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Divorce Suit with a Grounded Theory

초록

연구자는 ‘결혼한 이후에 어떤 과정으로 부부관계가 와해되어 이혼소송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서울가정법원에서 이혼소송 중인 부부 중에서 연구에 동의한 6쌍(12명)의 부부를 심층면접 하였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절차를 통해 범주들을 도출하였고, 축코딩 절차를 통해 범주들을 패러다임에 연관시키면서 범주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으며, 선택코딩의 절차를 통해 중심범주로 ‘자존감 손상과 이의 간과로 인한 상호 공격과 관계 단절’을 도출하였다. 과정분석을 통해 이혼소송과정으로 갈등 발생 - 자존감 손상 - 무시 - 성관계 단절 - 역할 중단 - 상호 공격 - 단절과 같은 7가지 단계를 도출하였다. 중심범주로 자존감 손상을 도출한 것은 욕구와 요구의 충족을 통한 상대방의 자존감 존중이야 말로 부부간의 사랑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가 충족되지 않으면 이혼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부부관계는 와해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때 부부간의 친밀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수단이며 매개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통계 자료를 분석하는 등의 간접적인 연구가 아니라, 부부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혼에 이르게 되는 심리적 과정을 심층적이고 실증적으로 파악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이혼소송과정, 자존감, 부부 의사소통, 근거이론, 심층면접, process of divorce suit, self-esteem, marital communication,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

Abstract

For this study, I raised the question, “What process do married couples take that leads to a divorce suit?”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6 couples(12 persons) who are in the course of a divorce suit at the Seoul Family Cour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grounded theory. By checking the relations among categories and carrying out the course analysis through the paradigm, seven stages of marital disruption were identified as follows: beginning of conflict, damage to self-esteem, neglect, cessation of sexual behaviors, breakdown of roles, mutual attacks, and disruption. At this juncture, clos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s the most crucial means and effective mediation to save the marriage.

keywords
이혼소송과정, 자존감, 부부 의사소통, 근거이론, 심층면접, process of divorce suit, self-esteem, marital communication,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

참고문헌

1.

곽배희 (1993). 이혼원인 및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

곽배희 (2002).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3.

권정란, 이인순 (2006).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6.

4.

김요완 (2000). 부부의사소통 유형과 성지식 수준의 성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5.

박민지 (2005).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6.

박순용 (2006). 연구자의 위치와 연구윤리에 관한 소고-문화기술지연구를 중심으로-. 미래교육 연구, 19(1). 1-29.

7.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성격, 19(1), 65-83.

8.

박한샘 (2004).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9.

서선경, 최혜경 (2004). 한국 기혼남녀의 부부간 사랑과 성생활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181-200.

10.

성정현 (2001).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논문 발표 자료집: 한국 사회복지의 새로운 도전.

11.

신경림 (2003). 현상학적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탐구, 12(1), 58-62.

12.

연규진 (2006).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다층모형을 이용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분석.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13.

연문희 (1996). 성숙한 부모 유능한 교사. 서울: 양서원.

14.

연문희 (2004). 참만남을 위한 한쌍의 대화. 서울: 학지사.

15.

오경자, 윤진, 이훈구, 정찬섭, 최정훈, 한종철(1999). 인간 행동의 이해. 서울: 범우사.

16.

유경희 (2001). 여성주의적 집단상담에 이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서울.

17.

이무영 (2003). 이혼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18.

이종숙 (1998). 이혼가정 자녀의 적응에 대한 심리사회적 발달적 이해. 인간발달연구, 5(1), 162-183.

19.

장문선, 김영환 (2003). 기혼여성 우울증 환자의 결혼만족도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의사소통패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99-414.

20.

정문자, 이종원 (2003). 원가족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147-164.

21.

정선영 (2006).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2.

조유리, 김경신 (2000).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광주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21.

23.

최동인 (2005). 크리스천 중년 여성들의 이혼 후 적응형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24.

최정숙 (2004).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5.

하상희, 정혜정 (2000). 신혼기 부부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 가정학회지, 3(2), 27-38.

26.

현경자, 김연수 (2002). 기혼남녀의 결혼만족 이유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지, 49(5), 225-263.

27.

Bohannon, P. (1970). The six situation of divorce. In Bohannan, P.(Ed.), Divorce and after. New York: Doubleday.

28.

Bowen, M, & Kerr, M. E. (200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88 출판).

29.

Cavanaugh, J. C. (2001). 성인발달과 노화.(김수정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7 출판).

30.

Glaser, B.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31.

Gottman, J. M. (1993). What predicts div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processes and marital outcomes. Lawrence Erlbaum Assoc Inc.

32.

Gottman, J. M. (2002).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7가지 원칙(임주현 역.). 서울: 문학사상사. (원저 1999 출판).

33.

Kaslow, F. W. (1984). Divorce: an evolutionary process of change in the family system.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7(3), 21-39.

34.

Parrott, Ⅲ, L., & Parrott, L. (1995). Saving your marriage before it starts: seven questions to ask before (and after) you marry. Michigan: ZondervanPublishingHouse.

35.

Satir, V.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3rd ed. Palo Alto, Calif.: Science and Behavior Books.

36.

Sprenkle, D. H., & Storm, C. L.  (1983). Divorce therapy and outcome research: 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9, 239-258.

37.

Stern, P.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 20-23.

38.

Strauss, A. & Corbin, J. (1996). 근거이론의 이해(김수지, 신경림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원저 1990 출판).

39.

Strauss, A. & Corbin, J. (2001). 질적연구 근거이론의 단계(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저 1998 출판).

40.

Streubert, H. J., & Carpenter, D. R. (1995). Qualitative research in nursing.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41.

Young, M. E., & Long L. L. (2004). 부부 상담과 치료(이정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7 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