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교과 키워드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주제 연구 - 한국·미국 정보기술관련 교과 중심으로 -

Identifying Topics of LIS Curricula by Keyword Analysis - Focu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Classes of US and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43-60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43
최상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초록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다양한 정보기술이 도서관에 도입되면서 도서관의 업무와 서비스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학을 교육하는 대학에서는 정보기술 발전 동향을 반영하여 교과과정에 수용하는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수집하여 정보기술과 관련된 교과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교과목의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교과 제목 키워드와 과목설명 키워드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유사하게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는 키워드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웹’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은 한국에서만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I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Iinformation technology, Ccurriculum, content analysis, Sstatistical analysis, 문헌정보학과, 정보기술, 교과목, 내용분석, 계량적 분석

Abstract

Since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atabase or network technology was brought into the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fields, the functions and services of libraries have drastically changed. To cope with the changes of fields, library schools have been improving curricula. This study collected curricul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US and Korea and selected classes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It also investigated the title keywords and keywords of class description statistically. As a result, ‘system, ‘database’, ’network’, ‘programing’, ‘web’ are major topic keywords for both countries, but ‘library’shows high frequency pnly in Korea.

keywords
I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Iinformation technology, Ccurriculum, content analysis, Sstatistical analysis, 문헌정보학과, 정보기술, 교과목, 내용분석, 계량적 분석

참고문헌

1.

김영석. 2014. 문헌정보학의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173-196.

2.

남영준. 2011.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343-362.

3.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9-53.

4.

엄영애. 2002. 문헌정보학과의 정보기술 교과목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415-430.

5.

엄영애. 2009. 문헌정보학과 학부 교과과정의 변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09-427.

6.

최상기, 안인자, 노영희, 김주섭. 2013.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23-245.

7.

최상희, 하유진. 2019. 미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주제에 대한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6(1): 53–71..

8.

한승희. 2011.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정보기술 수용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71-90.

9.

Davis, Fred. D. 1986.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10.

Ma, Jinxuan, Lynne Stahl & Erica Knotts. 2018. “Emerging Roles of Health Information Professional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a Scoping View.” Jounr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106(4), 432-444.

11.

Markowski, Brianne, Lyda McCartin, & Stephanie Evers. 2018. “Meeting Students Where They Are: Using Rubric-based Assessment to Modify an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Communications in Information Literacy, 12(2), 128-149.

12.

Sibiya, Philangani Thembinkosi & Mzwandile Shongwe. 2018. “A Comparison of the Cataloguing and Classification Curriculum and Job Requiremnets.” Library Management, 39(6/7), 474-487.

13.

Worthington, Becca. 2017.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Opportunities for,Performance Training within the MLS Curriculum: Issues for Enhancing Education of Children’s Librarian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8(4), 202-218.

14.

Zorkoczy, Peter. 1991. Information Technology: an Introduction. London: Pitm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