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집단상담에서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및 정서수용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acceptance on Counseling outcomes in Group counsel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를 자각하여 그것을 잘 다루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정서다루기’라 명명하고, 여기에는 ‘정서인식의 명확성’, ‘적절한 정서표현’ 그리고 ‘정서수용’의 3개 요소가 포함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역동의 집단상담에서 정서인식, 정서표현 그리고 정서수용의 정도가 어느 정도로 일어나는지, 그것이 실제로 상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원 44명으로, 그들은 집단상담 초기, 중기, 후기에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수용의 정도를 재는 질문지와 회기영향척도를 실시하였고, 집단상담 사전․사후에 대인관계문제검사, 집착척도, 주관적 문제심각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원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수용 경험은 집단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수용은 회기영향척도의 과제영향과 .37∽.66, 관계영향과 .57∽.67, 방해영향과는 -.41∽-.50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본 집단상담은 집단원의 대인과민성, 사회적 인정욕구, 사회성 부족을 감소시키고, 과거 및 미래집착, 주관적 문제심각도를 경감시켰다. 넷째,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그리고 정서수용의 변화량이 클수록 대인과민성, 공격성, 사회적 인정욕구의 대인문제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집착과 주관적 문제심각도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cceptance, group counseling, outcome, 집단상담, 정서자각,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수용, 대인관계, 집착

Abstract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impacts of emotional processing factors, which the clients experienced in group, on the session outcomes and counseling outcomes. Subjects were 44 who participated in a group counseling. This current study showed four findings of interest: 1) a client’s emotion processing increased as group counseling progressed; 2) the ranges of correlation between emotion processing and session impacts were highly correlated(i.e., .37∽.66 for task impact, .57∽.67 for relationship impact, and -.41∽-.50 for hindering impact); 3) after receiving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reported decreases in interpersonal sensitivity, need for social approval, lack of sociability, attachment to the past and future, and perceived problem severity; 4) as the residual of emotion processing factors increased, interpersonal sensitivity, aggression, need for social approval, attachment to the past and future, and perceived problem severity decreased.

keyword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acceptance, group counseling, outcome, 집단상담, 정서자각,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수용, 대인관계, 집착

참고문헌

1.

권희경, 장재홍(2003). 상담자의 개입적절성 및 긍정적 태도가 내담자 저항에 작용하는 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61-177.

2.

김민정 (2005). 동작을 통한 자각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다른 체험수준과 집착수준의 변화관계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김영혜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수용과 정서적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철, 박은영(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매뉴얼. 서울 학지사

5.

김은희 (2006). 개정판 집착척도의 타당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7.

김정모 (2006).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123-1139.

8.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정서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9.

김혜민 (2006). 상위정서, 경험수용, 및 집착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은, 박 경 (2010). 우울, 정서조절, 마음챙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41-557.

11.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마음챙김이 여대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135-652.

12.

신희천 (2002). 내담자의 핵심적 갈등관계에 대한 해석과 작업동맹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285-299.

13.

유계식 (2000). 신체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윤호균 (2001). 공상, 집착 그리고 상담: 상담접근의 한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18.

15.

이서경 (2005).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소연 (2002). 정서인식, 스트레스 지각, 통증민감도가 신체화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 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18.

이지영, 권석만 (2010). 체험적 정서조절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 (1), 95-116.

19.

이은하 (2001). 집단 상담에서 지금-여기의 개입요소가 집단원의 체험수준과 자기 자각증진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

20.

이하나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및 갈등과 대인불안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1.

장수진 (2002). 직장인의 정서자각, 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정주, 김정모. (2008).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97-714.

23.

장정주 (2009). 정서 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훈련이 심리적 안녕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장재홍, 안창일 (1999). 계획공식화 방법에 의한 심리치료 과정분석.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2). 85-113.

25.

전미애, 김정모 (2011). 정서 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30(1), 113-135.

26.

정순중, 김유숙 (2006). 학부모 정서관리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17-838.

27.

최은실 (2010).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향상 프로그램 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해림, 장성숙 (2008).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역). 제5판. 하나의학사.

29.

하현주, 권석만 (2010). 마음챙김 명상의 심리치료적 적용을 위한 제언. 불교학보, 56, 241-265.

30.

한정원 (1997). 정서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Alexander, F. & French, T. M. (1946). Psychoanalytic Therapy: principles and application. The Ronald Press Company.

32.

Cardaciotto, L., Herbert, J. d., Forman, E. M., Morita, E., & Farrow, V. (2008). The assessment of present-moment awareness and acceptance. Assessment. 15(2). 204- 223.

33.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Hillsdale, NJ:

34.

Elliot, R., James, E., Cislo, D., & Sack, N. (1985). Significant events and the analysis of immediate therapeutic impacts. Psychotherapy, 22(3), 620-630.

35.

Elliot, R., & Wexler, M. M. (1994). Measuring the impact of sessions in Process-Experiential Therapy of depression: The Session Impacts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2), 166-174.

36.

Emmons, R. A., & Colby, P.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5), 947-959.

37.

Greenberg, L. S., & Paivio, S. C. (1997).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38.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oi: 10.1037/10447-000

39.

Heimberg, R. G., & Becker, R. E. (2002). cognitive and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ocial phobia. New york, Guilford Press.

40.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85-892.

41.

King, A. M., & Emmons, R. A. (1990).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42.

Kiesler, D. J. (1971). Patient experiencing level and successful outcome in individual psychotherapy of schizophrenics and psychoneurotic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7(3), 370–385.

43.

Kocovski, N. L., Fleming, J. E., & Rector, N.A. (2009). Mindfulness and acceptance-based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an open trial.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 (3), 276-289.

44.

Lieberman, M. D., Eisenberg, N, I., Crockett, M. J., Tom, S. M., Pfeifer, J. H., & Way, B. M. (2007). Putting feeling into words: affect labeling disrupts amygdala activity in response to affective stimuli.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18(5), 421-428.

45.

Mayer, J. D., Gaschke, Y. N., Braverman, D. L., & Evans, Y. W. (1992). Mood congruent judgment is a general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1), 119-132.

46.

Newman, M. G., Castonguay, L. G., Borkovec, T. D., Fisher, A. J., Boswell, J. F., Szkodny, L.E., & Nordberg, S. S. (2011).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ith Integrated Techniques From Emotion-Focused and Interpersonal Therap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9 (2), 171-181.

47.

Pennebaker, J. W. (1985).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Exploring the roles behavioral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Canadian Psychology, 26, 82-95.

48.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Mifflin.

49.

Salovey, P., & Grewal, D. (2005).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urrent Direc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14(6), 281-285.

50.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 C. APA. 125-154.

51.

Stiles, W. B. (1980). Measurement of the impact of psychotherapy sess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8(2), 176-185.

52.

Swinkle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9), 934-949.

53.

Watson, J. C., & Bedard, D. L. (2006). Client’s Emotional Processing in Psychotherapy: A Comparison Between Cognitive-Behavioral and Process-Experiential Therap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1), 152- 159.

54.

Yalom, I. D. (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Third Edition. Basic book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