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상관계의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Object Relationships -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

초록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통하여 내담자의 부정적 대상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밝히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상담 개입 방안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명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91개의 개념과 33개의 하위범주, 1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모형을 구성한 결과 부정적 대상관계의 변화과정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삶이 힘듦, 해결방법을 모름, 자신과 타인을 힘들게 함’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변화의 필요성 인식함, 상담 도움 받음’이었다. 중심현상은 ‘고통을 해결하여 건강하게 살고 싶음’이었으며 중심현상에 대해 ‘통찰이 일어남, 변화에 대한 소망 가짐, 좌절을 느낌’이라는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수용하기, 장벽 넘어서기, 부정적으로 반응하기’ 등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며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맺음, 타인을 공감하고 도와주게 됨, 고통과 긴장을 견딤’ 과정으로 나타났다. 변화과정은 고통인식, 변화모색, 수용, 고난극복, 그리고 변화체험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내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상담 개입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대상관계, 변화과정, 근거이론, 상담적 개입, object relationships, changing process, grounded theory, counseling intervention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intended to scrutinize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negative object relationships type into the positive object relationship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tilized. Twen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people exhibiting high negative object relationships. Given the grounded theory, 91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were categorized in the open coding process. The core component of the changing process in object relationship was ‘to live out healthy in order to overcome their own p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stages(i.e., ‘recognizing pain’, ‘searching for changes’, ‘accepting’ ‘overcoming’, and ‘experiencing change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urrent study provided implications in understanding other's mind designing intervention in counseling.

keywords
대상관계, 변화과정, 근거이론, 상담적 개입, object relationships, changing process, grounded theory, counseling intervention

참고문헌

1.

강영순 (1999). 지각된 기업문화와 인적자원관리 그리고 직무만족 및 조직일체감간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23(2), 243-265.

2.

고수일·한주희 (2009). 조직몰입과 직무동기의 다차원 관계: 자기결정감에 의한 접근. 산업경제연구, 22(3), 1017-1038.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학지사.

4.

김도영·유태용(2002). 성격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2), 1-24.

5.

김명소·김혜원·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2), 19-39.

6.

김미숙·이도화 (2007). 조직구성원의 목표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22 (2), 127-156.

7.

김진아 (2009). 방사선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영·이동귀 (2009). 직장인의 자기계발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2), 261-293.

9.

매경이코노미. 2008년 7월 9일자.

10.

문은식 (2007).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련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459-475.

11.

박현미 (2009).대학생과 직장인의 성취와 삶의 질에 대한 종단 분석.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김사훈 (1998). 대학생의 초기 대상관계와 공감능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남영옥 (2001). 대상관계 이론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경계선 성격특성과 비행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7, 60-88.

14.

박란희 (2002). 어머니의 대상관계의 발달 장애 아동의 정신적 표상.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경림, 김미영 (2003). 근거이론 연구 방법론. 서울: 현문사.

16.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2005).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7.

심수명 (2006). 인격치료. 서울: 학지사.

18.

추정선 (2004).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관점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6, 437-451.

19.

Benjamin, L. S. (1974).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81(5), 392-425.

20.

Benjamin, L. S. (1996).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6), 1203-1212.

21.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22.

Cashdan, S. (1988). Object relations theory: using the relationship. Canada: Penguin Books.(대상관계치료. 이영희·고향자·김해란·김수형 공역, 2005, 서울: 학지사).

23.

Dreikurs, R. (1963). Psychodynamics,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Collected papers. Chicago: Alfred Adler Institute.

24.

Fairbairn, W. R. D. (1954). An object-relations theory or the personality. New York: Basic Books.

25.

Greenberg, J. & Mitchell, S. (1983).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6.

Honer, A. J. (1982). Psychoanalytic object relations therapy. New Jersey: Jason Aronson.

27.

Hurding, R. (2000). Roots and shoots: a guide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치유나무. 김예식 역, 2000,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28.

Kernberg, O.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Jersey: Jason Aronson.

29.

Klein, M. (1957). Envy and gratitude. In Envy and gratitude. New York: The Free Press.

30.

Kohut, H. (1971). Analysis of the self: systematic approach to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s. Madis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1.

Masterson, J. F. (1981). Narcissistic and borderline disorders: an integrated development approach. New York: Brunner/Mazel.

32.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Munhall, P. L. (2001). Nursing Research: A qualitative perspective (3rd ed.).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34.

Ogden, T. (1982).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psychotherapeutic technique. New Jersey: Jason Aronson.

35.

Scharff, J. S. & Scharff, D. E. (1998). Object relations individual therapy. New Jersey: Jason Aronson.(대상관계 개인치료. 이재훈 역, 2002,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36.

Strauss, A. & Corbin,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7.

Winnicott, D. (1958). Through paediatrics to psychoanalysis. London: Hogarth.

38.

Winnicott, D. (1965). The maturational proces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9.

Winnicott, D. (1971). Playing and reality. Middlesex. England: Pengui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