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간화선 집중수행 체험의 질적 분석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Experience of Ganhwa Seon

초록

최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동양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 방법 중의 하나인 간화선 집중수행 체험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고 그 심리 치료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국선원에서 집중적인 간화선 체험을 한 1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간화선 체험 중의 내적 경험들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의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화선 수행 중의 경험들은 간화선 수행 동기, 화두를 드는 과정, 결정적 체험, 결정적 체험 직후 현상, 화두의 기능에 대한 해석 및 간화선 체험 후 변화의 여섯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여섯 개의 주요 영역에 걸쳐 9개의 하위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범주가 형성되었다.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효과는 긍정적인 신체적 변화, 안정적인 정서 체험, 관점/태도의 변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 대인관계의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간화선의 심리 치료적 적용 가능성과 치료적 기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Ganhwa Seon, CQR, physical change, emotional change, change in attitude, psychotherapeutic mechanism, 간화선, 합의적 질적 분석, 신체적 변화, 정서적 변화, 관점/태도의 변화, 치료적 기제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treat of Ganhwa Seon(GS), one of Korean Buddhist traditional practices, leading changes in psychotherapeutic mechanism. Twelve individuals participating the retreat of GS were interviewed on their internal experience during the practice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QR. The internal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6 domains: A motive of GS performance, Taking the Huotou, Critical Experience, Phenomena after Critical Experience, Interpretation of functions of the Huotou and Changes after Experience of GS. These categories were again divided to 9 sub-domains and 34 categories. Results showed the psychotherapeutic effects of GS, specifically a positive physical change, emotional stability, changes in attitude, epistemological changes and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 The application of GS to psychotherapy and the mechanism of GS are also discussed.

keywords
Ganhwa Seon, CQR, physical change, emotional change, change in attitude, psychotherapeutic mechanism, 간화선, 합의적 질적 분석, 신체적 변화, 정서적 변화, 관점/태도의 변화, 치료적 기제

참고문헌

1.

권석만 (1997). 認知治療의 觀點에서 본 佛敎. 심리학의 연구문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4, 279-321.

2.

권석만 (1998). 불교수행법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三學을 중심으로. 심리학의 연구문제, 5, 99-143.

3.

김기석 (1969). 禪의 心理學的 一考察. 한국심리학회지, 1, 37-41.

4.

김기석 (1978). 瞑想의 心理學的 一考察. 행동과학연구, 3, 1-23.

5.

김정호 (1995). 마음챙김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덕성여자대학교), 11, 1-35.

6.

김정호 (1996a). 한국의 경험적 명상연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덕성여자대학교), 3, 79-131.

7.

김정호 (1996b).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덕성여자대학교) 4, 35-60.

8.

김정호 (2004a).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9.

김정호 (2004b).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 행동치료적 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4(2), 27-44.

10.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2006). 간화선입문. 서울: 조계종출판사.

11.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전국선원 수좌회 편찬위원회 (2005). 간화선.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12.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13.

박성현 (2007). 위빠싸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7(2), 83-105.

14.

박성현, 박정숙 (2006). 집중적 위빠싸나 명상의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8(3), 629-650.

15.

변희욱 (2010).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 철학사상연구소(서울대학교): 철학사상, 37, 1-24.

16.

윤호균 (1991). 정신치료와 수도: 정신분석과 선을 중심으로. 성심여자대학 논문집 제23집.

17.

윤호균 (1982a). 정신분석, 인간중심의 상담 및 불교의 비교Ⅰ: 인간 및 심리적 문제에 관한 견해. 임상심리학보, 3, 35-47.

18.

윤호균 (1982b). 정신분석, 인간중심의 상담 및 불교의 비교 Ⅱ: 심리적 문제의 해결. 임상심리학보, 3, 49-63.

19.

윤호균 (1999). 불교의 연기론과 상담. 동양심리학. 서울: 지식산업사.

20.

윤호균 (2001). 공상, 집착 그리고 상담: 상담 접근의 한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18.

21.

윤호균 (2005). 심리상담의 치료적 기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22.

이동식 (1975). 韓國人의 主體性과 道. 서울: 일지사.

23.

이진희 (2001). 통찰명상 중의 경험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장현갑 (1996).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 명상의 유형과 정신생리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 15-33.

25.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26.

정방자 (1994). 심리치료에서 치료자의 자아의 확장이 내담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48(1)

27.

정성본 (2005). 간화선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8.

정창용 (1968). 정신치료에서 요구되는 자아의 자각에 있어서의 동서간의 차이, 신경정신의학,7(2),

29.

조긍호 (2006).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비교: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서울: 지식산업사.

30.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전국선원 수좌회 편찬위원회 (2005). 간화선. 서울: 대한불교 조계종교육원.

31.

Benson, H. (1975).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Williams Morrow.

32.

Berger, E. M. (1962). Zen Buddhism, General Psychology, and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2). 122-127.

33.

Epstein, M. (1995). THOUGHTS WITHOUT A THINKER; Psychotherapy from Buddhist perspective. Basic Books: New york.

34.

Freud, S. (1930). Civilization and its discontents. Hogarth: London.

35.

Goldman, B. L., Domotor, P. J. & Murray, E. J. (1979). Effects of Zen Meditation on Anxiety Reduction and Perceptual Functioning. Journal of Co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3), 551-556.

36.

Goleman, D. (1971). Meditation as a meta-therapy: Hypotheses toward a proposed fifth state of consciousness.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3, 1-25.

37.

Hill, C. E., Thompson, B. J., & Nutt-Williams, E.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38.

James, W. (1928). The variety of religious experience.(Originally published 1902) Longmans, Green: New york.

39.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New York: Bantam Doubleday Dell. 장현갑, 김교헌(역) (1998). 명상과 자기치유 상, 하. 서울: 학지사.

40.

Kornfield, J. (1979). Intensive insight meditation: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11(1), 41-58.

41.

Malec, J. & Sipprelle, C. N. (1977). Physiological and Subjective Effects of Zen Meditation and Dem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Co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5(2), 339-340.

42.

Maslow, A. H. (1964). Religious, Values, and peak-experiences. New york: Viking Press.

43.

Maupin, E. W. (1962). Zen Buddhism: a psychological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6(4), 362-378.

44.

Nettle, D. (2005). HAPPINESS: The Science Behind Your Smil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5.

Rasco, F. (1991). Zen and Psychotherapy: East Meets West on the Road to Enlightenment, 30(4), 277-286.

46.

Shapiro, D. H. & Zifferblatt, S. M. (1976). Zen Meditation and Behavioral Self-Control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Clinical Application. American psychologist, 31, 519-532.

47.

Shapiro, D. H.(1992). A preliminary study of long-term meditators: goals, effects, religious orientation, cognitions.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 24(1): 23-39.

48.

Smith, J. C. (1975). Meditation as Psychotherapy: A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82(4). 558-564.

49.

Suzuki, D. T., Fromm, E., and De Martino, R. (1960). Zen Buddhism and Psychoanalysis. Grove Press: New York.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