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1, pp.85-103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85
이경화 (공주대학교)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 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학생・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keywords
독서교육 프로그램, 다중지능, 100대 교육과정,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Reading education programs, Multiple intelligences, 100-excellent school in curriculum, School libraries, Teacher libraria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rection of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eek the plans for the school library and the teacher librarian to be able to contribute them. For this purpose, the types of school-based reading education programs in the report of 100 excellent school curriculum in 2016, which was first applied by the amend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Up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s in the schools showed to be operated with interpersonal Intelligence. Community-aligned reading was the most frequently operated in the primary schools while student reading club activitie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case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linguistic intelligence, the most commonly operated ways were reading books, writing with literatures, and writing book repor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In case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spatial intelligence, media production type showed the most commonly operated in all types of schools. However, there was no reading program related to naturalist intelligenc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plans to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s by school libraries under the 2015 amended curriculum were suggested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of connection programs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s the center of education community,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maker spaces and enhancement of program management and inquiry-based learning competency of teacher librarians.

keywords
독서교육 프로그램, 다중지능, 100대 교육과정,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Reading education programs, Multiple intelligences, 100-excellent school in curriculum, School libraries, Teacher librarians

참고문헌

1.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세종: 교육부.

2.

김수경, 유정림, 유순애. 2013.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독서교육학회지, 1(1): 135-155.

3.

노정임, 송기호, 유종열. 2017. 다중지능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탐 구 과제의 교수・학습전략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2): 5-22.

4.

도유미. 2005. 독서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학교도서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5.

박금희. 1998.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프로그램: 계성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도서관문화, 39(3): 12-19.

6.

박효정 외. 2006. 다중지능 이론과 수업. 서 울: 양서원.

7.

서경화. 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열린교육연구, 10(1): 115-130.

8.

송기호. 2009. 중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나타난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1): 363-384.

9.

신명희. 200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방법 연구. 교육학연구, 38(4): 1-23.

10.

신성희. 2007.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11.

심태은. 2016. 역량기반 기초교양 교육의 방향과 과제.『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년 6월 11일. 서울: 상명대학교, 30-38.

12.

오미선. 2010.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전략 개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윤경숙. 2017. 미래 교육에 대응하는 학교도서관 환경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4.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의 한 학교도서관정보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43-60.

15.

이순영, 송정윤. 2012. 중등 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현황 분석. 독서연구, 28: 290-318.

16.

임성관. 2015. 다중지능 유형별 독후 활동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4): 65-82.

17.

정연경. 2002.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텍사스주를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221-242.

18.

최연미. 2005. 미국학교 도서관의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233-253.

19.

최원경. 2004. 다중지능독서프로그램이독서활동에미치는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

한기현. 2006. 다중지능 독서프로그램이 독서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1.

황윤한, 조영임. 2005.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교육연구, 2(1): 31-54.

2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2010. SAMPLE JOB DESCRIPTION Title: SCHOOL LIBRARIAN. <http://www.ala.org/aasl/sites/ala.org.aasl/files/content/guidelinesandstandards/ learning4life/resources/sample_job_description_L4L.pdf> [cited. 2019. 1. 11].

23.

Armstrong, Thomas. 2007. 다중지능과 교육. 제2판. 전윤식, 강영심 옮김.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4.

Edunet. <http://www.edunet.net/> [cited 2018. 5. 1].

25.

Gardner, Howard. 2007. 다중지능. 문용린, 유경재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6.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http://www.ifla.org/VII/s11/pubs/manifest.htm> [cited 2019. 1. 5].

27.

IFLA and UNESCO. 1999. School Library Manifesto. <http://www.ifls.org/VII/s11/pubs/manifesto-kr.pdf> [cited. 2018. 12. 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