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불안, 자의식 및 방어기제에 따른 심상능력

A study on imagery ability according to degree of self-consciousness, anxiety and defense mechanisms

초록

본 연구는 불안과 자의식 및 방어기제에 따라 심상을 떠올리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6개 고등학교의 청소년 6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결과는 첫째, 불안이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보다 심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의식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심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어기제인 신체화, 통제, 유머, 허세, 동일시방어기제를 더 사용하는 사람은 덜 사용하는 사람보다 심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 회피, 투사기제를 덜 사용하는 사람이 더 사용하는 사람보다 일부영역의 심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불안이 낮거나 자의식이 높거나 또는 신체화, 통제, 유머, 허세, 동일시방어기제를 더 사용할수록 심상을 보다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불안과 자의식 및 방어기제 종류와 사용정도에 따라 심상을 떠올리는 능력에 차이가 난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심상을 유도한다면, 보다 생생한 심상을 떠올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심상시 보다 생생한 심상 떠올림을 돕는 효과적인 접근 방법의 근거를 보여준다는데 의의가 있다하겠다.

keywords
imagery, imagery ability, anxiety, self-consciousness, defense mechanisms, 심상, 심상능력, 불안, 자의식, 방어기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individual differences in adolescents’ ability to generate imageries according to their anxiety, self-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feel more anxiety have low imagery ability than those who feel less. Second, students whose self-consciousness was high showed higher imagery ability than those whose self-consciousness was low. Third, students who use more somatization, controlling, humor, and show-off, in their identification have higher imagery ability than those who use less. In conclusion, low anxiety and high self-consciousness help generate vividimageries. Moreover, with frequent use of defense mechanisms such as controlling behavior and humor, imageries were generated more brightly than other defense mechanisms such as denial, evasion and projection.

keywords
imagery, imagery ability, anxiety, self-consciousness, defense mechanisms, 심상, 심상능력, 불안, 자의식, 방어기제

참고문헌

1.

김미숙 (2007). 자아성장을 위한 심상치료프로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동 (1977). 수업설계에서 심상전략의 활용. 교육문제연구, 19, 137-153

3.

김수정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자의식과 발표불안의 관계.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용수 (2006). 심상훈련이 높이뛰기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1991). 이화방어기제 검사실시요강. 서울: 하나의학사.

6.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주현 (1995).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호일 (2000). 심상정교화훈련이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기억수행에 미치는 효과. 용인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나카하라 히데오미, 김종성 (2003). 뇌력사전. 서울: 베텔스만.

10.

박경애 (2002). 청소년의 신체상, 자존감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춘옥 (1992). 심상훈련이 아동의 산문학습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성은현 (2000). 심상적 사고 능력과 심상적 사고횟수 및 창의성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4(1), 19-24.

13.

송수남 (1985). 무용원론. 서울: 형설출판사.

14.

엄미경 (2003). 중학생의 자기 개념, 자의식, 자기효능감과 대인불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경미 (2007). 심상치료가 가정주부의 비합리적 사고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심상치료 치료작업 C모델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윤영화 (2001). 뇌과학에서 본 기억과 학습. 서울: 학지사.

17.

음경옥 (2000). 심상요법이 관상동맥질환자의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선영 (2006). 심상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심상치료 치료작업 C모델로 한부모가정 청소년 우울감소를 다룬 실험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수정 (2001). 심상연습이 무용동작 수행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

이시형 (1994). 대인공포증. 서울: 일조각.

21.

이영자 (1996).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유미 (2004). 부인과 수술 환자에게 제공되는 지시적 심상요법이 수술전 불안과 수면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 석사학위논문.

23.

이춘재외 (2000).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원서출판 1988)

24.

임성희 (2006). 심상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부인의 고통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심상치료 치료작업 C모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전란 (1992). 심상전략이 학업성취수준과 전이과제의 해결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미림, 유숙자 (1997). 지시적 심상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우울, 혈중 코르티솔 농도 및 심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6(2), 195-205.

