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에 기초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를 활용하여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요구도 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문헌고찰을 토대로 7회기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동영상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는 사이버대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160명의 부모가 참여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와 추적검사로 부모의 게임관심 척도, 부모의 게임통제 척도, 자녀양육태도 척도, 부모역할 자긍심 척도가 사용되었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부모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녀의 게임사용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증가하였다. 자녀양육태도 중에서는 실험집단 부모들의 애정적 태도가 증가하였으며, 모순불일치 태도는 감소하였고, 통제적 태도는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게임중독 예방 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의 부모역할 자긍심이 높아졌는데, 특히 자녀양육에 대한 통제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부모상담 및 교육에 활용되고, 청소년의 게임중독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adolescents game-overuse and examine its effects. Based on the deep interview with 30 parents, expert consultation, and literature review, seven sessions for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Participants taking classes at cyber university were 205 parents having adolescents at middle or high school.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appropriate control for children' game-us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o parenting style,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higher affectionate attitude and parenting self-esteem, but showed lower control attitude and inconsistent attitude of parenting styl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parents receiving the online parental education program showed more confidence for parenting than those not receiving.
권영길, 이영선 (2009).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인터넷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7, 127-135.
김미영 (2005). 가정환경과 아동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신희, 안창일 (2005).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415-430.
김영숙 (1987). 아동의 종교적 배경과 도덕적 판단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숙 (2000). 청소년의 PC중독사례와 상담적 접근.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의 PC중독 (pp.103-115). 청소년상담 문제 연구보고서.
김지현 (2003).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호, 김미경 (2003).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교육이론과 실천, 13(1), 335-359.
성윤숙 (2003). 청소년의 온라임게임 몰입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96-115.
손현미 (2006).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부모-자녀 애착.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익수, 김춘자, 김철 (2007). 초등학생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 아동 상담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1(3), 307-316.
윤영민 (2000). 인터넷이 청소년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시대에 있어 청소년문제와 대책: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제2차 정책포럼.
이계원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소영 (2000).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시형, 이세용, 김은정, 오승근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이원영 (1980). 놀이지도. 서울: 교문사.
이정윤, 류희균 (2006). 부모역할 자긍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동기 자녀의 어머니용. 상담학연구, 7(4), 1239-1254.
이정윤, 장미경 (2008). 기혼여성의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부모역할 자긍심의 매개 및 중재효과. 상담학연구, 9(2), 339-352.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장미경, 이은경 (2007).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욕구와 부모관련변인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1125-1138.
장미경 (2010). 부모의 양육태도, 의사소통방식 및 우울과 부모가 지각한 청소년 자녀의 게임중독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4), 47- 66.
장재홍, 이은경, 장미경, 김은영, 이문희, 박관성, 이자영 (2004).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게임산업개발원.
장재홍 (2004).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사용욕구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5(1), 113-128.
장재홍 (2007). 국내외 게임중독과 관련된 연구현황 조사. 한국게임산업진흥원.
정경아 (2001). 게임중독 청소년의 특성분석: 개입의 필요성 판단을 위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아미, 방희정 (2003).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1), 249-275.
천명재, 김창대 (2005). 인터넷 이용동기 프로파일에 의한 인터넷 중독자 분류. 상담학연구, 6(1), 1-19.
‘초등 4학년 100명 중 6명 인터넷 중독’. 조선 일보, 2009년 9월 16일자.
최명선, 최태산, 안재영 (2007). 가정의 사회적, 물리적, 심리적 환경변인과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성향간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2(2), 5-27.
최진승 (2000). 중학생의 컴퓨터 게임과 공격성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 2007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인터넷중독 가족상담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국청소년상담원 (2008). 인터넷 중독 유형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Armstrong, L, Phillips, J. G., & Saling,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53, 537-550.
Csikszentmihaly,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Dumka, L. E., Stoerzinger, H., Jackson, K., & Roosa, M. W. (1996). Examination of the cross cultural and cross 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 measure. Family Relations, 45, 216-222.
Ginott. H. G. (1965). Between parent and child: new solutions to old problems. New York: Macmillan.
Guidubaldi, J., & Cleminshaw, H. K. (1985). The Development of the Cleminshaw-Guidubaldi Parent 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4, 4, 293-298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November from http://www.rider.edu /~suler/psycbber/supportgp.html.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2, 167-175.
Kotichick, B. A., Forehand, R., Brody, G., Armistead, L., Simon, P., & Clark, L. (1997). The impact of maternal HIV infection on parenting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 447-461.
Schaefer, E. S. (1965). Children's Report of Parent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36, 413- 424.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Creek & T.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pp.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