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Satir 성장모델에 근거한 일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Congruence Scale based on Satir's Growth Model

초록

본 논문에서는 Satir 성장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는 일치성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수행에 앞서 Lee(2002a)의 일치성척도를 번역과 역번역 및 수정을 거쳐 타당화를 시도하였으나 Satir 성장 모델을 검증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도구로 드러났다. 이에 문항개발과 예비연구를 거쳐 본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일치성척도의 구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확정하여, 문항을 개발․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Pilot 연구에서 성인남녀 189명, 예비연구에서 330명, 본 연구에서 659명이었다. 예비연구 결과를 근거로 문항분석, 요인분석 등의 양적 자료와 문항 내용간의 중복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0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들로 구성된 본 검사를 타검사들과 타당화하였고, 교차집단으로 상담자 263명을 포함하였다.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결과, 개발된 일치성척도는 대인간차원, 심리내적차원, 영성차원으로 구성되어, Satir 성장모델을 지지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Satir, 일치성, 대인간차원, 심리내적차원, 영성차원, Satir, congruence, interpersonal dimension, intrapsychic dimension, spiritual dimens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ongruence scalefor adults. This study gathers data in three steps. The first step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189 adults for pilot research. The second step involved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inal congruence scale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733 adults on the congruence scale. The last step confirmed cross-validity using a sample of 263 counselors. The final 30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maximum likelihood estimate. Based on the results, the best model for the congruence construct consists of three dimensions(interpersonal dimension, intrapsychic dimension and spiritual dimension.), and the congruence scaledevelop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keywords
Satir, 일치성, 대인간차원, 심리내적차원, 영성차원, Satir, congruence, interpersonal dimension, intrapsychic dimension, spiritual dimension

참고문헌

1.

권수영 (2006). 누구를 위한 종교인가-종교와 심리학의 만남. 서울: 책세상.

2.

길희성 (2007). 서강인문논집. Vol. 21, 271-300.

3.

김계현 (2002). 상담심리학 연구: 주제론과 방법론. 학지사

4.

김미영 (1988). Satir 가족치료모델에 따른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 (2001). Satir 가족 조각을 바탕으로 한 집단 상담의 효과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아영, 김세영 (2003). 명시적 부정문항과 부정문항이 심리척도의 요인구조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16(1), 39-52.

7.

김영애, 김정택, 심혜숙, 정석환, 제석봉 공역 (2004). 가족치료: 핵심개념과 실제적용. 시그마프레스

8.

김희수 (2003). 성숙한 결혼생활을 위한 교회내 예비부부교육 프로그램: 보웬 이론과 Satir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성희 (2001).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 수용과 공감의 지혜. 학지사.

10.

박은초 (2005). Satir의 성장 의사소통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우종필 (2008). Amos와 함께하는 재미있는 구조방정식 모델. mySTATISTICS.net.

12.

유동식 (1990). 한국인의 영성과 종교. 계간 사상: 1990 여름호, 5(1), 129-162.

13.

윤종옥 (2001). Satir의 가족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자아존중감에 따른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고찰.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열, 김정희, 김동원 (2003). 한국인의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711-726.

15.

이영란 (2007). Satir 성장모델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가정폭력 행위자의 심리내적체계와 성장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전병수 (2000). Satir의 의사소통적 가족치료와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와의 비교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문자 (2003). Satir 경험적 가족치료. 학지사.

18.

정혜정, 조은경 (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1). 19-46.

19.

최영실 (2005). 융의 심리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Satir 의사소통 유형 이론의 재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

홍세희 (2007).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1.

Banmen, J. (2001). Satir model workshop, Unpublished manuscript.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2.

Banmen, J. (2002). The Satir model: Yesterday and today.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7-22.

23.

Banmen, J. (2004a). Satir model workshop, Unpublished manuscript.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4.

Banmen, J. (2005). Satir model workshop, Unpublished manuscript.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5.

Banmen, J. (2006). The Satir Journal: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Vol. 1, 2-3

26.

Banmen, J. (2008). 가족치료와 영성. 강의 특강 내용.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7.

Beaudry, Gilles (2002). The family reconstruction process and its evolution to date: Virginia Satir's Transformational Proces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79-92.

28.

Bentheim, S. (2006). Couple Congruence and Spirituality: Expanding Satir's Model Through Seven Couple Narratives. Master's thesis, Victoria University. Victoria BC.

29.

Bentheim, S. (2008). Couple Congruence and Spirituality in the Satir Model: Part Ⅱ. The Satir Journal, Vol. 2, No. 1, 37-54.

30.

Corey, G.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A: Wadsworth / Thomson Learning.

31.

Davis, B., McLendon, J., Freeman, M., Hil, Nl, Loberg, J., Lester, T., & Huber, C. (1996). Satir and congruence: A response. In Barbara Jo Brothers (Ed.). Couples and the Tao of congruence. NY: The Haworth Press.

32.

Lee, Bonnie K. (2001).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Satir model: Philosophical, ritual and empirical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ttawa, Ontario.

33.

Lee, Bonnie K. (2002a). Congruence in Satir's model: Its spiritual and religious significance.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57-78.

34.

Lee, Bonnie K. (2002b). Development of a congruence scale based on the Satir model.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217-239.

35.

Loeschen, S. (1998). Systemic training in the skills of Virginia Satir.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36.

Lockhart, W. H. (1984). Roger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revisited.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12(2), 43-49.

37.

Lum, W, Smith, J., & Ferris, J. (2002). Youth suicide intervention using the Satir Model.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139-160.

38.

Marler P. & Hadaway, C. K. (2002) Being religious or being spiritual in America, a zero-sum proposition? Journal of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41, 289-300

39.

McDonald, J. (2008). “Insights”: An Aboriginal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The Satir Journal: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Vol. 2, No. 1, 108-115.

40.

Ng Siang Kiat, V. (2008)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f psychotherapists' congruence in Singapore. Psychotherapy Research, 18(1), 58-76.

41.

Ng Siang Kiat, V. (2004). The Role of Congruence in Psych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42.

Pei, Y. (2008). From Caterpillar to Butterfly: Action Research Study of a Satir-Based Women's Program in Taiwan. The Satir Journal, Vol. 2, No. 1, 55-107.

43.

Rogers, C. (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 95-103

44.

Satir, V., Banmen, J., Gerber, J. & Gomori, M. (2000). Satir 모델: 가족 치료의 지평을 넘어서[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한국버지니아사티어연구회 역).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원전은 1991에 출판).

45.

Sayles, Carl (2002). Transformational Change-Based on the model of Virginia Satir. Contemporary Family 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24(1), 79-92.

46.

Smith, Stephen (2002). Transformations in Therapeutic practice.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79-92.

47.

Tam, E. P. C. (2006). Satir Model of Family 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Pastoral Psychology. Vol. 54, No.3, 275-287.

48.

Taylor, Gloria (2002). Family Reconstruction.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1), 129-138.

49.

Watson, N. (1984). The empirical status of Rogers' hypothesis of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effective psychotherapy. In R. F. Levant, & J. M. Shlein(Eds.), Client centered therapy and the Person centered approach: New directions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7-24.

50.

Wilber, K. (2000). Integral Psychology. Boston: Shambhal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