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의 국제적 성과와 격차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Achievements and Inequality in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4, v.55 no.2, pp.219-242
https://doi.org/10.16981/kliss.55.2.202406.219
조재인(jane cho)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LIS(Library & Information Science) 분야 국제 저널에 출판된 논문의 산출 성과를 살펴보고 국제적 격차와 그 변화를 이해하였다. 더불어 학술 논문의 상위 생산 국가를 중심으로 학술 출판 특징을 시각화하고, 하위 연구 영역에 따른 차이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최근 5년간의 논문 출판은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으나, 네덜란드가 생산한 논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과 국제 및 산업체 협력 성과가 나타났다. 두 번째, 지난 20년간 논문 생산 및 피인용량에 있어서는 높은 국가 간 격차 지수가(g = 0.7-0.8) 유지되고 있으나, CR3(Concentration Ration 3)은 63.3%에서 43.2%로, HHI는 2,129.6에서 976.1로 감소해, 상위 국가 집중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는 추세를 나타냈다. 세 번째, LS(Library Science) 분야는 가장 높은 국가 간 격차와 미국 중심의 높은 집중도가 나타났으며, SM(Scientometrics) 분야는 논문 생산 기여국이 가장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문헌정보학, 학술논문, 산출량, 격차, 국제학술지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output performance of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in the LIS field over the past 20 years and used the Gini coefficient and Hirschman-Herfindahl (HHI) index to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gap in academic paper output and its chang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publications were visualized focusing on the top producing countries of academic paper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sub-research areas were also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lthoug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leading the publication of paper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results produced by the Netherlands showed relatively high influence and international and industrial cooperation results. Second, a high inter-country gap index (g= 0.7-0.8) has been maintained in terms of paper production and citation volume over the past 20 years, but the concentration of top countries is showing a trend of easing over time, as CR3 (Concentration Ration 3) decreased from 63.3% to 43.2%, HHI decreased from 2,129.6 to 976.1. Third, the LS field showed the highest gap between countries and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while the SM field was confirmed to be the most dispersed.

keyword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ticle, Inequality, Gini Coefficient, Cit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5-23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6-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