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상담자 발달에서의 결정적 사건 경험을 통하여 상담기관에서 수련을 받고 있는 인턴 상담원의 상담자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상담 인턴 과정중이거나 수료한 15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상담자 발달에서의 결정적 사건 경험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내담자와의 만남, 정체성 발달, 상담 기술, 수련과정에 대한 동기 및 기대, 상담자 발달에 영향을 준 관계, 수련기관의 환경요인의 6개의 영역과 32개의 하위 범주가 상담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인턴 상담원의 발달모형을 제시하였는데, 다수의 일반적, 전형적 범주를 포함하고 있는 내담자와의 만남, 정체성 발달, 상담 기술의 세 영역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상담자 발달을 증진시키는 주요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주요경험들은 수련과정에 대한 동기 및 기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적 요인, 수련 기관의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지지, 촉진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인턴 상담원의 전문성의 발달의 과정을 확인하고 초심 상담자들을 훈련하는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ritical Incidents(CIs) Experience of counselor interns affects their development as professionals. Fifteen counselors who currently in or just finished their counseling internship were interviewed wit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investigate the role of CIs experience in the counselor develop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experience for counselors are categorized by six major domains(i. e. meeting with client, identity development, counseling skill, motive & expectation from training,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of training site) and the corresponding 32 subcategories. Additionally, the three major interactional factors(meeting with client, identity development, and counseling skill) play main roles in developing careers, while the others play a role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the process. Furthermore, these results help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beginners into the experts, as well as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 for junior counselors.
권경인, 김창대 (2007). 한국 집단 상담 대가의 발달 과정 분석. 상담학연구, 8(3), 979- 1010.
김은혜 (2001). 초보 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수준에 관한 연구: 상담전공생과 전화 상담 자원봉사자간의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 한나리, 이동귀 (2009). 초심 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 연구, 10(2), 769 -792.
배은지 (2008). 수퍼바이저의 권력기반이 상담수련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수퍼비전 비개방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승희 (2004). 개인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재호, 정남운 (2007). 초보상담자의 상담 성과에 관한 질적분석: 도움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889-911.
심흥섭, 이영희 (1998).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0(1), 1-28.
유성경 (2002). 청소년상담 수퍼비전.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정경빈 (2009). 초보 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가톨릭대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 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허 일 (2009). 저항상황에서 초심상담자의 낙관성이 내담자특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지영 (2005).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Bandura, A. (1982). The psychology of chance encounters and life paths. American Psychologist, 37(7), 747-755.
Cormier, L. Sherilyn (1998). Critical Incidents in Counselor Development: Themes and Pattern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2), 131-133.
Ellis, M. (1991). Critical incidents in clinical supervision and in supervisor supervision: Assessing supervisory issu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3), 342-349.
Furr, S. R. & Carroll, J. J. (2003). Critical incidents in student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1(4), 483.
Goodyear, R. K., Crego, C. A., & Johnstone, M. W. (1992). Ethical issues in the supervision or student research: A study of critical inciden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3(3), 203-210.
Heppner, P. & Roehlke, J. J. (1984). Differences among supervisee at different levels or training: Implications for a developmental model of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1). 76-90.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Hill, C. E., Sullivan, C., Knox, S., & Schlosser, L. Z. (2007). Becoming psychotherapists: experiences of novice trainees in a beginning graduate clas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4(4), 434-449.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oward, E. E., Inman, A. G., & Altman, A. N. (2006). Critical Incidents Among Novice Counselor Trainee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6(2), 88-94.
Koltz, R. & Champe, J. (2010).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The transition of mental health counseling interns from students to professionals. Retrieved from http://counselingoutfitters.com /vistas/vistas10/Article_31.pdf
Pica, M. (1998). The ambiguous nature of clinical training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clinicians. Psychotherapy, 35(3), 361- 365.
Scott, A. E. (2004). Counselor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incidents: A qualitative study of intern experiences during the predoctoral internship.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s, Teachers, Health Professionals. Allyn and Bacon.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유성경 외 역. 서울: 학지사.
Skovholt, T. M. & McCarthy, P. R. (1988). Critical Incidents: Catalysts for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2), 69-72.
Skovholt, T. M. & RØnnestad, M. H. (1995).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Oxford: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