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초고령화 사회,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 확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폐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폐교의 유휴시설과 부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설이나 공간으로 재탄생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폐교 활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쇠퇴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확인하고, 폐교 활용 유형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폐교 활용의 유형과 형태, 시사점을 기반으로 폐교 발생 지역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제고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폐교 발생 지역을 유형화하여 폐교 발생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지역별 도서관의 폐교 활용 체계 및 모델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super aging society, low fertility rate, declining school age popula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 new facility or space is being reborn by utilizing idle facilities and sites of a closed school. The use of closed schools can be large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closed school occurred and to analyze the closure type using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decline area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the system and model of utilizing closed school in the library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ype, form, and implications of the are in which closed schools occurred which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인진연. 2019. 교육개발원, 소규모 학교 통폐합 한계, 새로운 모델 필요. 뉴시스. <https://news.joins.com/article/23268168> [인용 2019. 1. 18].
김성덕, 강정규. 2017. 도심지역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5(3): 237-254.
노영희, 노지윤. 2018. 도서관의 폐교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5(4): 77-106.
반상진. 2018. 인구절벽 시대 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서형주. 2017. 폐교가 농촌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시사상식사전. 2018. 도시재생뉴딜사업.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52270&cid=43667&categoryId=43667> [인용 2019. 01. 12].
양태호, 유선종. 2009. 농촌 폐교를 활용한 노인요양시설의 사업타당성분석. 부동산학연구, 15(1): 103-124.
이명기. 2011. 학교시설을 이용한 농촌노인복지 활용방안 연구: 충청북도 소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시설환경정책전공.
이정훈. 2016. 도서지역 관광마을 조성을 위한 주민참여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86-101.
이주일, 이택호. 2017. 폐교시설의 자연순환형 복합체험학습장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문화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산업연구, 17(2): 1-9.
이화룡, 류춘근, 오세희, 박소영. 2012.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통합 초등학교의 공간구성 및 폐교 활용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 논문지, 19(3): 21-31.
장우석, 정남수. 2013. 농촌폐교 활용 정책수립을 위한 그린투어리즘 접근성 평가 -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농촌계획, 19(4): 293-306.
정민석. 2014. ‘농어촌 작은학교’ 정책의 비일관성에 따른 갈등 원인 분석. 한국갈등관리연구, 1(1): 183-199.
주효주, 이준수. 2018. 학교통폐합 정책에 따른 구도심 폐교재생 프로젝트 제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 70-73.
지방교육재정알리미. 2016. 인구절벽시대 대비, 적정규모 학교 육성 추진방향 및 성과분석. 세종: 교육부, 2016-17.
최준렬. 2008.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정책 분석. 지방교육경영, 13: 44-64.
허성훈, 이종국. 2011. 대도시 폐교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9(2): 89-95.
Brummet, Quentin. 2014. The Effect of School Closings on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19: 108-124.
De la Torre, Marisa, Molly F. Gordon, Paul Moore and Jennifer Cowhy. 2015. School Closings in Chicago: Understanding Familie's Choices and Constraints for New School Enrollment. Chicago: UCHICAGO Consortium on School Research.
Gordon, Molly F., Marisa de la Torre, Jennifer R. Cowhy, Paul T. Moore, Lauren Sartain and David Knight. 2018. School Closings in Chicago: Staff and Student Experiences and Academic Outcomes. Chicago: UCHICAGO Consortium on School Research.
Hill, Andrew and Daniel Jones. 2018. The Effect of School Closings on Teacher Labor Market Outcomes and Teacher Effectiveness. <http://dx.doi.org/10.2139/ssrn.3127838>.
Jack, James and John Sludden. 2013. School Closings in Philadelphia. Penn GSE Perspectives on Urban Education, 10(1): 1-7.
Marcotte, Dave E. and Steven W. Hemelt. 2008. Unscheduled school closings and student performance.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3(3): 316-338.
Nishikawa, Y., A. Ozaki, and M. Tsubokura. 2018. Successful Renovation of a Closed School Into a Long-Term Care Facility in the Affected Area After the 2011 Fukushima Disaster.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1-2.
Shiller, Jessica. 2018. The disposability of Baltimore’s Black communitie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ject on the impact of school closings. The Urban Review, 50(1): 23-44.
World Bank. 2016.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16 (English). Washington, D.C.: World Bank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