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부터 가출 이후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쉼터에 거주중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이전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지만은 않았다. 둘째, 가출 이전의 가정생활은 경제적 문제, 가정해체와 같은 가족의 구조적인 문제 외에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나 심리적인 역동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첫 가출과 재 가출의 공통점에는 충동적인 결정, 가족문제, 주변의 지지 부족이 있었으며 차이점으로는 첫 가출 때보다 재 가출에서 청소년들은 비행, 생활고, 범죄경험 등으로 더욱 힘들고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넷째, 가출청소년들은 쉼터의 생활과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기간 제한이 있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대부분의 가출 청소년들은 가출 경험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워 가출했던 청소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runaway adolescents in their lifetime. In doing so, authors interviewed eight runaway adolescents who have stayed in shelter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CQR.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runaway adolescents recognized their self positively as well as negatively before the runaway. Their family showed relationship problem as well as structure problem including a family breakdown. The first and following runaways exhibited common reasons. However, runaway adolescents reported more delinquency, hardship in life, and crimes in their re-runaway than in the first runaway. Fourth, adolesce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about a shelter but dissatisfied with limitation in staying. Finally, most runaway adolescents considered their runaway experience negatively, whereas an adolescent viewed his/her runaway experience positively when (s)he has the pla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강성래 (2003). 가출 청소년에 대한 실태 분석: 가출 경험 집단과 가출 미경험 집단 비교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경찰청 (2009) http://www.police.go.kr/
구본용 (2002). 가출 청소년의 상담 개입 방안, 가출 청소년의 이해와 대처, 청소년상담 전문직 자원봉사체제교재 3. 한국청소년상담원.
국가청소년위원회 (2007). 청소년백서. 국가청소년위원회
김경희, 김지수 (2007). 고등학생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아동간호학회지, 13(3), 338-348.
김도애, 남영옥 (2003). 가출 청소년 가족에 대한 대상관계 가족치료 모델의 적용. 상담학연구, 4(1), 147-165.
김성경 (1997). 가출 소녀를 위한 사회 복지 서비스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김향초 (2002) 가출 및 가족 해체 예방책 마련에 관한 제안. 한국사회문화연구소, 232, 32-36.
김향초 (2009). 가출 청소년의 이해와 상담. 서울: 학지사.
김효숙, 최외선 (2007). 가출 여중생의 자아존 중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가족 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53-1168.
남미애 (1998). 여성가출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5(3), 63-90
박명숙 (2006). 청소년 가출의 잠재적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3(1), 85-106.
박영호, 김태익 (2002). 가출 예측 척도에 의한 여중생들의 가출 요인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0(2). 81-99.
박태영, 은선경 (2008). 가출 청소년의 가족 치료 사례 연구: 회기 진행에 따른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49-66.
방은령 (2003). 가정복귀 가출 청소년의 귀가요인 분석 및 가출 청소년 지도방안 모색. 한국청소년개발원.
배문조, 전귀연 (2002). 청소년의 가출 충동과 관련된 특성 연구: 개인, 가족, 학교환경,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 23-35.
손경숙 (2008). 가출 청소년의 사회성 기술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임상사회사업연구, 5(3), 25-48.
엄명용 (1997). 청소년 가출 및 가족기능과 가족체계 유형과의 상호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 133-177.
이정희 (2000).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 기술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이종화, 김경희, 김희영, 정혜경 (2006). 여자 고등학생의 가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청소년학연구, 13(3), 161-179.
이현지 (2005). 가출 청소년 재 가출 방지를 위한 지지체계의 보호요인. 청소년학연구, 12(3), 283-304.
이현지, 박석돈 (2003). 가출여성 청소년의 삶과 사회적 환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1-20.
정경은 (2008). 가출 청소년의가출생활전환과정 연구: 근거이론접근.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정혜경, 권혜진 (2001). 청소년 가출에 관한 예측 모형. 정신간호학회지, 10(1), 76-86.
조학래 (2004). 가출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행정논집, 31, 171-198.
한국쉼터협의회 (2010). 청소년쉼터소개. 전국 쉼터링크. http://www.jikimi.or.kr.
한국여성개발원 (1997). 가출 소녀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청소년상담원 (2009). (꿈꾸는 청소년의 자립 준비를 위한) 두드림존 프로그램 매뉴얼. 한국청소년상담원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2002). 전국 가출 청소년 실태조사 및 상담 사례 연구.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2007). 가출 청소년 및 청소년쉼터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3). 청소년의 가출과 비행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상철 (2008). 청소년가출의 위혐요인과 보호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273-298.
현온강, 이홍숙 (2001). 청소년쉼터에서의 가출 청소년과 쉼터종사자들의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8(1), 163-195.
Barth, R. P. (1986). Running away. In R. P. Barth (Ed.), Social and cognition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problem behaviors, 353-394. San Francisco: Jossey-Bass.
Clark, H. B., Crosland, K. A., Geller, D., Cripe, M., Kenney, T., Neff, B., & Dunlap, G. (2008). A functional approach to reducing runaway behavior and stabilizing placements for adolescents in foster car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8(5), 429-441.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Janus, M. D., McCormack, A., Burgess, A. W., & Hartman, C. (1987). Adolescent runaways: Causes and consequences. Lexington, MA: Heath.
Kammer, P. P., & Schmidt, D. (1987). Counseling runaway adolescents. The School Counselor. 35, In M. P. Mirkin & S. L. Koman (Eds.), Handbook of Adolescent and Family Therapy (pp 149-154). New York: Gardner.
Lappin, J., & Covelman, K. W. (1985) Adolescents runaway: A structural family therapy Perspective. In M. P. Mirkin & S. L. Koman (Eds.), Handbook of Adolescent and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Manov, A., & Lowther, L. (1983). A health care approach for hard-to-reach adolescent runaways.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8(2) , 333-342.
Morgan, O, J.(1982). Runaways: Jurisdiction, dynamics and treatment.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8, 121-127.
Patterson, G. R., De Baryshe, B. D., & Ramsey, E. (1989)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44(2), 329-335.
Slesnick. N., & Prestopnik, J. L. (2005). Ecologically based family therapy outcome with substance abusing runaway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8(1), 277-298.
Slesnick. N., Vasquez, C., & Bittinger, J. (2002). Family functioning, substance use and related problem behaviors: Hispanic vs. Anglo runaway youth. Journal of Ethnic Substance Abuse, 1(4), 83-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