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에 삶과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 보는 것이었다. 자기결정성 이론의 주장과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관계성을 충족할수록 2년 뒤의 삶의 만족에서의 변화에 정적인 종단적 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것과 그 역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지난 5년간 수집한 한국청소년패널 자료 중 1차, 3차, 5차년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반면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부모와의 관계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과 처치에서 청소년의 부모와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 실제와 부모교육에 갖는 함의, 이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자기결정성, 기본욕구, 관계성, 삶의 만족, 종단자료, 청소년, 부모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anel data of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in first, third, and fifth wave from the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evaluat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cisfacrion. Results revealed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predicted subsequent life sacisfaction,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previous adjustments, whereas life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subsequent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keywords
self-determination, basic need, relatedness, life satisfaction, panel data
투고일Submission Date
2009-01-19
수정일Revised Date
2009-03-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9-05-1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