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결과 K-BARQ는 심리측정적으로 좋은 도구이고 분노표현을 다양하게 측정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심리상담이나 치료에서 혹은 일상생활에서 분노 문제를 다룰 때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로만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분노와 인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에서 반추 요인이 강조되고 있다. 만성적 분노반추는 다양한 의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된다(김교헌, 전겸구, 1997).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분노 조절을 위한 심리상담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의 문제뿐만 아니라 분노반추를 다루거나 조절하는 심리상담 중재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중재법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K-BARQ에 포함된 반추 요인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K-BARQ의 자기표현 요인도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분노표현과 관련하여 분노표출이나 분노억제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반면, 자기표현은 긍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보고된다. 분노 조절을 위한 심리상담에서 자기표현의 변화도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중재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K-BARQ가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김교헌 (2000). 분노 억제와 고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181-192.
김교헌, 전겸구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김용섭 (1984). 분노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논문집, 12, 71-90.
남궁희승 (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이경순, 김교헌 (2000). 분노억제경향과 문제해결이 분노 정서 경험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60-72.
전겸구 (1999).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 재활심리연구, 6(1), 173-190.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조현춘, 이근배 (2006). 분노행동질문지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예비연구.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9(1), 41-51.
한덕웅 (2001). 한국의 전통의학 사상에서 정서와 신체질병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22.
한덕웅, 박준호 (2003).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분노경험이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1), 147-168.
한덕웅, 전겸구 (1995). 퇴계 심학의 4단 7정론에 관한 정서 이론적 접근. 임능빈(편). 동양사상과 심리학. 서울: 성원사.
Averill, J. R.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n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11), 1145- 1160.
Bushman, B. J., Bonacci, A. M., Pedersen, W. C., Vasquez, E. A., & Miller, N. (2005). Chewing on it can chew you up: Effects of rumination on triggered displac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6), 969-983.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3), 452-459.
DiGuseppe, R. & Froh, J. J. (2002). What cognitions predict state anger? Journal of Rational- 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20(2), 133-150.
Earle, T. L., Linden, W., & Weinberg, J. (1999). Differential effects of harassment on cardiovascular and salivary cortisol stress reactivity and recovery in women and me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6(2), 125-141.
Eckhardt, C., Norlander, B., & Deffenbacher, J. (2004). The assessment of anger and hostility: a critical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9(1), 17-43.
Friedman, H., & Booth-Kewley, S. (1987). Personality,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heart disease: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4), 783-792.
Hogan, B. E., & Linden, W. L. (2004). Anger Response Styles and Blood Pressure: At least don't ruminate about it!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7(1), 38-49.
Izard, C.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Jorgensen, R. S., Johnson, B. T., Kolodziej, M. E., & Schreer, G. E. (1996). Elevated blood pressure and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20(2), 293-320.
Kassinove, H., Sukhodolsky, D. G., Tsytsarev, S. V., & Solovyova, S. (1997). Self-Reported anger episodes in Russia and America.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2(2), 301-324.
Linden, W., Hogan, B. E., Rutledge, T., Chawla, A., Lenz J. W., & Leung, D. (2003). There is more to anger coping than “In” or “out”. Emotion, 3(1), 12-29.
Martin, R., Watson, D., & Wan, C. K. (2000). A three-factor model of trait anger: Dimensions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68(6), 869-897.
Mathews, A., & Mackintosh, B. (1998). A cognitive model of selective processing in anxie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6), 539-560.
Miller, T. Q., Jenkins, C. D., Kaplan, G. A., & Salonen, J. T. (1995). Are all hostility scales alike? Factor structure and covariation among measures of hostil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5, 1142-1168.
Novaco, R. W. (1994).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pp. 21-6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lutchik, R. (1980). Emotion: a psychoevolutionary synthesis. New York: Harper & Row.
Riley, W. T., & Treiber, F. A. (1989). The validity of multidimensional self-report anger and hostility measur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3), 397-404.
Smith, T. W. (1992). Hostility and health: Current status of a psychosomatic hypothesis. Health psychology, 11, 139-150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pp. 89-108). New York: Springer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