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가족주의와 현실역동상담의 일체적 관점

The Familism and a View of Integrationfor Reality Dynamic Counseling

초록

한국문화의 특성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유교의 영향에 의해 강화된 가족주의이다. 이것은 서구의 개인주의적 가치와 만나면서 많은 혼란을 맞이하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서구화가 되었어도 내용적으로는 여전히 전통적 가족주의적 가치가 유지되고 있어 우리사회에는 가족간의 갈등이 많다. 여러 폐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주의는 우리문화의 근간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개인을 중시하는 서구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것은 새로운 가족문화 정립에 초석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나’라는 개인과 ‘우리’라는 가족을 다 아우를 수 있는 일체적 또는 원융적(圓融的) 관점을 제안했다. 그리고 이런 일체적 관점이 한국적 상담모형으로 제안된 현실역동상담의 실제 사례에서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살펴봤다.

keywords
familism, individualism, co-operation spirit, point of view for integration, Reality Dynamic Counseling, 가족주의, 개인주의, 공동체의식, 일체적 관점, 현실역동상담, familism, individualism, co-operation spirit, point of view for integration, Reality Dynamic Counseling

Abstract

The familism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among national traits of Korea. Nowadays Korean society has a lot of conflicts between the traditional familism and the Western individualism. Although our society seems to be externally westernized, it still has inveterate values of the familism. The familism is keynote of Korean cultures and has a powerful merit like co-operative spirit even though it has a lot of evils. And also it could really make for formation of new culture of our familism, if it is harmonized with individualism. A view of integration for familism and individualism which embraces ‘me’ and ‘we(Uri)’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various conflicts of family relationships in Korea. Such a point of view regards an individual as a part of a family, not as a separate being from family. This study introduces Reality Dynamic Counseling as an approach for Koreans and illustrates how does counseling with such a point of view in real counseling cases.

keywords
familism, individualism, co-operation spirit, point of view for integration, Reality Dynamic Counseling, 가족주의, 개인주의, 공동체의식, 일체적 관점, 현실역동상담, familism, individualism, co-operation spirit, point of view for integration, Reality Dynamic Counseling

참고문헌

1.

권명아 (2000). 가족 이야기, 그 역사적 형식에 관하여: 김원일의 ‘가족’을 중심으로. 동서문학, 248-261.

2.

김은희 (2005). 문화적 관념체로서의 가족: 한국 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7, 183-214.

3.

김태길 (2002). 한국 가족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철학과 현실, 55, 30-41.

4.

박영신, 김의철 (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5.

안호용 (2001). 현실의 가족과 생각 속의 가족: 한국 가족사의 탐색. 한국 가족상의 변화, 하용출 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6.

은기수 (2006).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3), 1-31.

7.

이동희 (1997). 유교 전통과 21세기 한국의 ‘민족문화’ 문제-한국적 가족제도와 그 문화를 중심으로-. 유교사상연구, 11, 101- 127.

8.

이성용 (2006). 가족주의와 효. 한국인구학, 29, 215-240.

9.

이승환 (2004). 한국 ‘가족주의’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 가능성. 유교사상연구, 20, 45-66.

10.

이재경 (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11.

이현지 (2005). 한국사회의 가족문화의 실태와 새로운 가족문화에 대한 모색. 한국학논문집, 32, 421-450.

12.

장성숙 (2000). 현실역동상담: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17-32.

13.

장성숙 (2002). 우리 문화에서의 상담자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47-561.

14.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 상담자의 초점: ‘개인중심’ 또는 ‘역할중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5-27.

15.

최봉영 (1998). ‘사회’ 개념에 전제된 개최와 전체의 관계와 유형. 동양사회사상, 1, 79-104.

16.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7.

최상진, 최인재, 김기범 (1999). 정, 최면민감성과 스트레스, 문제대응방식간의 관계.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회.

18.

최상진, 진승범 (1995). 한국인의 눈치의 심리적 표상체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집, 511-521.

19.

최영진 (2005). 한국사회의 유교적 전통과 가족주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철학의 눈으로 한국의 오늘을 본다: 한국적 문화현상」.

20.

최홍기 (2006).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1.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개정판). 서울: 학지사.

22.

한성열 (2005). 한국인의 문화 특수성: 가족관계로 본 한국 문화의 특성. 한국 문화의 특성과 상담.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제5회 학술심포지엄 논문집. 21-30.

23.

함인희 (2001). 한국가족사의 이해. 하용출 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4.

Caldwell, J. C. (1982). Theory of fertility decline. New York: Academic Press.

25.

Inglehart, R. (1997). Mor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Hofstede, G. (1991). Culture and organization: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 Hills. 나은영․ 차재호 (역). 세계의 문화와 조직. 서울: 학지사.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