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고은정 (1997).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고혜영 (1992). 교사기대지각․학문자아개념․시험불안과 학업성취간의 분석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김문주, 이혜성 (1991).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정신의학, 2(1).
김용래 (1993).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김용래 (2000). 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김이례 (2003).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김종덕 (2001).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김희정 (1998). 고등학교 학생들의 불안과 학교태도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문은식 (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문희옥 (1987). 정서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민영순 (1995). 가정환경 및 학급사회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박강학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습관여 형태가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박연수 (2003).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현선 (1998). 빈곤청소년의 위험 및 보호요소가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11호.
박현진 (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배숙진 (1998).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 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백경숙, 권용신 (2004).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6(2), 87-99.
신윤자 (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공주교육대학교.
양순미, 유영주 (2003).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지, 41(9), 121-134.
이은미, 박인전 (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7(1), 3-24.
이재구 (2000).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과 청소년의 적응.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임은미 (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장휘숙 (1999).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전준식 (2005). 뇌호흡 수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국제평화대학원.
정미현 (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친구 간 갈등해결 전략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조수철 (1991). 시험불안의 개념과 이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지: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2(1), 3-10.
조진희 (1999). 여고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최미라 (2004). 고등학생의 시험불안과 자아존중감 및 부모양육태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하명선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하임숙 (2006). 서울지역 초중고생 3명중 1명 정신건강에 문제. 동아일보, 8. 21, 12.
홍정기 (1995). 국민학생의 상황불안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gy, 70, 349-361.
Block, J. H. (1978). The Q-sort method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psychiatric reserch.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Ciechetti, Toth and Lynch. (1995). Bowlby's dream comes full circles, Advances in Clinical Psychology, 17, 1-75.
Deci, E. I., (1995). Intrinsic motivation. NY: Plenum.
Dixon, S. J. (2002). Attitudes that reflect resili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coping responses and protective factors in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Garmezy, N. (1983). Stressors in childhood. In N. Garmezy, & M. Rutter(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pp.43-84). NY: McGraw-Hill.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a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Hill, K. T. (1972). Anxiety in evaluative context in the Young Child edited by Hartup W.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Kopp. C. B. (1984).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54.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1).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 425-444.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 D. Spielberger(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Y: Academic Press.
Tellegen, A. (1985). Structures of mood an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r(Eds.), Anxiety and the anxiety disorders(pp.681-706). Hillsdale, NJ: Erlbaum.
Wynne, L. C., Jones, J. E., & Al-Khayyal, M. (1982). Healty family communications patterns: Observation in families “at risk” for psychopathology, In F. Walsh(Ed.), Normal family processes (pp.142-167). NY: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