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ren's Humor Style Questionnair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유머스타일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유머스타일에 대한 연구와 측정 척도를 참고하여 척도의 배경이 되는 이론적 체계를 구성하고 유머스타일을 설명하는 문항을 작성하였다. 인천과 경기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학생들에게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에서는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 분석과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관계적 유머스타일, 자기고양적 유머스타일, 공격적 유머스타일, 자기파괴적 유머스타일의 4요인, 22문항으로 구성된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를 구성하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는 유머스타일과 대인 관계 및 학교 적응과의 상관 분석과 구조 모형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유머스타일은 대인 관계, 학교 적응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아동의 유머스타일은 대인 관계와 학교 적응을 예측하는 선행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유머스타일, 학교 적응, 대인 관계, Humor style, Interpersonal relations, School adjustment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children’s humor style. Items in the scale were developed after intensiv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Survey was implemented to 3rd through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t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cale consisted of 22 items and 4 humoristic factors (i.e., relational, self-serving, aggressive, and self-destructive hum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a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s humor style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adjustment.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유머스타일, 학교 적응, 대인 관계, Humor style, Interpersonal relations, School adjustment

참고문헌

1.

강연미 (2005). 위험생활사건과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경련 (2001). 사회적 기술향상 집단상담이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교폭력피해학생 치유프로그램.

4.

구남웅, 최태산 (2009). 부하가 지각하는 직속상관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부하의군생활 적응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0(3),1757-1768.

5.

김용래 (2000).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관계분석.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17, 3-39.

6.

김주용, 이지연 (2007). 어머니의 낙관성과 긍정적 강화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영향: 아동의 낙관성을 매개변인으로. 아시아교육연구, 8(3), 115-136.

7.

김주용, 이지연 (2008). 아동의 성향적 낙관성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8(3), 83-106.

8.

민현기, 이재선 (2009). 대학생의 유머대처 및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 51-63.

9.

백정선 (2009). 대학생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순임 (2005). 유머 정서와 기쁨 정서에 따른 아동의 심리 생리반응.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안재영, 최명선, 최태산(2007). 청소년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97-108.

12.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영자 (2010). 간호사의 유머스타일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은주 (2010).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과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 비교.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점순 (2006).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윤, 이경아 (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16(2), 261-276.

17.

이재선 (2005).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재선, 조아미 (2006). 청소년의 유머감각과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79-100.

19.

이학식, 임지훈 (2009). SPSS 16.0 매뉴얼. 경기: 법문사.

20.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 (2008).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 서울: 학지사.

21.

전숙영 (2010). 아동의 유머와 무망감-희망, 우울기분에 대한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14(4), 563-583.

22.

정현희 (2003). 중학교 진학 후의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 요인. 청소년 상담연구, 11(2), 36-46.

23.

차현미 (2002). 임파워먼트 관점에서의 중도지체장애인 가족보호제공자 자조집단 프로그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동환 (2004). 삼일신고. 서울: 지혜의 나무.

25.

최미숙 (2009). 초등학생의 유머스타일이 자아존중감과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허영주 (2010).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교육방법연구, 22(10), 19-49.

27.

Aharonson, H., Klingman, A., & Nevo, O. (1998).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ystematic program for improving sense of humor. In W. Ruch (Ed.), The sense of humor(pp.385-404). New York: Mouton de Gruyter.

28.

Bell, N. J., Duffey, N. S., & McGhee, P. E. (1986). Interpersonal competence, social asser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humo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4(1), 51-55.

29.

Berk, L. S., Felten, D. L., Tan, S. A., Bittman, B. B., & Westengard, J. (2001). Modulation of neuroimmune parameters during the eustress of humor-assiciated mirthful laughter. Alternative Therapies, 7(2), 62-76.

30.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31.

Cann, A., Davis, H. B., & Zapata, C. L. (2011). Humor styl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dating couples: Perceived versus self-reported humor styles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24(1), 1-20.

32.

