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탈북 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 이해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초록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문화 적응 유형과 문화 적응 정체감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탈북 청소년의 문화 적응 정체감 척도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탈북 청소년들은 하나원 시절을 포함한 보호기간 4개월 동안에는 ‘동화’ 유형, 4개월 이후 1년 동안에는 ‘분리’ 유형, 1년에서 2년 동안에는 ‘주변화’ 유형, 그리고 2년 이후에는 ‘통합’ 유형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탈북청소년들이 남한 문화에 대하여 U형의 적응 정체감 변화 과정을 겪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한 공교육을 받고 있는 탈북 청소년들은 대안학교나 검정고시 등 비교적 개별적 교육을 받는 청소년들에 비하여 ‘주변화’ 적응 유형을 많이 보였는데, 이는 남한 청소년들과 함께 생활하는 탈북 청소년의 적응 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말해 준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이 제한된 탈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문화 적응 정체감 척도를 개발하여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으며, 이후 탈북 청소년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acculturation process, 탈북청소년, 문화 적응 과정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culturation type and the change proc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South Korean - North Korean Cultural Identity Scale was developed and used to identify the acculturation types of 70's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Those who lived for 4 months under national protection have 'assimilation' - high on south korea directed identity dimension and low north Korea dimension - identity type. Adolescents living in South Korea more than 4 months but less than 16 months showed 'separation'(high North, low South) identity type. Adolescent more than 16 months less than 28 months showed low scores on both dimensions - 'marginalization' type. Finally the scores of adolescents living in South Korea more than 28 months were high on both dimensions - 'integration' typ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U” pattern proposed by the model( Atkinson, Morton, and Sue, 1998) and four strategy types proposed by Berry (1970, 2002).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may experience different patterns of acculturation based on the length of living in South Korea. This result suggests that different strategies of helping this population need to be developed.

keywords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acculturation process, 탈북청소년, 문화 적응 과정

참고문헌

1.

(2001) 탈북주민의 적응 유형연구 , 중앙대학교

2.

(1999) 탈북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3.

(2001)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4.

(2002) 탈북청소년의 남한 사회적응에 관한 질적분석,

5.

(2003) 남한거주 북한이탈주민의 식생활행동에 관한 연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심리적 문화적응전략유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6.

(2000) 탈북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7.

(2002) 북한이탈주민용 문화적응전략 척도 개발,

8.

(1999) Juggling two worlds: Ethnic Identity of Korean-American College studen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9.

(1998)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 , McGraw-Hill

10.

(1970) stress and identification in an acculturating Aboriginal Communit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1.

(1976) Comparative studies in 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12.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13.

(1986) Refugee mental Health in Resettlment Countries,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14.

(1991) Managing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for problem prevention In Mental Health Services for Refuge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5.

(1998) Acculturative Stress., Routledge.

16.

(2002) Cross-Cultural Psychology (2nd Edi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1991) The course of Sojourner adaptation A new test of the U-curve hypothesis,

18.

(1992)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19.

(2004) 원 고 접 수 일,

20.

(2004) 게 재 결 정 일,

21.

상담 및 심리치료,

22.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

This study examined the acculturation type and the change process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South Korean - North Korean Cultural Identity Scale was developed and used to identify the acculturation types of 70's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Those who lived for 4 months under national protection have 'assimilation' - high on south korea directed identity dimension and low north Korea dimension - identity type Adolescents living in South Korea more than 4 months but less than 16 months showed 'separa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