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성희롱 대처방안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를 통하여 성희롱을 예방하기 위한 상담과 예방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유형, 행위유형, 그리고 반복성의 조건이 각각 다른 12가지의 사례를 제시한 후 대처방안을 살펴보았는데, 대처방안은 상담의향, 대응수준, 처벌강도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여자 대학생 93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남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611명의 남자 대학생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형 성희롱 사례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상담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체형 성희롱 사례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상담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응수준에서는, 개인적 소극적 대응에는 주로 남학생들의 응답률이 높았고 공식적 적극적 대응에는 여학생들의 응답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처벌강도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처벌수준에 대해 남학생들의 응답률이 여학생에 비해 높았고 상대적으로 처벌수준이 강하다고 볼 수 있는 응답에는 여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성희롱 상담 및 예방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ex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sexual harassment is handled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ncluded 611 male and 936 female students from seven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other provinces.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based on 12 cases of sexual harassment with differing characteristics. Sexual harassment coping styles included tendency to seek counseling, level of countermeasure and degree of punishment.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students to seek counseling in response to verbal sexual harassmen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 students to seek counseling for physical sexual harassment. Regarding countermeasure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strong tendency to resolve matters individually through steps such as demanding an apology. However,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confront harassment officially and proactively.Finall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ended to demand an apology or require attendance of a correction program for verbal sexual harassment, and attendance of a correction program, compensation, and punishment for physical sexual harassment. This study presents useful suggestions for bo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xual harassment counseling with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강현화․고은영 (2001). 성차에 따른 여성의 역할과 성희롱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연구. 학생생활연구, 6, 65~82.
김양희 (1995). 성희롱: 경험과 인식, 그리고 정책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17~32.
김정인․최상진․박정열 (2002). 성희롱 행위에 대한 대처인식 및 가용자원의 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2), 53~75.
김정인 (2000). 성희롱행동의 이해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대학의 성희롱 고충처리 기구 현황(미발표 집계). 교육인적자원부.
서울대학교성희롱․성폭력상담소 (2004). 2003년 대학생 성의식 및 성폭력 실태조사.
윤영민 (2002). 성희롱의 정의: 사회적 합의는 가능한가? 한양대학교 성폭력 상담소 성희롱의 합리적 기준 설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1~27.
이미정 (2002). 사례분석을 통한 성희롱 기준 모색. 한양대학교 성폭력 상담소 성희롱의 합리적 기준 설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1~17.
진정희 (2003). 성희롱 사건 해석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대적 성차별주의의 영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하혜숙․김보명 (2005). 대학의 성희롱․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 상담을 중심으로. 교육인적자원부.
Frazier, P. A., Cochran, C. C., & Olson, A. M. (1995). Social science research on lay definitions of sexual harass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51(1), 21~37.
Gelso, C., & Fretz, B. (2001). Counselling psychology (2nd). NY: Harcourt, Inc, 586~593.
Gruber, J. E. (1992). The sexual harassment experiences of women in nontraditional jobs: Results from cross-national research. Proceeding of the First National Conference on Sex and Power Issues in the Workplace. Bellevue, WA: March, 1992.
Gutek, B. A, Morasch, B. & O'Connor, M. (1995). The empirical basis for the reasonable woman standard. Journal of Social Issues, 51(1), 151~166.
Gutek, B. A., & Koss, M. P. (1993). Changed women and changed organizations: Consequences of and coping with sexual harass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2, 28~48.
Gutek, B. A., Morasch, B. & Cohen, A. G., (1983). Interpreting social-sexual behavior in a work sett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30~48.
Naomi M. Dogan (2000). Toward a theory of sexual harassment: Giving voice to women students' experiences, Doctoral Dissertation (counseling psychology),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308~343.
Powell, G. (1983). Definition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ttention experienced. Journal of Psychology, 113(1), 113~117.
Reese, L. A., & Lindenberg, K. E. (1999). Implementing sexual harassment policy: Challenges for the public sector workplace. Sage Publications.
Stockdale, M. S. (1996).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learn about sexual harassment. In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Ed.). Thousand Oaks, CA: Sage.
Thacker, T. A., & Gohmann, S. F. (1993). Male/femal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ffects of hostile environment sexual harassment: "Reasonable" assumption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22, 461~472.
York, K. M. (1989). Defining sexual harassment in work places: A policy-capturing approa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830~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