Cann, A., Norman, M. A., Welbourne, J. L., & Calhoun, L. G. (2008). Attachment styles, conflict styles and humour styles: interrelationships and associations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2(2), 131-146.

33.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34.

Craik, K. H., Lampert, M. D., & Nelson, A. J. (1996). Sense of humor and style of everyday humorous conduct. Humor, 9(3), 273-302.

35.

Dixon, N. F. (1980). Humor: A cognitive alternative to stress? In I. G. Sarason & C. D. Spielberger (Eds.), Stress and anxiety, 281-289. Washington, DC: Hemisphere Publishing.

36.

Freud, S. (1928).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9(1), 1-6.

37.

Gutierrez (1990). Understanding the empowerment process. Social Work Research, 19(4), 229-237.

38.

Hess, R., Rappaport, J., & Swift, C. F. (1984). Studies in empowerment: Steps toward understanding and action. New York: Haworth Press.

39.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40.

Klein, D. N., & Kuiper, N. A. (2006). Humor styles, peer relationships, and bullying in middle 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9(4), 383-404.

41.

Kuiper, N. A., Grimshaw, M., Leite, C., & Krish, G. (2004). Humor is not always the best medicine: Spercific components of sense of hum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17(1), 135-168.

42.

Kuiper, N. A., & McHale, N. (2009). Humor Styles as Mediators Between Self-Evaluative Standar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143(4), 359-377.

43.

Kuiper, N. A., & Leite, C. (2010). Personality impressions associated with four distinct humor style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1(2), 115-122.

44.

Lefcourt, H. M., & Shepherd, R. (1995). Organ donation, authoritarianism and perspectivetaking humor.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9(1), 121-138.

45.

Martha, S. Z., Rickard, A. S., & Sherri, D. F. (2009). Humor styles as mediators of the shyness-loneliness relationship. North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11), 257-271.

46.

Martin, R. A. (1998). Approaches to the sense of humor: A historical review. In: W. Ruch, (Ed.), The sense of humor: Explorations of a personality characteristic(15-60). Berlin: Walter de Crruyter.

47.

Martin R. A. (2001). Humor, laughter, and physical health: Methodological issue and research finding. Psychological Bulletin, 127(4), 504-519.

48.

Martin, R. A., & Dobbin, J. P. (1988). Sense of humor, hassles, and immunoglobulin A: Evidence for a stress-moderating effect of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18(2), 93-105.

49.

Martin, R. A., Puhlik-Doris, P., Larsen, G., Gray, J., & Weir, K.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1), 48-75.

50.

McGhee, P. E. (1979).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mpany.

51.

Mindess, H. (1971). The sense in humor. Saturday Review, 21(8), 10-12.

52.

Morganett, R. S. (1994). Skill of living (Group Counsel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Illinois: Research press.

53.

Rappaport (1985). Studies in empowerment: Steps toward understanding and action. Prevention in Human Services, 3(1).

54.

Rezan C. (2007). Humor styles in predicting loneliness among turkish university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5(6), 835-843.

55.

Seligman, M. E. P. (1995). The optimistic child. Houghton Mifflin. 박주성 역(2000). 자녀에 게 줄 최상의 선물은 낙관적인 인생관이다. 서울: 오리진.

56.

Seligman, M. E. P. (2008).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Simon & Schuster.

57.

Seligman, M. E. P., & Yu, D. L. (2002). Preventing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children. Prevention & Treatment, 5(1).

58.

Sijo, Y. (2003). A program design focusing on optimism to ameliorate the symptoms of depression and learned helplessness in Cuban adolescent refugees. (Doctoral Dissertation, Carlos albizu university).

59.

Snyder, C. R., & Lopez, S. J.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60.

Snyder, C. R., Shane, J., & Lopez, S. J. (2003).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APA.

61.

Watts, A. (2004). 동양과 서양의 정신치료 [Psychotherapy, East and West]. (강석헌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75년에 출판).

62.

Zeigler-Hill, V., & Besser, A. (2011). Humor style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self-esteem.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50(8), 1196-1201.

logo