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검증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있어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인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 회피형 대처전략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전체모형 검증결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세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회피형 대처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수준 간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결과, 여성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형 대처전략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성 집단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전략만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셋째, 학년별 모형검증 결과, 저학년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형 대처전략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학년 집단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을 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op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 and avoida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Significant mediational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found in the paths from problem solving and avoidance strategies to career decision level, but not for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when the entire sample was of interest. For male college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but no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was found. For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only problem solv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no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was show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강희순 (2010).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준비 행동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3), 141-155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민정, 김봉환 (2007). 불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1), 13-25.
김봉환, 김계현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선남, 정현욱 (2005). 남녀대학생의 진로 및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8(2), 267-284.
김영경 (2008). 대학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김은진, 천성문 (2001).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 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동서정신과학, 4(1), 147-162.
김정은 (2007). 남녀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희수 (2000). 고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의 관계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희수 (200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3(3), 63-88.
문양호, 김완일 (2006). 사관생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분석 및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485-501.
박경, 임경화 (1998). 서울여대생의 진로계획 및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1, 5-42.
박선희, 박현주 (2009).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67-81.
박수길 (2001).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정희, 이은희 (2008).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 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결정수준: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03 -123.
변은주 (1999). 의사결정유형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지숙 (2006).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 미결정 이유, 진로 성숙도와 대학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0.
신현숙 (2005). 중학교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51-466.
유나현, 이기학 (2009). 진로장애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10 (4), 2241-2255.
이광희 (2008). 대학생의 애착,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희 (2005).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성식 (2007).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은경, 이혜성 (2002). 진로결정 효능감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235-257.
이제경 (1997).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발달의 대학전공분야별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이학주, 이기학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임 언, 이지연, 윤형한 (2004).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유성경, 홍세희, 이아라 (2006).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 효능감의 매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37-851
조아미 (2000).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성숙성의 결정요인으로서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교육학연구, 38(4), 43-62.
주현숙, 방희정 (2006). 청소년의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심리적 안념감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4 -295.
탁진국 한덕웅 (1993). 스트레스와 대처: 생활사건 , 자기 효능성 및 대처 양식에 따른 부적응 효과의 인과적 모형 검증,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39-461.
하동희 (2005).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66-1075.
Argyropoulou, E. P., Sidiropoulou-Dimakakoo, D., & Besevegis. E. G. (2007). Genelized self-efficacy, coping, carrer indecision, and vocational choices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reece: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practitioner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3(4), 316-33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Biggam, F. H., Power, K. G., & Macdonald, R. R. (1997). Coping with the occupational stressors of police work: A study of Scottish officers. Stress Medicine, 13(2), 109-115.
Brissette, I., Scheier, M. F.,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82(1), 102-111.
Chang, Edward & Strunk, Daniel R. (1999). Dsyphoria: Relations to appraisals, coping, and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1), 99-108.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isis of coping in a middle 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5(3), 229-244.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Harre, R., & Lamb, R. (1983). The encyclopedic dictionary of psychology.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Heppner, P. P., Pretorious, T. B., Wei, M., Lee, D-G., & Wang, Y-W. (2002). Examining the generalizability of problem-solving appraisal in black South Africa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4), 484-498.
Holmbeck, G. N.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or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610.
Lazarus, R. S., & Cohen, J. B. (1977) Environmental stress. In: Altman, I. & Wohlwill, J. F. (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Current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lenum Press.
Lazarus, R. S., 김정희 역 (200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서울: 대광문화사.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Lent W. R & Hackett. G. (1987).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3), 347-382.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Lent, R. W., Brown, S. T.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Osipow, S. H., Carney, C., Winer, J. L., Yanico, B., & Koschier, M. (1976). The Career Decision Scale,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Rogers, M. E., Creed, P. A.., & Glendon, A. I. (2008). The role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3(1). 132-142.
Slaney, R. B. (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 (pp.33- 76). Hillsdale, NJ: Erlbaum.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Sobel, M. E. (1986). Some new results on indirest sffent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s. Social Methodology, 16(1), 159 -186.
Tolbert, E. L.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Tracey, T. J. G. (2010). RIASEC interest and confidence cutoff scores: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2), 265-27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Newbury Park, CA: Sage.
Winer, J. L. (1992). The early history of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0(4), 369-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