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몽산 어록 조선본의 간행과 유통에 대한 연구 -『蒙山和尙法語略錄』과『蒙山和尙六道普說』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ngshan analects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two books of Mengshan,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and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1, pp.61-84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61
김은진 (한국고전번역원 원전정리실 연구원)
송일기 (중앙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중국의 송·원대 임제종 양기파의 승려, 몽산 덕이의 대표 어록인 『몽산화상법어약록』과 『몽산화상육도보설』 조선본을 분석한 것이다. 그의 어록과 저술은 고려 말에 전해져 우리나라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법어약록은 39종, 육도보설은 24종이 현존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63종을 연구대상으로 간행 시기별, 간행 지역별, 간행 참여자를 분석하였다. 『법어약록』은 대부분 16~17세기에 간행되었다. 1467년 간경도감본이 최초의 판본이며 한문본이 1525년에 처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1467년 간경도감에서 세조와 신미에 의해 처음 편찬된 책이다. 육도보설은 모두 15~16세기에 간행되었는데 언해본은 1종만 존재하며 모두 한문본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전기 몽산 어록의 유통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책은 모두 전국적으로 유통되었으며 『법어약록』은 국가에서 간행되었다는 점에서 몽산의 어록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어록 모두 지리산 지역에서 활발히 간행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대규모 불사에 『법어약록』도 함께 간행되었다. 몽산 어록의 간행에 있어 참여자로 화주는 71명, 각수는 109명이 참여하였다. 화주는 다른 사찰에서의 불서 간행에 참여한 경우가 거의 없으나 각수는 대부분이 참여한 것이 확인된다. 몇몇은 활발한 간행활동을 보이는데 이들은 각 지역의 대표 각수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63종의 『법어약록』과 『육도보설』 판본은 조선 전기 불서 간행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몽산의 어록은 조선 전기 불교계의 개혁과 유불도의 공존을 모색하는 상황 속에서 적극적으로 수용 및 유통되었던 것이다.

keywords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Sermons abstract, Liudao Pushuo, Mengshan, Sinmi, Naong, 몽산화상법어약록, 몽산화상육도보설, 법어약록, 육도보설, 몽산, 신미, 나옹, 몽산어록, 조선전기불서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Mengshan heshang analects. Mengshan heshang lived in Song(宋) and Yuan(元) Dynasty and he was a Buddhist monk of Linji Chan(臨濟宗). His works handed on Buddhist monks of Goryeo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he influenced Budd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Joseon Dynasty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was confirmed existence of 39 editions and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was confirmed existence of 24 editions. All 63 editions show that Sermons abstract and Liudao Pushuo are his representitive analects. All editions were printed in early Joseon Dynasty. At that time Mengshan heshang analects was distributed in Joseon Dynasty. Mengshan heshang analects was distributed in all over the nation as well as in Royal Family of Joseon. Also Mengshan heshang analects was published many times in the Mt. Jiri area. The names of almost engravers found on the publications of many temples. Some engravers actively participated in publishing Buddhist scriptures in particular area. His ideas were receiv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ctively and his many works appears like this.

keywords
Mengshan heshang Sermons abstract, Mengshan heshang Liudao Pushuo, Sermons abstract, Liudao Pushuo, Mengshan, Sinmi, Naong, 몽산화상법어약록, 몽산화상육도보설, 법어약록, 육도보설, 몽산, 신미, 나옹, 몽산어록, 조선전기불서

참고문헌

1.

강호선. 2011. 高麗末 懶翁慧勤 硏究.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2.

강호선. 2014. 조선전기 蒙山和尙六道普說 간행의 배경과 의미. 동국사학, 56: 98-102.

3.

곽철환. 2003. 시공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4.

김기종. 2012. 15세기불전언해의시대적맥락과그 성격 : 간경도감본언해불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58: 115.

5.

김무봉. 1993.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의 국어사적(國語史的) 고찰(考察). 동악어문논집, 28: 105-138.

6.

김상호. 1990. 朝鮮朝 寺刹板 刻手에관한硏究.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대학원도서관학과.

7.

김상호. 1992. 寺刹板의 鍊板과 諸 役員에 관한 考察. 사회문화연구, 11.

8.

김은진, 송일기. 2015. 蒙山和尙法語略錄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 64.

9.

김종진. 2013. 동아시아불교계어록연구의제언: 비교문학적연구를위한자료제시. 국제어문, 58: 324-325.

10.

남권희. 1991. 蒙山和尙六道普說 諺解本의 書誌的 考察. 어문논총, 25: 63-74.

11.

남권희. 2018. 潭陽 龍泉寺와 刊行 佛書의 硏究. 서지학연구, 75: 104.

12.

박해진. 2014. 훈민정음의 길 혜각존자 신미 평전. 서울: 나녹.

13.

손성필. 2013. 16·17세기불교정책과불교계의동향.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대학원. 사학과.

14.

손성필, 전효진. 2018. 16·17세기‘사집(四集)’ 불서의판본계통과불교계재편. 한국사상사학, 58.

15.

송일기. 2015. 四法語의 편찬과 유통. 서지학연구, 63.

16.

송일기. 2017. 泰仁 龍藏寺 開板佛事 硏究. 서지학연구, 71.

17.

송일기, 김은진. 2011. 蒙山 德異의 蒙山和尙六道普說 板本考.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18.

송일기, 박민희. 2010. 지리산소재사찰의조선시대개판불서연구. 서지학연구, 46: 382-386.

19.

이상백. 2012. 佛祖三經의 성립과 저본에 관한 고찰. 서지학연구, 53: 155-178.

20.

이원숙. 2009. 休休庵坐禪文에 관한 연구. 한국선학, 23: 193-222.

21.

인경. 2009. 몽산덕이와 고려후기 간화선사상 연구.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22.

임기영. 2013. 安邊 釋王寺 간행 판본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연구, 54: 343.

23.

정병삼. 2007. 몽산 저술의 간행과 16세기 조선불교. 불교학연구, 18: 119-147.

24.

정은영. 2005. 몽산화상육도보설입겿 연구. 국어사연구, 5: 95-119.

25.

조명제. 2005. 고려말元代 看話禪 수용과그사상적영향- 蒙山, 高峰을중심으로-. 보조사상, 23: 137-178.

26.

채상식. 2010. 1608년 松廣寺 重刊 勸修定慧結社文․ 誡初心學人文 연구. 서지학연구, 47: 318-319.

27.

최연식, 강호선. 2003. 蒙山和尙普說에나타난蒙山의행적과高麗後期 佛敎界와의관계. 보조사상, 19: 163-206.

28.

한기두. 1985. 休休庵坐禪文 硏究. 한국문화와 원불교사상. 615.

29.

허흥식. 2008. 고려에 남긴 휴휴암의 불빛. 서울: 창비.

30.

종교학대사전. 1998.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