27.

최귀윤 (2000). 집단심상치료가 혈액투석환자의 안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최범식 (1999). 심상치료. 서울: 하나출판사.

29.

최범식 (2006). 심상치료와 상담의 본질. 서울: 학구사.

30.

최범식, 노명래 (1995). 우울 신경증 대학생들의 RPS 체험적 심상 시각현상의 특징과 의미. 학생생활연구, 2, 93-111.

31.

황위숙 (2005). 심상훈련이 초등학교 학생의 과녁 맞추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Adams, J. A. (1904). Do cognitive factors in motor performance become nonfiction with practice. Journal of motor behavior, 13, 262-273.

33.

Bond, M., Gardner, S. T., Christian J., & Sigal, J. J. (1983). Empirical study of self rated defense style. Archean Psychology, 40, 333-338.

34.

Carver, C. S., & Scheier, M. F. (1978). Self-focusing effects of dispositional self- consciousness, mirror, presence, and audience pres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324-332.

35.

Eaton, S. E., & Evans, S. B. (1986). The effect of nonspecific imaging practice on the mental imager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5(5), 193-196.

36.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522-527.

37.

Fenigstein, A. (1979). Self-consciousness, Self- attention,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7, 75-86.

38.

Freud, S. (1900). Die Taundeutung. In :Gesammelte Werke; Chronologisch Geordnet. Bd. 2~3. Frankfurt/ M. Fescher.

39.

Froming, W. J., & Carver, C. S. (1981). Divergent influences of private and public self- consciousness in compliance paradig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5, 159-171.

40.

Gibbons, F. X., Smith, R. W., Ingram, R. E., Pearce, K., Brehm, S. S., & Schroeder, D. J. (1985). Self-awareness and self-confront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members a clinical popul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8, 662-675.

41.

Hecker, J. E., Kaczor, L. M. (1988). Application of imagery theory to Sport Psychology: some preliminary fining.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0, 363-373

42.

Innes, J. M., & Kitto, S. (1989). Neuroticism self-consciousness and coping strategies and occupational stress in high school teach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0, 303-338.

43.

Isaac, a. R. (1992). Mental practice-does it work in the field? The Sport Psychologist, 6, 192-198.

44.

Knoll, M. (1965). Die Welt der Inneren Lichterscheinungen. In: A., Portmann(Hrg.). Eranos Ja hrbush. 1965: Formals Aufgabe des Geistes Zurish.

45.

Lang, P. J. (1979). Imagery in therapy: An information processing analysis of fear. Behavior Therapy.

46.

Leuner, H. (1980). katathymes Bilderleben: Ergebnisse in the orie und Praxis. Bern Huber. (Hrg.).

47.

Lenuer, H. (1984). Guided affective imagery: Mental imagery in short-term psychotherapy. New York: Thienme-Strattoninc

48.

Richardson, A. (1988). Mental Imagery. London: Routledge.

49.

Scheier, M. F., Buss, A. H., & Buss, D. M. (1978). Self-consciousness, Self-report of aggressiveness and aggress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2, 133-140.

50.

Scheier, M. F. (1980).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the Public expression of personal belie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514-521.

51.

Sheehan, P. W. (1967). A shortened form of Bett's questionnaire upon mental imager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386-389.

52.

Skovalt, T. M., Morgan, J. I., & Negron- Cunningham, H. (1989). Mental imagery in career counseling and life planning: A review of research and intervention met hob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 287-92.

53.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Pal.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54.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 D. Spielberger(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Vol. 1, pp. 23-49). New York: Academic Press. 117-132.

55.

Turner, R. G., Gilliand, L., & Klein, H. M. (1981). Self-consciousness, evalu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5, 182-190.

56.

Williams, J. M. (1995). Applied Sport Psychologist: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B. T: May field Publishing Compan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