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및 우유부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진로상담에 있어서 내담자의 성격적 측면과 부모와의 관계적인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은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애착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했던 반면에,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우유부단의 통제여부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다. 셋째,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부모애착의 영향을 심리적 독립이 조절하는가에 대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한 부모애착의 진로미결정에 대한 간접효과를 유의하게 조절하지는 못하였으나 진로미결정에 대한 부모애착의 직접효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은 매우 유의하였는데 그 유의성은 우유부단 수준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계적 요소나 성격적 요소들이 진로상담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음을 지지해주고 있는 동시에 효과적인 상담개입을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들이 동시에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decisiveness moderated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Three hundred two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at 1)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2) psychological separation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bu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direct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career indecision; and 3)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indecisive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구본용, 유제민 (2010). 부모의 긍정적 관여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1), 171-187.
김경욱, 류진혜 (2008).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심리적 독립이 진로결정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 73- 92.
김수임, 김창대 (2009).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발달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 상담학연구, 10(3), 1573- 1591.
김영근, 임성문 (2005).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상호의존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6(1), 171-184.
김은진, 천성문 (2001).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 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한국동서정신과학, 4(1), 147-162.
김정미 (2003).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선희, 박현주 (200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67-81.
박수길, 이영희 (2002).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41-160.
박찬주 (1993).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현주, 김봉환 (2006).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419-439.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08). 2007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상담연구소. 서강상담연구, 1, 21- 44.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0). 효과적인 대학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대학생활 의견조사 보고서: 2009년 8월 및 2010년 2월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선혜연, 김계현 (2007).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에 관한 분석, 1997~2006년. 상담학연구, 8(4), 1467-1483.
옥 정 (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유나현, 이기학 (2005). 애착, 심리적 독립, 정서지능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51-466.
유지선 (2004). 여대생의 진로미결정과 애착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광희 (2008). 대학생의 애착, 정서지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상길 (2008).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고교생과 대학생 및 성별간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21(3), 217-230.
이선해 (2010). 분리개별화와 우유부단과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성심 (2006). 한국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선, 김정희, 이영순 (1999). 진로미결정에 대한 심리적 독립, 애착, 특성 불안의 관계. 한국진로상담학회지, 4(1), 137-161.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재창, 박미진, 김수리 (2005). 청소년의 낙관성과 우유부단이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33-650.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2008). 진로미결정 및 관련 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상담학 연구, 9(2), 551-564.
정은희 (1993). 부모로부터의 독립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혜윤 (2001). 강박성향과 우유부단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탁진국, 이기학 (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경영연구, 1(1), 167-180.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Betz, N. E., & Serling, D. A. (1993). Construct validity of fear of commitment as an indicator of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 21-34.
Blos, P. (1979). The adolescent passag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Blustein, D. L., Prezioso, M. S., & Schulthesis, D. P. (1995). Attachment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3(3), 416-432.
Blustein, D. L., Walbridge, M. M., Friedlander, M. L., & Palladino, D. E. (1991).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39-50.
Bowlby, J. (1977).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Ⅱ: Some principles of psychotherap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0(5), 421-431.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 Sadness and depression. London: Hogarth Press and Institute of Psycho-Analysis.
Chartrand, J. M., Robbins, S. B., Morril, W. H., & Boggs, K. (199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Factors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4), 491-501.
Chartrand, J. M., Rose, M. L., Elliot, T. R., Marmarosh, C., & Caldwell, C. (1993). Peeling back the onion: Personality, problem solv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correlate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 66-82.
Cohen, C. R., Chartrand, J. M., & Jowdy, D. P. (1995).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indecision subtypes and ego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4), 440-447.
Cooper, S. E., Fuqua, D. R., & Hartman, B. W. (1984). The relationship of trait indecisiveness to vocational uncertainty, career indecision,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5(4), 353-359.
Crites, J. O. (1969). Problems in vocational choice.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k: McGraw- Hill.
Frost, R. O., & Shows, D. L. (1993). The nature and measurements of compulsive indecisivenes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1(7), 683-692.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510-526.
Germeijs, V., & De Boeck, P. (2002). A measurement scale for indecisiv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career indecision and other types of indecision.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18(2), 113-122.
Heppner, M. J. & Heppner, P. P. (2003). Identifying process variables in career counseling: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3), 429-452.
Hoffman, J. (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of late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0-178
Josselson, R. (1988). The Embeded Self: I and Thou Revisited. In Lapsley, D.K. & Power (de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pp.91-108). New York: Springer- Verlag.
Kinnier, R. T., Brigman, S. L., & Nobel, F. C. (1990). Career indecision and family enmesh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8(3), 309-312.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Lopez, F. G., & Andrews, S. (1987). Career indecision: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5(6), 304- 307.
Lopez, F. G., & Gover, M. R. (1993). Self-report measures of parent-adolescent attachment and separation-individuation: A selective review.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1(5), 560- 569.
Meldahl, J. M., & Muchinsky, P. M. (1997). The neurotic dimension of vocational indecision: Gender comparabilit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3), 317-331.
Osipow, S. H., Carney, C. G., Winer, J. L., Yanico, B., & Koschier, M. (1976). The Career Decision Scale(3rd revision). Columbus, OH: Marathon Consulting & Press.
Paterson, J. E., Field, J., & Pryor, J. (1994).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s, fathers, and friend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5), 579-600.
Preacher, K. J., Rucker, D. D., and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Saka, N., & Gati, I. (2007).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persistent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1(3), 340-358.
Savickas, M. L. (1997). The spirit in career counseling: Fostering self-completion through work. In D. P. Bloch & L. J. Richmond (Eds.), Connection between spirit and work in career development(pp.3-25). Palo Alto, CA: Davies-Black Publishing.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 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 pp.197-261). San Francisco: Jossy-Bass.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 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Tokar, D. M., Withrow, J. R., Hall, D. J., & Moradi, B. (2003). Psychological separation, attachment security,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and career indecision: A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1),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