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해 경험 하는 부적응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행동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선행연구에서 일치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거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인들을 함께 살펴보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완벽주의,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정적인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영향을, 스트레스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스트레스 순으로 각 변인들이 학업지연행동을 설명하였다. 셋째,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경로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상담 실제를 위한 제언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perfectionism,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examine whether perfectionism,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tructural association among them, respectively. Findings i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fectionism,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Specifically,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negatively affe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tress positively influence academic procrastination. Results in SEM illustr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강미정 (2006). 완벽주의와 학업 지연행동의 관계: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은주 (2006).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지선 (2006). 게으름에 대하여: 선별적 게으름 집단의 적응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유미 (2010).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4), 707-719.
김민선, 최영희, 석분옥, 백근영, 이동귀 (2009).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자기결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학업지연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3), 39-56.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현정 (2003). 완벽주의, 충동성, 자기효능감 및 실패공포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미경 (2005). 미룸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지연 (2002). 자기효능감 및 완벽주의 성향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인영 (1999) 자기효능감의 구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박정윤 (2010).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아동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업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재우 (1998). 과제의 자아 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병렬 (200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배병훈, 신희천 (2009).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747-764.
배정연 (200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은희 (2006).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유성은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숙경 (1997). 완벽성향과 자기개념에 따른 대학생의 지연특성의 차이.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동귀, 박현주 (2009). 대처양식 집단에 따른 꾸물거림 및 정신건강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43-57.
이미라, 오경자 (2009).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동기 수준이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363- 377.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들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이은정 (2002).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과 완벽주의 및 통제소재와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25-52.
임소영 (2009).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 학업적 지연행동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임성문 (2006). 각성형과 회피형의 만성적 지연행동 측정:Ferrari가 제안한 방법은 타당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91- 102.
임승현, 박성연 (2010). 학령기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85-101.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지연 (2001).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상엽, 임성문 (2008).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7), 347-368.
추상엽, 임성문 (2009).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6(1), 467-490.
한기연 (1993). 다차원적완벽성개념 측 정및부적응과의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 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a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rien, S., & Page S. (1994). Self-efficacy, perfectionism, and stress in Canadian nurses. The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6(3), 49-61
Burka, J. B., & Yuen, L .M. (2008). 윤상운 옮김. 달콤한, 그러나 치명적인 습관 미룸. 서울: 넥서스BIZ.
Burka, Jane B., & Yuen, Lenora M. (1983). Procrastination: Why you do it and what to do about it. Reading, PA: Addison-Wesley.
Ellis, A., & Knaus, W. J. (1977). Overcoming procrastination.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Ferrari, J. R. (2001). Procrastination as self regulation failure of performance: Effects of cognitive load, self-awareness, and time limits on ‘Working best under pressur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5(5), 391-406.
Ferrari, J. R., Joseph R, Johnson, Judith, McCown, William G. (1995). Procrastination and task avoidance: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Flett, G., Blankstein, K., Hewitt, P., & Koledin, S. (1992). Components of Perfectionism and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0(2), 85-94.
Frost, R. O., Marten, P. A.,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Gail Hackett, Nancy E. Betz, J.Manuel Casas, Indra A. Rocha-Singh. (1992). Gender, Ethnicity,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Predi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Engineer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4), 527-538.
Gigliotti, R. J., Huff, H. K. (1995). Role-related Conflicts, Strains and Stresses of Older-adult College Students. Sociological focus, 28(3), 329-342.
Hamachec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15(1), 27-33.
Hewitt, P. L., & Dyck, D. G. (1986). Perfectionism,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0(1), 137-142.
Hewitt, P. L., & Flett, G. L. (1989).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Canadian Psychology. 30, 339.
Hewitt, P. L., & Flett, G. L. (1990).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5(5), 423-438.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Horney, K. (1950). Neurosis and Human Growth. New York: Norton.
Hu, L., & P. M. Bentler.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Laz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McGraw-Hill, New York, NY.
Lazarus, R. S., and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 New York.
Çapan, B. E. (2010).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 1665-1671.
McCown, W., & Robert, R. (1994). A Study of academic and work-related dysfunctioning relevant to the college version of an indirect measure of impulsive behaviour. Integra Technical Paper 94-98, Radnor, PA: Integra, Inc.
Pacht, A. R. (1984). Reflections on Perfection. American Psychologist, 39(4), 386-390.
Rabin, L., Fogel, J., Nutter-Upham, K. (2011).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Role of Self-reported Executive Function.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al Neuropsychology, 33(3), 344-357.
Russell, D. W., Jeffrey H. Kahn, Richard Spoth,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addler, C. D., & Sacks, L. A. (1993). Multidimensinal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lationships with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Reports, 73(3), 863-871.
Saddler, C. D., & Buley, J. (1999). Predictors of ac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Reports, 84(2), 686-688.
Schraw, G., Wadkins, T., Olafson, L. (2007) Doing the Things We Do: A Grounded Theor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1), 12-25.
Schunk, D. H. (1984).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y, 19(1), 48-58.
Scott Solberg, V., Villarreal, P. (1997). Examination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tress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tress Among Hispanic College Studen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19(2), 182-201.
Selye, H. (1956). The stress of life, N. Y.: McGraw-Hill.
Solomon, Laura J. & Rothblum, Esther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orres, J. B., Solberg, V. S.(2001). Role of Self-Efficacy, Stress, Social Integration, and Family Support in Latino College Student Persistence and Healt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9(1), 53-63.
Zajacova, A., Lynch, S. M., Espenshade, T. J. (2005). Self-Efficacy, Stress, and Academic Success in College. Rearch in Higher Education 46(6), 677-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