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Movie-based Anger Control Program o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gressiveness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영화의 치료적 요인을 접목시켜 재구성한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ㅂ중학교 남학생 2학년을 대상으로 공격성 점수가 상위 10%에 해당되는 36명의 학생들로 구성하였다. 이들은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영화상담집단’, 영화를 활용하지 않은 일반분노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일반상담집단’, 어떤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12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공격성 측정도구는 노안녕(1983)이 번역한 Buss와 Durkee(1957) Hostility Scale이 사용되었으며 프로그램은 두 실험집단 모두 매회 60분씩 일주일에 2회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영화상담집단과 일반상담집단의 전체 공격성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공격성 하위요인 중에서 폭행, 부정성, 간접공격성, 흥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영화상담집단이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특히 폭행과 부정성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keywords
cinema therapy, anger, aggressiveness, anger control program, 분노, 공격성, 분노조절 프로그램, 영화치료

Abstract

This study tested whether a movie-based anger control program reduce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gressiveness. The therapeutic factor of movies was added to an existing anger control program. This study referenced the Hostility Scale of Buss & Durkee (1957), translated by RhoAn-nyeong (1983).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over the control group in overall aggressiveness. Among aggressiveness subfactors: violence, negativity, indirect aggressiveness and excitability decreased. The movie-based program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violence and negativity. Accordingly, movies proved effective in reducing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gressiveness.

keywords
cinema therapy, anger, aggressiveness, anger control program, 분노, 공격성, 분노조절 프로그램, 영화치료

참고문헌

1.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권영덕 (2002).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광진 (2000). 영화보기를 통한 가정목회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목회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4.

김계현 (1993).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 청소년 범죄연구, 11, 49-64

5.

김덕호 (2000).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논문.

6.

김용섭 (1984). 분노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 논문집, 12, 71-90.

7.

김준형 (2004). 영화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실현과 영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지 (2005).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선민 (2003). 가정평화상담소 주최 영화치료 웤샵 자료. 미 8군 121 종합병원 정신과 알콜 상담센터.

10.

박성영 (1997). ‘영화’를 통한 상담 가능성 연구-정신분석학적 영화보기를 통하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실천신학과 석사학위논문.

11.

박성혜 (1994). 분노 유발 상황과 분노 수준별 청소년의 대처전략과 효과성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상담전공 석사학위논문.

12.

박선민 (2003). 영상자료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수균 (2005).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서정임 (2006). 영화치료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하위논문.

15.

송현옥 (2005).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감소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심영섭 역 (2006). 시네마테라피. 을유문화사.

17.

심영섭 (2006). 영화치료: Cinema Therapy 어떻게 할 것인가?. 부산학교상담학회 강의자료집, 1-10.

18.

이혜경 (2002). 청소년 인성교육에 있어 영화상담 적용방법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미란 (2007). 해결중심상담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

최명선 (2004). 영화치료가 병사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논문.

21.

최외선, 김갑숙 (1990). 청소년의 공격성에 관한 연구1-중학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11(2), 301-321.

22.

Averill, J. R. (1982). Anger and aggression: An essay on emotion. New York: Springer-Verlag.

23.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24.

Buss, A. H., & Durkee, A.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nseling Psychologym, 21, 349-359.

25.

Christie, M & McGrath, M. (1987). Taking up the challenge: Film as atherapeutic metaphor and action ritu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Family therapy, 8(4), 193-199.

26.

Cole,L.(1966). Psychology of Adolescence. New York Holt, Reinhart & Witson Lnc.

27.

Deffenbacher, J. L. (1999). Cognitive-behavioral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g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 295-309.

28.

Deffenbacher, J. L., & McKay, M. (2000). Overcoming situational and general anger. Oakland: New Harbinger.

29.

Dermer, S. B. & Hutchings, J. B.(2000). Utilizing movies in family therapy: Applications for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9, 163-180.

30.

Ellis, A. E. (1973). Humanistic psychotherapy. New York: McGraw-Hill.

31.

Hestion, M. L. & Kottman, T. (1997) Movies as metaphors: A counseling intervention. Journ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Development, 36, 92-99.

32.

Jacobson, E. (1938).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ao Press.

33.

Lazarus, R. S. (1991). Emtion and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4.

Maters, J. C., Burish, T. G., Hollon, S. D., & Rimm, D. C. (1987). Behavior therapy. SanDiego: Harcourt, Brace & Jovanovich.

35.

Novaco, R. W. (1997). A stress inoculation approach to anger management in the training of law enforcement officers. American Journal of Commuity Psycholgy, 5, 327-346.

36.

Novaco, R. W. (1975). Anger Control. Lexington, Mass:D.C. Health.

37.

Orenstein, R, & Sobel. D. (1987). The healing brain. New York: Simon and Schuste.

38.

Rothenberg, A. (1971), On anger. American Journal of sychiatry, 128, 454-460.

39.

Schulenberg, S. E. (2003). Psychotherapy and movies: On using film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3(1), 35-48.

40.

Solomon, G. (1995). The Motion Picture Prescription: Watch this movies and call me in the morning. Santa Rosa: Aslan Publishing.

41.

Spielberger, C. D., Russell, S., Crane, R. J., Jacobs, G. (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Ln J. N. Butcher & C. D. Spielberger(Eds), Adva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Hillsdale, NJL.

42.

Sullivan, H. S (1956). Clinical Studies In Psychiatry. New York: W. W Norton and Company.

43.

Thornburg, H. D. (1982). Development in adolescenc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44.

Wedding, D. & Niemies, R. M.(2003). The clinical use of films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2), 207-215.

45.

Wedding, D. & Boyd, M. A. (1997). Movies and mental illness: Using Films To understand psychopathology. Boston: McGraw-Hill Colleg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