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유발하는 보다 근본적인 심리적 요인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한 서로 다른 두 개의 대학에 소속된 대학생 541명(남학생: 261명, 여학생: 28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각각 참여자들에게 제시하여 실시하였고, 피어슨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으로 결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분노 표출, 분노 억제)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 억제와 상관이 높았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 모두 대인관계문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 보다 대인관계문제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에 있어서 외부로 표현되는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그 밑에 깔린 내면화된 수치심과 같은 내부적 심리요인이 중요함을 의미하며, 또한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하는 데 내면화된 수치심을 다룰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 In doing so, the relations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were scrutinized using data from 541 college students (261 male and 280 female) from two major universities in Pusan,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asked the questionnaires of internalized shame, anger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Result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internalized shame was associated with higher Anger-in. and that both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yielde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Additionally, influences of internalized shame on interpersonal problems were greater than that of anger expression. We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college students having interpersonal problems.
고윤경 (2007).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교헌 (2000). 분노억제와 고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181-192.
김민경 (2008).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성애 (2007). 수치심 이해와 치료에 관한 연구: 기독교 상담적 관점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현지 (2003). 어머니와 애정적 유대와 아동의 외로움 및 대인관계 성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홍찬 (2005). 수치심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남기숙 (2002).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수치심과 죄책감의 구분문제. 심리학과학, 11(1), 35-5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과학연구소.
남희경 (2002). 가족관계, 자아강도 및 대인관계의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노세진 (2008).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분노표현양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류소영 (1995).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대처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류진혜 (2002).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지도방안.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박경애, 이재규, 권해수 (1998).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서은혜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주연 (2006). 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현숙 (2005). 사회적 기술 훈련 중심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남자대학생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남자대학생의 분노수준, 분노조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지은 (2007). 분노수준 및 표현양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현주 (1998). 자기 비판적 우울 취약성과 의존적 우울 취약성에 따른 대인관계 문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규미 (1998).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대한 체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척도(ISS)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이정화 (2006). 우울 취약성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과 대인관계 양상.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진아 (2006). 여성의 대상관계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분노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1998).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한국심리학회지, 3(1), 18-32.
정남운, 김정욱, 권석만 (2000).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 척도(K-IIP)의 개발: 요인구조 및 심리측정적 특성.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53-175.
정남운 (2001).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척도의 구성. 심리과학, 10(1), 117-132.
정미리 (2005). 분노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윤경 (2003). 한국인의 나 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91-109.
Allan, S., Gilbert, P., & Goss, K. (1994). An exploration of shame measure-Ⅱ. 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7, 23-34.
Allan, S., Gilbert, P., & Goss, K. (1996). Parental representation, shame, interpersonal problems, and vulnerability to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3, 23-34.
Bradshaw, J. (1988).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Florida: Health Communication Incorporation.
Bradshaw, J. (2003). 수치심의 치유. (김홍찬, 고영주 역). 서울: 사단법인 기독교상담연구원.
Cook, D. R. (1987).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 197-215.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Lewis, H. B. (1987). The role of Shame in symptom formation. Hi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iller, P. A., & Eisenberg, N. (1988). The relation of empathy to aggressive and externalizing/ anti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3, 324-344.
Nathanson, D. L. (1992). Shame & pride. New York: Guilford Press.
Powers, M. (2005). 수치심: 친밀감의 적. (김혜경 역). 서울: 예수전도단.
Retzinger, S. M. (1995). Identifying shame and anger in discours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8, 1104-1113.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and health psychology (pp.203-222). NY: Springer Verlag.
Tangney, J. P., Wagner, P. E., Fletcher, C., & Gramzow, R. (1992). Shamed in to anger? the relation of sham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669-675.
Wheeler, G. (2000). Self and Shame: A Gestalt Approach. Gestalt Review, 4, 221-224.
Yontef, G. (2008). 알아차림, 대화 그리고 과정. (Awareness, Dialogue and Process: Essays on Gestalt Therapy). (김정규, 김영주, 심정아 역).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