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 고찰을 위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xamining Marital Relationship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Urban Areas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 부부들이 겪는 결혼생활의 어려움 및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다문화 부부 10쌍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의 부부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문화적 이해, 경제적 문제, 부부 갈등, 시댁 및 가족 갈등, 육아 문제, 사회적 편견 등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부부 갈등의 원인은 문화 및 생활방식, 자녀 교육 방식, 성격의 차이, 배려 및 존중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부부싸움 방식은 주로 말다툼을 하거나, 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부싸움 후에는 사과나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별 다른 화해나 관계 회복 노력을 하지 않는 사례들도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부부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갈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부부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 전략의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international marriage,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y, qualitative analysis, 다문화 가정, 국제결혼, 결혼 이민자 가족, 질적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couples in urban areas. The interview data of 10 multicultural coupl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indicated that 1) multicultural couple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cultural understanding, economic problem, couple conflict, in-laws and family conflicts, child care problem, and social prejudice; 2) the causes of couple conflict were differences in culture and lifestyle, child care methods, dissimilarities in character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and respect; 3) after domestic dispute, several couples try apologize or have conversations but others do not even try to reconcile or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The findings in this study would be a meaningful source and show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couples.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international marriage, marriage-based immigrant family, qualitative analysis, 다문화 가정, 국제결혼, 결혼 이민자 가족, 질적 분석

참고문헌

1.

고숙희 (2008).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행에 따른 접근방안 모색: 한국인과 외국인 여성결혼이민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9(1), 213-234.

2.

권구영, 박근우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14(2), 187-219.

3.

김근영, 곽금주, 배소영 (2009).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71-597.

4.

김연수 (2007).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217-252.

5.

김연수 (2010). 가족 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 이민자 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59-90.

6.

김오남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7.

김이선 (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 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51.

8.

김진희, 박옥임 (2008).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農村社會, 18(1), 127-160.

9.

김현실 (2008). 결혼 이주 여성의 현황과 문제: 새로운 여성 간호 대상자의 출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4(4). 248-256.

10.

김현재 (2007).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 52, 219-254.

11.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農村社會. 17(2), 75-105.

12.

보건복지가족부 (2009).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

13.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 가족상담 가이드북. 서울: 명성문화사.

14.

서현, 이승은 (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15.

설동훈, 윤홍식 (2005).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47-265.

16.

설동훈, 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 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출신국가와 거주 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4(2), 109-133.

17.

성지혜 (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임영선 (2008). 다문화 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97-517

19.

신경희, 양성은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20.

양계민 (2009).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간이해의 틀과 상담심리학의 과제. 한국상담심리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자료집.

21.

양순미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農村社會, 16(2), 151-179.

22.

양승민, 연문희 (2009).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43-966.

23.

양철호, 김영자, 손순용, 양선화, 신봉관, 조지현 (2003).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광주, 전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6(6), 127-149.

24.

여수경 (2005). 한국 체류 조선족의 갈등과 적응. 영남대 인문연구, 43, 243-277.

25.

윤형숙 (2003).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9.

26.

이금연 (2003).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 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안양전신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27.

이무영, 강기정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28.

이민원 (2009).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 정책 및 사업. 한국상담심리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9.

이소래 (1997). 사회적 지지가 남한이주 북한 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5(1), 209-247.

30.

이영주 (2007).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83-105.

31.

이현정 (2009). 우리의 미래, 다문화에 달려 있다. 서울: 원앤원북스.

32.

이형하 (2010). 농촌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참여 연구.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33.

조혜자, 방희정 (2005). 출산과 결혼 기피의 한 이유: 여성의 관계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95-112.

34.

차옥숭 (2008). 국제혼인 이주여성 피해실태의 원 분석과 해결방안 모색. 담론 201, 11(2), 139-169.

35.

최명선, 곽민정 (2008). 한국의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논문 발표.

36.

통계청 (2009). 2008년 이혼통계 결과.

37.

통계청 (2010). 국제결혼 현황.

38.

허미화 (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변화와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교육환경 고찰. 유아교육연구, 28(1), 265-281.

39.

홍기혜 (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홍달아기, 채옥희 (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41.

Blanchard, V. L., Hawkins, A. J., Baldwin, S. A., & Fawcett, E. B. (2009).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arriage and relationship education on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3(2) , 203–214.

42.

Elliott, R., & James, E. (1989). Varieties of client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9, 443-467.

43.

Hawkins, A. J., Blanchard, V. L., Baldwin, S. A., & Fawcett, E. B. (2008). Does marriage and relationship education work?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5) , 723-734.

44.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 517-572.

45.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 196-205.

46.

Lee, H. K. (2008).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state in South Korea: focusing on governmental policy. Citizenship Studies, 12(1) , 107-123.

47.

Kim H. S. (2010) Social integration and heath policy issues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7(6), 561-570.

48.

Lu, M. C. (2005). Commercially arranged marriage migration: Case studies of cross-border marriages in Taiwan. Indian Journal of Gender Studies, 12(2&3), 275-303.

49.

Ritsner, M. & Ponizovsky, A. (1999) Psychological distress through immigration: The two-phase temporal patter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5(2) , 125-13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