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도서 분류를 위한 KDC 6판의 개선 및 적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어린이도서의 KDC 간략화 및 세분전개 방안으로 서울시교육청 20개 도서관 및 대표적인 C 도서관이 소장한 어린이도서 주제별 통계 분포를 바탕으로 중분류, 소분류로 간략화 할 분야를 제시하고, 세분화 전개가 필요한 항목은 도서관별 분류지침을 적용하여 확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식그림책과 동화는 내용과 주제에 따라 각 해당항목에 분류하고, 각 나라의 동화는 세목 추가 및 장르 구분을 추가하여 특정 기호에 편중된 자료를 분산시킬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용자를 위해 연령별, 독서수준별에 따른 배가 방안과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배포, 분류와 관련한 이용자 교육 실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KDC 6판 개정 시 어린이도서의 간략판 개발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and the application of KDC 6 for classifying children’s books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First, it was suggested to shorten the classification numbers by the divisions and subdivisions and to expand the classification numbers by sub-subdivisions according to the library-specific classification policy, using the subject statistics of the children’s books held by 20 public libraries affiliated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representative C libraries. Second, the knowledge picture books and the fairy tales were suggest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ubject, and the fairy tales in each country were suggested to be classified by adding sub-subdivisions and genre subdivisions. Third, it was suggested to shelve by collection and location codes that were distinguished by the ages and the reading level for user, to prepare a standard guideline for shelving, and to implement the regular user education about the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DC abridged version for children's books in the future.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홈페이지 <https://www.libsta.go.kr/> [인용 2019. 1. 15].
권달영. 2008.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분류표의 비교분석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김정현, 김연례. 2003 학교도서관을 위한 한국십진분류법 분류항목 수정전개에 관한 연구: 총류 및 문학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35-56.
김정현. 2004. 학교도서관을 위한 KDC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관련 문헌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171-191.
김정현. 2006. 초등학교도서관을위한한국십진분류법간략판개발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5-23.
김정현, 문지현. 2007. 국내어린이도서관의분류표현황분석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15-335.
김정현, 문지현. 2009. DDC 간략판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79-397.
대한출판문화협회. 2018. 2017 한국출판연감. 서울: 대한출판문화협회.
문지현. 2008. 어린이도서분류법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
서울시교육청 통합도서관 홈페이지 <http://lib.sen.go.kr/> [인용 2019. 1. 18].
이윤선. 2002.『학교도서관을위한KDC 간략판개발(300, 400, 800대)에관한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임기수. 2012. 어린이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정연경. 2008. 어린이서비스향상연구공청회. 제45회 전국도서관대회 2008년10월 8일-10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정연경, 이미화. 2009. 컬렉션코드를활용한어린이도서관청구기호간략화방안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23-38.
정연경, 최윤경. 2009.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한국십진분류법 적용 현황 및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5-26.
최인성. 2010. 학교도서관 자료분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교 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2013.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8. 2018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LASⅢ공공도서관표준자료관리시스템<http://kolas.nl.go.kr/nltech/> [인용2019. 1. 25].
Boyce, J. I. and Bert R. Boyce. 2002. A Reexamination of Shelf Organization for Children's Books. Public Libraries, 41(5): 280-283.
Houston, Cynthia R. 2008. The Use of Reading Levels as Alternative Classification in School Librari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5(4): 65-80.
IFLA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ction.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http:www.ifla.org/VII/s10/pubs/ChildrensGuidelines.pdf> [cited 2019. 1. 20].
Satija, M. P. 2012. Brief Communication: Abridged Dewey-15(2012) in Historical Perspectives. Knowledge Organization, 39(6): 466-468.
Sullivan, M. 2005.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Chicago: A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