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ersonality Patholog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on Psychological Symptoms

초록

본 연구는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하나원에서 사회적응교육을 받은 탈북 여성 1,936명(북송 경험 집단 510명, 비경험 집단 1426명)이었다. 두 집단 간에 성격병리와 심리 증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성격병리 5요인 척도(PSY-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PK),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의 9개 증상 척도 T점수에 대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북송 경험 집단이 비경험 집단에 비해 공격성, 정신증, 충동성, 신경증 성향이 높았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가 심하였고, 신체화, 강박증, 우울, 불안, 적대감, 편집증, 정신증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성격병리와 심리 증상 간 상관분석 결과, 정신증과 신경증 성향은 모든 심리 증상 척도들과 뚜렷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심리 증상에 대한 북송 경험 여부의 설명력은 0.2~0.9%였으며, 성격병리는 18~32%의 설명력을 보였고, 정신증, 신경증, 내향성 척도가 주요 예측변인이었다. 본 연구는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 자체보다는 성격문제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탈북 여성, 북송,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성격병리, 심리 증상,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repatriation, PTSD, Personality Pathology, Psychological Symptom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ersonality pathology on psychological symptoms. Participants for the current study were 1936 (repatriation experience group 510 and non-repatriation group 1426)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educated in Hanawon from 2008 to 2009. Average standard scores (i.e., T-scores) of PSY-5, PK scales, and symptom scales of SCL-90-R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refugee groups. A repatriation experience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AGGR, PSYC, DISC, NEGE, and PK than a non-experience group. Scores of SOM, OC, DEP, ANX, HOS, PAR, and PSY were higher in the repatriation experience group than the non-experience group. Additionally, PSYC and NEGE sca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of psychological symptom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patriation experience explained 0.2~0.9 percents of variances in psychological symptoms. However, personality pathology accounted for 18~32 percentages of variances in PSYC, NEGE, and INTR.

keywords
탈북 여성, 북송,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성격병리, 심리 증상,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repatriation, PTSD, Personality Pathology, Psychological Symptoms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들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해룡 (2001).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

김연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김종남, 이민수, 신동균 (1997). 삼풍 사고 생존자들의 임상양상 및 성격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183 -195.

6.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7.

김현아, 전명남 (2004).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8.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 -20.

9.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나영 (2010).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복합외상 증상 및 성격특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미정 (2009). MMPI-2 PSY-5 척도와 NEO 인성검사의 비교: 성격병리 평가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정, 황순택, 남지숙 (2009). 성격병리 평가 도구로서의 PSY-5 척도의 구인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91-1206.

13.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 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송창진 (200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기전과 치료. 동국의학. 11(1), 102-112.

16.

안현의 (2007). 복합외상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17.

오수성 (2006). 5․18 민주유공자 생활실태 및 후유증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5․18 기념재단.

18.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93-718.

20.

이숙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지영 (2010). 정서조절방략이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0), 709-727.

22.

조상혁 (2002). 중국내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문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최빛내,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강제 북송 여부에 따른 정신 건강 차이. 2010년도 한국임상심리학회 봄 학술대회 자료집, pp. 299-300.

24.

통일부 (2010). 정착지원과.

25.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7.

Berkowitz, N. F. (2004). Wendy Wall: In the wake of childhood trauma.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4, 377-387.

28.

Biere, L. M., Yehuda, R., Schmeidler, J., Mitropoulou, V., New, A. S., Silverman, J. M. (2003). Abuse and neglect in childhood: Relationship to personality disorder diagnoses. CNS Spectrums, 8, 737-754.

29.

Bunce, S. C. (1995). Life after trauma: Personality and daily life experiences of traumatized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63, 165-188.

30.

Derogatis, L. R. (1977). SCL-90-R (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1.

Ferren, P. M. (1999). Comparing perceiv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 Bosnian and Croatian refugees with and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2(3), 405-420.

32.

Gregg, G. R., Parks, E. D. (1995). Selecte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scales for identifying women with a history of sexual abus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3, 53-56.

33.

Harkness, A. R., McNulty, F. L., Ben-Porath, Y. S. (1995), The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 (PSY-5): Constructs and MMPI-2 Scales. Psychological assessment, 7, 104-114.

34.

Harkness, A. R., McNulty, J. L., Ben-Porath, Y. S., & Graham, J. R. (2002). MMPI-2 Personality Psychopathology Five(PSY-5) Scale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5.

Hyer, L., Braswell, L., Albrecht, B., Boyd, S., Boudewyns, P., & Talbert, S. (1994). Relationship of NEO-PI to Personality Styles and Severity of Trauma in Chronic PTSD Victim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0(5), 699-707.

36.

Keane, T. M., Malloy, P. F., & Fairbank, J. A. (1984). Empirical development of an MMPI subscale for the assessment of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888-891.

37.

Lyons, J. A., & Scotti, J. R. (1994). Comparability of two administration formulas of the Dean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6, 209-211.

38.

Miller, M, W., Grief, J. L., & Smith, A. A. (2003).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Profiles of Veterans with traumatic combat exposur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ubtypes. Psychological Assessment, 15, 205-215.

39.

Miller, M, W., Kaloupek, D. G., Dillon, A. L., & Keane, T. M. (2004).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subtypes of combat-related PTSD: A Replication and extension using the PSY-5 scal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3, 636-645.

40.

Rousseau, C., Drapeau, A., & Rahimi, S. (2003). The complexity of trauma response: A 4 year follow-up of adolescent Cambodian. Child Abuse & Neglect, 27(11), 1277-1290.

41.

Smith, D. W., Davis, J. L., Fricker-Elhai, A. E. (2004). How does trauma beget trauma?: Cognitions about risk in women with abuse histories. Child Maltreatment:, 9, 292-303.

42.

Smith, D. W., & Frueh, B. C. (1996). Compensation seeking, comorbidity, and apparent exaggeration of PTSD symptoms among Vietnam combat veterans. Psychological Assessment, 8(1), 3-6.

43.

Tellegen, A. (1994). Manual for the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4.

Vanderploeg, R. D., Sison, G. F. P., & Hicking, E. J. (1987). A reevaluation of the use of the MMPI in the assessment of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1, 140-150.

45.

Walker, L. J., & Cavenar, J. O. (1982). Vietnam veterans: Their problems continu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0, 174-18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