. 1998. Literacy in a Digital Wor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nd Associates.

88.

UNESCO. 2005. Education for All Global Monitoring Report: Education for All Literacy for Life. Franc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89.

Williams, R. 1997. Marxism and Litera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90.

Wilson, A. A. 2008. “Learning from Past and Present Uses of the Term Literacy.” In:G. Hurby. ed. American Reading Forum Annual Yearbook, 27.

91.

Zurkowski, Paul G. 1974. The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Priorities.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Pater No. 5.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100391.pdf> [cited 2018. 5. 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