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모형

The Explanatory Models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데이트 상황에서 벌어지는 성폭력의 피해와 가해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 모형을 세우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성폭력의 가해 및 피해에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난 심리적 변인을 고려한 결과 강간통념, 성역할 수용, 성적 자기 주장성, 데이트 상대에 대한 통제 경향 등이 데이트 성폭력과 관련 있는 주요한 변인들이었다. 이러한 변인을 고려하여 SEM을 이용하여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설명모형을 세웠다. 전통적인 성역할의 수용과 남성위주의 강간통념의 내면화, 데이트 성폭력 상황에 대한 낮은 인식이 데이트 상대에 대한 통제 경향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성폭력의 가해에 이르게 한다는 가해모형과 전통적인 성역할의 수용과 남성위주의 강간통념의 내면화, 데이트 성폭력 상황에 대한 낮은 인식이 데이트 상황에 있는 여성의 성적 자기 주장성을 약화시켜 성폭력의 피해경험을 높인다는 피해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AMOS 4.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질문지는 서울소재 S대학의 남녀 대학생 989명에게 실시되었으며, 데이트 경험이 있거나 데이트 중인 남학생 517명, 여학생 428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가해모형의 검증결과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낮은 인식이 가해 행동을 유발하다는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간통념의 수용이 데이트 상대에 대한 통제 경향을 거쳐 가해행동을 유발하게 되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모형의 경우, 전통적인 성역할의 수용이 여성의 성적 자기 주장성을 약화시켜 데이트 상황에서의 피해를 유발하게 되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위주의 강간통념의 수용이 성적 자기 주장성을 약화시켜 피해를 증가시키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dating violence, rape myth, sexual relationship, sex-role acceptance, 데이트성폭력, 강간통념, 성역할 수용, 성적 자기 주장성, 데이트 상대 통제 경향, dating violence, rape myth, sexual relationship, sex-role acceptance

Abstract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test and explain the theoretical models of dating sexual violence that based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reportedly related with former researches.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selected the variables that related with dating sexual violence: sex-role acceptance, rape myth, awareness of sex-dating violence control, and sexual self-assertiveness and hypothesized models. The models of dating sexual violence and victimization are as follows. a sexual violence model postulates that males are likely to violate their dating partners when they have traditional sex-role acceptance, rape-myth, low degree of dating violence awareness. And, partner control, as mediating variable, mediates these three variables toward sexual violent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 Sexual victimization model postulates that females who have traditional sex-role acceptance, rape-myth, low degree of dating violence awareness are likely to be violated by their dating partners. And, sexual self-assertiveness, as a mediating variable, mediates these three variables toward sexual victimization in dating relationship. The models were estimated with AMOS 4.0. For this study, 989 college student were selected as a sample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partner control in sexual violence model mediated between the acceptance of rape myth and sexually violent behavior. Moreover, sexual self-assertiveness in sexual victimization model mediated between both the acceptance of rape myth and sex-role acceptance and sexual victimization in dating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keywords
dating violence, rape myth, sexual relationship, sex-role acceptance, 데이트성폭력, 강간통념, 성역할 수용, 성적 자기 주장성, 데이트 상대 통제 경향, dating violence, rape myth, sexual relationship, sex-role acceptance

참고문헌

1.

(1996) 미혼 대학생의 혼전 단계에서의 신체적 폭력의 경험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2.

(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 행동,

3.

(2001) 성희롱문제 지각에서 성차 및 성역할 태도의 영향,

4.

(2001) 대학생의 애착 사랑유형에 따른 성행동,

5.

(2003) 대학생 데이트 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6.

(2002) 데이트 폭력 경험자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

7.

(2001) 성장기에 부모의 배우자 폭력에 노출된 경험과 초기 성인기의 적응,

8.

(2002) 이성교제 폭력행동과 관련된 개인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9.

(2003) 성폭력 가해자 상담 매뉴얼, 여성민우회

10.

(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이성교제폭력 피해간의 매개요인에 관한 연구,

11.

(2004) 이성교제에서 원하지 않는 성관계 요구의 응낙에 대한 설명 모형-대학생 중심으로 ,

12.

(1998) 이성교제 중 발생한 폭력,

13.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 실태와 위험 요인들,

14.

(1999) 강간통념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

15.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사회 및 성격,

16.

(2004) 2003년 대학생 성의식 및 성폭력 실태조사,

17.

(2001)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

18.

(2000) 십대 소녀의 임신률 예방대책 ,

19.

(2003) 여고생의 성적 자기주장 프로그램 참여 효과,

20.

(2000) 일개 대학 대학생들의 성지식 태도 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21.

(2003) ^소식지 나눔터 33호,

22.

(1988) Considerations for prevention of HIV infection among Hispanic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3.

(1980) Cutural myths and support for rape,

24.

(1982) Journal of Family Issues,

25.

(1999) Is partner aggression related to appraisals of coercive control by a partner?,

26.

(1978) Attitudes toward rape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7.

(2002) Relationship Power, decision making, and sexual relations: an exploratory study with couples of Mexican origin,

28.

(2000) Patterns of Conflict Resolution Within Relationships and Coercive Sexual Behavior of Men and Women,

29.

(2003) Sexual compliance: gender, motivational, and relationship.,

30.

(197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x role ideology scale,

31.

(1993) Detecting the scope of rape:A review of prevalence research methods,

32.

(1990) Young women in danger, Seal press

33.

(1981) Rape proclivity among males,

34.

(1987186-196) Dating rape and sexual aggerssion in dating situations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Incidence and risk factors

35.

(2000) Measuring sexual relationship power in HIV/STD research.,

36.

(1984) Personality and attitudinal characteristics of sexually coercive college males,

37.

(1989) A theoretic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Violence in dating relationships,

38.

(1988) I never called it rape, Haper & Row

39.

(1998) Partner influences and gender-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noncondom use among young adult African-American women,

40.

(2000)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Gender and Power to examine HIV related exposures risk factor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women,

41.

(1997) Implications for HIV/AIDS risk reduction and education ,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